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사회학

사회학 - 시간과 공간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

좀좀이 2017. 8. 28. 02:33
728x90

사회학 - 시간과 공간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


- 인간의 활동이 시간과 공간에서 어떻게 펼쳐지는가를 확인하는 것은 마주침을 분석하는 경우는 물론, 사회 생활의 기본적 측면들을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에도 본질적인 중요성을 가짐.

- 특정 장소에서 특정 시간 동안 상호작용이 발생함.

- 하루 중의 인간 행위는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구역화'되는 경향이 있음.

- 예를 들어 직장에 나간 사람은 낮 시간 (아침9시~오후6시)의 한 구역 zone 을 일하며 보냄.

- 하루 중에 구역을 따라 움직인다는 것은 동시에 공간적 이동을 의미.

- 사회적 상호작용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 맥락에 관해 분석할 때, 시공 수렴 time-space convergence 를 분석하는 것이 때로는 효과적.

- 영역화 regionalization 개념은 시간과 공간에서 우리의 사회 생활이 어떻게 구역화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에 도움이 됨.

-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은 시간적, 공간적 분화의 양자 모두에 의해 제한받음.


시계 시간


- 현대 사회에서 인간 활동의 구역화는 시계 시간 clock-time 에 의해 큰 영향을 받음.

- 시계가 없었다면 인간 행위를 정확히 시간에 맞추어 조절할 수 없었을 것이며, 이로 인해 인간을 공간적으로 통합 조정할 수 없었을 것이며, 그러면 산업화된 사회는 존재할 수 없었을 것임.

- 시계를 이용해서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오늘날 전세계에 걸쳐 표준화되었고, 이에 기반해서 사람들의 생활이 의존하고 있은 복잡한 국제 수송 체계, 교통, 통신의 형성이 가능해짐.

- 세계 표준 시각 : 1884년 워싱턴에서 열린 국가간 회의에서 채택. 이에 따라 지구는 24개의 시간 구역별로 분할되어 각 구역별로 1시간씩 차이가 나게 되었으며, 전세계적으로 공통된 하루의 정확한 시작 시간이 고정됨.

- 한동안 런던 그리니치 천문대를 관통하는 경도 0도를 기준으로 한 그리니치 표준시 GMT 가 국제 표준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1986년에 이것이 협정세계시 Coordinated Universal Time UTC 로 변경.

- 구성원들의 활동에 대해 하루 및 주 단위로 정확히 일정을 짜놓으려는 시도는 14세기 수도원에서 시작.

- 오늘날 이렇게 하지 않는 집단이나 조직은 전무한 형편이며, 수용된 사람과 자원들이 많을 수록 시간 계획은 보다 정확히 짜여져야 함.

- 모든 인간과 그들이 필요로 하는 자원들은 시간과 공간 양 측면에서 함께 통합되어야만 함.


사회 생활과 시공간의 질서화


- 인터넷은 사회 생활의 형태가 사람들의 시공간 통제와 얼마나 밀접히 연계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또 다른 예.

- 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기술은 세상 어디에서건 전혀 보거나 만난 적이 없는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해 줌.

- 이러한 기술적 변화는 공간을 '재배열'해서, 사람들이 위치를 바꾸지 않고 누군가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해줌.

- 인터넷은 또한 사람들의 시간에 대한 경험을 바꾸어줌. 왜냐하면 커뮤니케이션이 거의 즉각적이기 때문.

- 오늘날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은 사람들의 사회 생활이 기반이 됨.

- 이메일, 실시간 메시지, 전자 토론 집단, 채팅방 등은 산업화된 사회의 수많은 사람들에게 실생활이 되고 있음.

- 사람들은 인터넷이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을 대체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일부는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을 회피하기 위해 고의적으로 이메일을 사용하기도 함.

-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은 전통적인 형태의 상호작용에 비해 화자의 나이, 성별, 인종, 사회적 지위처럼 화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전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장점이 있음.

- 한편,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은 보다 전통적인 형태의 커뮤니케이션보다 상호간에 오해, 혼란, 상처를 더 많이 초래할 수 있음.


- 현대 사회는 주로 사람들이 함께 하지 않는 간접적인 상호작용을 특징으로 함.

- 이것은 '친근성의 강요'라 부르는 상황을 야기.

- 친근성의 강요 : 가능하면 사람을 직접 만나기를 원하는 경향.

- 사람들이 같은 시간과 공간에 같이 있다는 것은 간접적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에 비해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는지, 얼마나 진실한지 등에 대해 훨씬 더 풍부한 정보를 제공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