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문화지리학

문화지리학 - 문화지리학의 접근 방법 - 칼 사우어의 문화 개념, 초유기체주의

좀좀이 2017. 2. 3. 05:39
728x90

인간과 경관



문화지리학 Cultural Geography 는 민속, 종교, 언어 등의 지역적 분포, 특성을 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문화를 연구하는 지리학의 분야라 할 수 있음. 그러므로 문화지리학을 정의할 때 가장 먼저 검토해야할 것은 '문화'라는 용어임.


'문화'라는 용어는 간단히 정의하기 매우 어려움. 문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음.


1. 문화는 자연과 반대되는 것으로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것.

2. 문화는 실제적인 것으로 아직까지 분석되지 않은 특정한 인간 집단의 패턴과 차이이며 하나의 생활 양식.

3. 문화는 이러한 인간 집단의 패턴이 발전하는 과정임.

4. 문화라는 용어는 특정 인간 집단을 분별하고 특정 인간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표시하는 것임.

5. 문화는 특정한 인간 집단이 이러한 패턴, 과정, 증표를 표상하는 방식임.

6. 문화라는 개념은 흔히 이러한 과정, 행위, 생활 양식, 문화적 생산의 위계질서를 가리킴.


칼 사우어의 문화 개념


- 칼 사우어는 임마누엘 칸트의 제자 헤르더가 주창한 문화적 상대주의에 많은 영향을 받음.


- 헤르더는 한 국가의 지방 문화는 마치 유기체와 같이 그 지방 고유의 지세, 관습, 공동체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함. 또한 문화적 상대주의에 눈을 돌려 문화적 다양성을 추구할 필요성을 느꼈고, 다른 문화들도 장소와 역사의 관계를 통해 형성되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함.

- 헤르더는 환경결정론자들과 달리 독일의 독특성을 환경적 요인 그 자체가 아니라 오랫동안 지속된 지방과 환경의 상호작용, 지방에 근거한 사회 내부에서 찾으려 함.


- 사우어는 하나의 특수한 문화를 특징으로 하는 지역인 '문화 영역 culture area' 개념을 독일 지리학자 라첼로부터 차용함.

- 하나의 공동체가 문화적 특수성이 없는 사회적 유기체로 실재한다고 상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고, 지리학으로부터 인종중심주의를 추방하고 세계 각지의 사람들에 대한 공감을 증대시키려는 노력을 계속했음. 이에 따라 그의 방법론적인 언명과 경험적 연구에는 민족지적이고 다문화적인 감수성이 분명히 내포되어 있음.


- 미국 인류학자 프란츠 보아스는 다른 문화를 올바로 탐구하려면 자기 고유의 문화적 가치 기준을 포기하려는 노력을 철저히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인류학에 영향을 주고 있는 환경결정론의 인종주의적 함의를 철저히 파헤치려고 노력했음.

- 보아스의 수제자인 알프레드 크뢰버는 문화 영역을 문화적 요소 cultural trait 의 분포가 동질적으로 나타나는 지리적 지역으로 정의함. 크뢰버는 문화를 역사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문화적 요소의 특정한 결합에 대한 지도화 작업을 시도했음.

- 크뢰버는 문화 영역이라는 개념은 수단이자 목적으로, 그 목적은 문화의 역사적 사건과 같은 문화적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라 천명함.

- 보아스의 수제자인 로위는 자신의 연구에서 문화의 발달과 변동에 대한 전파 diffusion 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둠.

- 로위는 전파라는 과정에서는 아무 것도 창조되지 않으며 이는 모든 요인들이 단지 인간 문명의 총체적 성장에 기여할 뿐이라 주장함.


- 사우어가 문화인류학으로부터 배운 문화적 특수주의는 환경결정론에 비해 훨씬 더 복잡한 방식으로 문화와 환경의 관계를 설명함.

- 사우어의 문화지리학은 문화적 상대주의를 출발점으로 하며, 인간의 문화가 자연의 세계를 문화 경관이나 문화 지역으로 변형시키는 방식에 특별히 주목하는 역사적 지리학 historical geography 였음.

- 사우어는 지리학을 다른 학문 분야가 취급하지 않는 현실의 일부분을 연구하는 과학으로 존중받도록 재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고, 이 '현실의 일부분'이란 다름 아닌 경관으로서 세계의 본질 그 자체를 있는 그대로 담지하고 있는 것이었음.

- 사우어에게 있어서 지리학의 과제란 지상의 다양한 광경에 부여된 모든 의미와 색깔을 파악하기 위해 경관의 현상학을 포함하는 정밀한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었음.

- 지리학의 단위 개념을 표현하고 특정한 지리적 결합을 특징짓기 위해 경관 landscape 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경관의 동의어로 영역 area와 지역 region 이라는 용어를 제안.


