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도시지리학

도시지리학 - 도시지리학의 분야

좀좀이 2017. 7. 20. 04:42
728x90


- 세계는 도시가 되어 가고 있으며, 국가 간에 서로 긴밀히 연결된 선진 자본주의 국가는 거의 모두 도시 생활양식으로 변모.

- 선진국에서는 농촌 지역도 정보, 경제적 생활, 사회적 결속, 유흥과 레저 활동, 정치적 표현 및 태도, 문화적 특성, 행위의 대중문화적 표현 등 자신들의 삶의 근거를 전적으로 대도시에 의존.

- 물리적인 도시 거주 여부와 상관 없이 우리 모두는 도시의 한 부분.


- 2010년 미국인 83%가 대도시 지역 metropolitan region 에 거주.

- 대도시 지역은 보다 정치적으로 규정된 중심도시 central city 와 그 중심도시와 경제적으로 상호결합된 교외 suburbs 가 포함된 주변지역으로 구성된 도시 지역의 확대 형태.


- 도시는 어떤 공동사회의 힘과 문화가 최대로 집중된 지점.

- 사회적 효율과 중요도가 높아지며, 개별적 삶의 분산된 광선이 초점으로 모이는 곳.

- 도시는 통합된 사회적 관계의 형태와 상징.

- 도시에서는 문명의 산물이 증폭되기도 하고, 인간의 경험이 실행 가능한 표식, 상징, 행동 패턴, 질서 체계로 변화하는 곳.

- 도시는 문명의 이슈가 집중된 곳이자 의식 ritual 이 간혹 완전히 차이가 나면서도 자아 의식사회의 활발한 드라마로 전개되는 곳.

- 도시는 사람들을 보다 창의적이고 생산적일 수 있도록 밀도,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제공하면서 부를 창출하고 삶의 질을 제고함.

- 도시는 경제 성장에 필요한 사람, 일 및 모든 투입 요소들을 함께 하도록 하는 우리 시대의 핵심 사회적 및 경제적 조직단위.


- 대도시 지역은 집중과 집적 - 즉 그곳에서 함께 결합하고 경제 행위와 발전이 이루어지는 혁신 기업, 재능을 가진 근로자, 위험을 감수하는 기업가, 뒷받침을 하는 제도와 기관의 네트워크가 구현되기 때문에 점점 중요해지고 있음.


- 도시는 현대 인구 존재에 있어 아주 광범위하고 주요한 부분이어서 많은 기초 학문 분야는 도시를 연구하는 세부 분야가 있음 - 사회학, 고고학, 역사학, 경제학, 정치학, 심리학, 인류학, 생태학 등.

- 사회학에는 도시를 연구하는 오랜 전통이 있음. 도시사회학은 주요 학문 분야 중 하나.


- 도시지리학자는 다른 학문에서 창출된 정보와 지식을 활용하고, 다른 학문에서 활용되는 지식과 이해를 창출.


- 도시의 이해와 도시의 변화를 모색하는 전문 분야의 교육을 제공하는 여러 응용학문 분야도 있음.

- 도시 계획 : 도시지리학과 가장 밀접하게 결합. 정부 및 민간 부문의 업무에 활용 가능.

- 도시 디자인, 건축, 조경, 환경 디자인 : 도시지리학과 밀접히 관련.

- 공공 행정 : 공공부문에서 활동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 모든 공공 행정 분야가 도시나 도시 지역과 관련되어 있지는 않으나 공공 행정 학위를 소유한 전문가는 종종 도시 환경에 큰 영향을 주는 직업을 갖기도 함.

- 부동산업 : 도시지리학은 도시 환경에서 입지 이해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부동산 및 개발 직업은 종종 도시의 지리적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됨.

- 공학 - 토목학 : 도시 환경 건설과 운영에 필요한 실제적 기술 제공.

- 도시 및 도시 주민의 살을 개선하고자 하는 비정부 및 비영리 기관이 많이 있음.


=====


도시지리학의 분야


- 지리학자는 대체로 세계의 자연 및 인문 환경에 관해 연구.

- 지리학자는 인간이 자연 경관, 대기, 물, 토양을 어떻게 변모시켰는지 탐구.

- 자연지리학자는 지형(지형학), 장기적인 기후 변화 및 패턴 (기후학), 동식물의 자연적 및 인간에 의한 수정된 공간 분포 (생물지리학) 연구.

- 인문지리학자는 지리적 공간에서 인간 및 인간 활동의 입지에 관심을 기울임. 장소 및 공간(지역)에 전개되는 경제활동 및 행위, 인간ㄴ 사회의 사회적-문화적 특징, 정치적인 힘의 관계에 대한 입지적인 부분에 주로 관심을 기울임.


- 도시지리학은 도시나 도시 지역을 연구하는 인문지리학의 한 분야. 그러나 오늘날 도시지리학자들은 점점 인문 및 자연 지리의 가교를 담당하는 도시와 생물학적인 과정, 지속 가능성과 회복탄력성 resilience 에 관한 개념에 관심을 보임.


- 도시지리학자는 도시 및 대도시 지역에 관한 연구를 두 가지 방식과 두 가지 스케일에 관심을 기울임.


- 대도시간 intermetropolitan 또는 도시 체계적 접근 방식 : 도시 사이의 관계를 강조.

- 대도시 내 intrametropolitan 접근 방식 : 대도시 지역 내에서 사람, 활동, 제도의 입지에 관한 내부 분포에 초점을 두고 도시 내 공간 구조에 대해 연구.


- 대도시 내 접근 방식

- 도시의 업무지구의 입지 조건

- 도시 내부 각 계층간 거주지 분화

- 도시 내부 교통과 관련한 도시의 작동

- 토지 이용/토지 피복, 지가, 변화하는 건조 환경의 특징, 지역 경제의 성격과 건전성, 사회 구조의 성격.

- 도시의 공간 패턴 - 특히 주거지 분리의 고찰과 공간적 특성 - 즉 도시가 비인간적 환경과정을 바꾸고 도시가 이러한 환경적 과정을 얼마나 통제하고 대응에 얼마나 그 근접방식이 잘 나타나는지가 그 주제에 포함됨.


- 도시지리학자는 스케일 또는 도시화 과정의 정도에 기반을 둔 연구 수행도 가능.

- 어떠한 도시 (사례 연구)나 세계의 어떤 지역에서 도시를 연구하거나 어떤 주제 - 빈곤, 민족성 등을 조사해 다른 많은 지역의 다른 도시에 적용해보는 일반적인 설명을 도출하는 시도도 가능.


- 도시지리학자가 대도시 간 또는 대도시 내 스케일에서 도시를 연구하는 또 다른 중요한 방법은 도시 간 또는 도시 내 장소 간에 다양한 상호작용 또는 연계성의 정도를 이해하는 것. 도시내 교통량과 같은 흐름의 양이 중심지 간의 공간에서 연결성을 의미하는 공간 상호작용 (spatial interaction) 의 척도가 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