- 흑인 페미니스트들 및 개발도상국의 페미니스트들은 자유주의 페미니즘 및 급진주의 페미니즘이 여성 모두의 경험을 동일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
- 여성 집단 중에서도 인종적 배려는 주류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이루어지지 않음.
- 기존의 페미니즘은 백인, 선진국에 살고 있는 중류층 여성을 압도적 다수로 하는 데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
- 흑인 페미니스트들 및 개발도상국의 페미니스트들은 특정 부류의 여성 집단이 겪은 경험만으로 여성 일반이 경험하는 복속에 대한 이론을 일반화시키는 작업은 타당하지 않음을 지적.
- 또한 이들은 모든 여성이 동등하게 경험하는 유일무이한 '한 가지' 형태의 젠더 억압이 존재한다는 바로 그 논리가 문제라고 강력히 비판.
- 기존 선행 페미니즘에 대한 불만은 흑인 여성이 직면하는 특수한 문제에 치중한 흑인 페미니즘 black feminism 의 성립으로 이어짐.
- 예를 들어서 여러 페미니스트들의 저작물들이나 토론장에서의 논리에 의하면, 흑인 소녀들은 백인 소녀들보다 높은 자아 존중감을 지닌 소녀기를 보낸다고 즐겨 지적됨. 이러한 인종간 차이에 대한 측정 결과에 의하면 흑인 소녀들이 자기 주장이 더 강하고 말을 많이 하며 자신감에 차 있는 것 같다고 나옴. 그러나 이러한 성향은 자신의 생각을 분명히 표현하되 근엄함을 잃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젠더 불평등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인종 차별 장벽을 뛰어넘기 위해 필요한 것임. 즉 여성 자아 존중감 제고와 연결될 이유가 전혀 없다는 것임. 오히려 백인 연구자들은 흑인 소녀가 겪는 자신의 피부 색깔, 곱슬머리에서 느끼는 열등감과 같은 변수를 배려하지 않음.
- 흑인 페미니스트 저술들은 역사 - 특히 현재 흑인 여성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알려주는 과거지사의 단편들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음.
- 미국 흑인 페미니스트들의 논저는 막강했던 노예제의 유산, 흑인 사회에서의 분리 및 젠더 불평등에 대한 인권 운동의 영향력을 강조.
- 이들은 초기 흑인 여성 참정권자들은 여성 권리 획득을 위한 캠페인을 지지했으나, 인종 문제를 무시할 수 없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고 지적. 흑인 여성들은 인종 차별과 성차별의 대상이 되고 있었음.
- 최근 들어, 흑인 여성들은 부분적으로는 '여성 정체성'의 영향력이 흑인이라는 인종적 현실보다 훨씬 덜 부각되었기 때문에 여성해방운동에 주도적 입장을 얻을 수 없었음.
- 벨 훅스 Bell hooks : 백인 페미니스트들이 선호하는 설명 틀 (예: 가족을 가부장제의 원류로 설명하는 관점)은 흑인 사회에는 적용될 수 없음을 지적. 왜냐하면 흑인 사회의 경우 가족은 인종 차별에 대항하는 결속력의 집합체 역할을 담당하는 곳이기 때문.
- 흑인 여성 억압은 백인 여성 억압 실태와 비교했을 때 다른 지점에서 발견될 수 있다는 것.
- 흑인 페미니스트들은 인종주의를 배려하지 않은 채 설명하려는 그 어떤 젠더 평등론도 흑인 여성 억압을 적절히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
- 계급 효과 역시 흑인 여성의 정황을 설명할 경우 소홀히 할 수 없는 또 하나의 변수.
- 흑인 페미니즘의 강점 : 인종, 계급 및 젠더 관계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승 효과에 초점을 둠.
- 흑인 페미니스트들은 흑인 여성의 경우 그들의 피부 색깔, 성, 그리고 계급 지위라는 여러 겹이 중첩된 피억압 집단이라 주장.
- 이 세 가지 요인이 상승 작용을 하게 되면, 각 차별적 요인은 서로 재강화를 하거나 더 강력한 효과를 지니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