- 사우어의 문화지리학은 지구에 형상을 부여하는 과정보다는 오히려 그 결과 - 즉 형상 그 자체에 관심을 보이는 데에 만족함.

- 사우어와 그의 제자들 대다수는 지리학의 관심사로 문화의 내부적 작용이 아니라 세계에 작용하는 문화의 결과에 주목함. 문화 그 자체를 이론화하기보다는 오히려 문화가 자연에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문화 경관을 생산하는 과정을 연구했음.

- 사우어 및 그의 제자들 대다수에게 문화란 총체적 생활 양식이라는 인류학적 정의와 대체로 일치함. 이들은 문화를 기정사실로 인정되는 인간의 생활과 같은 존재 정도로 간주한 나머지 이러한 인간 생활의 내부적 갈등에 대한 정밀한 이해가 결여되어 있었음.


초유기체주의


- 윌버 젤린스키는 문화를 초유기체적인 존재로 이론화하려고 노력을 기울임.

- 초유기체주의는 인생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독립적이고 인력을 초월하는 세력에 대한 믿음을 일컬음. 이러한 믿음은 초유기체적인 문화가 인간의 의지나 의도를 독립적으로 초월하는 실재적 세력이 된다는 존재론적 가정을 전제로 함. 문화는 문화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소속되는 한편, 그들을 초월하는 존재임. 문화는 본질적으로 초유기체적이고 초개인적인 존재자로서 자기 고유의 동인과 동력에 의해 구축되는 구조를 독립적으로 갖고 있다는 것임.

- 젤린스키는 문화는 문화를 구성하는 부분의 집합을 초월하는 사물이기 때문에 문화의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매커니즘은 매우 복잡하다고 봄. 개인으로부터 문화에 이르고, 또한 역으로 문화로부터 개인에 이르는 문화적 독해가 불가능하다고 경고함. 또한 문화의 진행으로부터 개인의 행동을 예측하는 것보다 개인의 행동으로부터 문화의 구조를 추론하는 것이 더 어렵다고 생각함.

- 문화는 내부적 법칙에 따라 생존하고 변화하는 초유기체적 존재와 같은 하나의 총체.


초유기체주의에 대한 비판


- 초유기체주의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속한 세계가 조화보다 갈등이 만연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정. 그들은 이러한 세계를 이해하려면 미묘한 차이를 포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사회학적 의미를 가진 문화에 대한 개념을 고안해야 한다고 주장.

- 이들은 권력에 대한 이론을 최소라도 포함하는 문화 이론을 원했음. 권력에 대한 이론이 도움 없이는 생활에 대한 일상적인 투쟁 속에서 문화지리가 실질적으로 형성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판단.


- 제임스 던컨은 그동안 문화지리학자들이 명시적으로나 암시적으로나 문화가 초유기체라는 관념을 수용하였다고 비판함. 그의 비판에 의하면 문화를 과정으로 판단하기보다는 오히려 사물을 구체화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범했다는 것임. 그리고 이러한 구체화로 인해 문화를 구성하는 사회학적이고 심리학적인 요소를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고 지적. 즉, 초유기체주의에서는 인간을 문화라는 신비롭고 독립적인 세력으로부터 지시를 받으며 다만 피동적으로 행동하는 존재로 전락시켰기 때문에 사회에 대한 개인의 역할이 무시되었다는 것임.

- 던컨은 문화라는 용어가 의미하는 바가 인간의 상호작용이라는 단어로 압축될 수 있기 때문에 문화라는 용어가 단순히 사물을 묘사하고 설명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지 않고 인간 행위나 인간관계가 다양한 수준으로 실천되는 과정을 분석하는 데 이용되어야 한다고 주장.

- 영국 지리학자들의 견해에 의하면, 문화는 사회적 관계가 구조와 형상을 갖추며 이러한 형상이 인간에 의해 경험, 이해, 해석되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의미의 지도 maps of meaning 임.


- 초유기체에 대한 미국 문화지리학의 의존은 문화의 내부적 작용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적 차원보다는 오히려 문화를 구성하는 물질적 요소에 거의 맹목적으로 집착하는 결과를 초래함.

- 더욱이 문화의 기원에 대한 사우어의 관심은 기술적 현대주의에 대한 불신과 더불어 미국 문화지리학자들로 하여금 수세대에 걸쳐 진행되는 대규모적인 변형 과정에 우선적으로 주목하게 하는 데 영향을 끼침.

- 여기에 미국 문화지리학자들이 도시적 지역이나 사건, 현대적 생활을 무시하고 농촌적이고 예스러우며 원시적이고 지방적인 현상에 거의 배타적으로 집착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