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도시지리학

도시지리학 - 도시지리학 연구의 접근방법 : 실증주의, 구조주의, 인본주의, 후기구조주의

좀좀이 2017. 8. 24. 04:56
728x90

도시지리학 연구의 접근방법 : 실증주의, 구조주의, 인본주의, 후기구조주의


- 지리학의 한 분야로서 도시지리학은 20세기에 발달.

- 도시지리학이 1950년대에 주요 핵심 세부 학문으로 부상한 후, 여러 가지 접근 방식이 도시지리학 연구의 특성이 됨.

- 인식론 epistemology 은 지식이 어떻게 어떠한 상황에서 형성되고, 어떻게 그 세계가 알려지게 되는지와 관련된 철학의 한 분야.

- 도시지리학자는 자신의 연구가 실증주의, 구조주의, 인본주의, 후기구조주의 - 이 네 가지 주요 인식론적 접근 가운데 하나 이상에 해당한다고 여김.


실증주의 positivism

- 과학적 방법의 인식론.

- 도시지리학에서 이 접근 방법은 실제(reality)는 그것을 이해하는 학생과 연구자로서 우리의 능력 밖에 존재한다고 가정.

- 지식 창출을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식은 일반화와 가설 검정을 통한 이론 구축과 결합된 반복된 동시 발생의 엄정한 경험적 관찰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으로 봄.

- 연구자는 객관성 (사실 그 자체가 논증함)과 다른 학자에 의해 증명 또는 부정될 수 있는 연구를 추구.

- 도시지리학의 몇몇 연구 경향은 실증주의 접근 방식에 어느 정도 부응.

- 연구에서 실증주의 방식을 택한 대부분 도시지리학자는 그들이 연구한 것을 '과학'으로 생각할 따름이며, 실증주의의 철학적 원칙을 공공연히 고수하지는 않음.


구조주의 structuralism

- 구조주의 인식론은 인간의 조사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폭넓은 실체가 있다는 실증주의와 일치.

- 구조주의는 이해를 모색하기 위해 반복되는 동시 발생 현상의 객관적 관찰의 능력에 관해서는 실증주의와 차이가 있음.

- 대신 구조주의는 정말로 우리 세계를 관찰 가능하도록 하는 요인은 쉽게 측정할 수 없는 심오한 구조적 실체라 주장.

- 다양한 구조주의적 접근 방식이 존재하나 도시지리학에서 구조적 논리는 마르크스주의와 거의 같음.

- 미르크스주의 구조적 논리에 의하면 도시화 과정은 다양한 역사적 형태에서 자본주의의 깊은 이해와 관련된 것이라 주장.


인본주의 humanism

- 인본주의 지리학자는 행태주의 지리학과 같은 비판, 특히 인간 행태의 전제된 합리성에 대해 비판함으로써 실증주의 접근방식을 비판.

- 인본주의 지리학자는 인간을 실험 대상으로 다루고 측정할 수 있는 것만을 고려하는 비인간적인 영향에 관해 비판.

- 재생산 가능한 방법에 기초한 과학적으로 입증 가능한 지식 대신 의미와 경험 중시.

- 이론적 관점과 가설 검증에 덜 관심을 기울이고, 보다 장소와 경관에 대한 태도, 인식, 가치에 흥미를 보임.

- 투안 Yi-Fu Tuan : 인본주의 지리학은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 인간의 지리적 행태와 더불어 공간과 장소에 대한 인간의 감정과 사고를 연구함으로써 인간 세계를 이해하고자 한다.

- 투안은 토포필리아 topophilia 라는 용어를 만듦. 땅에 대한 사랑을 의미.


후기 구조주의 poststructuralism

- 일부 도시지리학 연구의 경향은 실증주의, 구조주의, 인본주의의 인식론적 비판을 공유.

- 이 연구 경향은 상호 간 상당히 다르나 많은 후기 구조주의의 특징을 공유하는 것으로 여길 수 있음.

- 일반적인 진실이 결국 발견될 수 있다는 생각의 부인.

- 일부 연구는 그와 같은 진리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또 다른 연구는 그와 같은 진리의 존재에 대해 알 수 없는 것이나 인식은 할 수 있다고 주장.

- 이러한 연구자는 실증주의자와 구조주의자 모두에게 그 비판을 가함.

- 후기구조주의자들은 인본주의자들이 힘과 불평등 같은 중요한 문제에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여김.

- 후기구조주의자는 대신 인간의 탐구에 대한 다양한 목표 제시.

- 후기 구조주의자들은 실재는 역사 및 지리적 환경에 따르며, 필수불가결한 것이라기보다는 사회적으로 형성된 것이라 주장.

- 어떠한 상황에서 사회적으로 형성된 실재가 작동하는가와 구체적으로 어떤 결과를 가지게 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그 다음 목표.

- 그 목표는 실증주의 탐구가 이해되는 방식인 어디에서나 똑같이 작동하는 진실에 관한 지식을 창출하는 것은 아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