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문화지리학

문화지리학 - 문화지리학의 접근 방법 - 신문화지리학의 문화 개념

좀좀이 2017. 2. 5. 23:33
728x90


- 피터 잭슨은 문화지리학이 특별히 주목해야 하는 대상은 문화 그 자체가 아니라 문화 정치 cultural politics 라고 생각함. 문화 정치에 대해 관심을 집중해야 하는 이유는 현재 당면한 정치적 상황을 반영하기 위한 것이라 주장.

- 문화 연구 분야는 1970년대 출현해 1980년대에 도약함.

- 문화 연구 분야는 사회, 권력, 지배, 저항, 양식 style, 소비, 이념 등을 강조.

- 신문화지리학 학자들은 이러한 문화 연구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문화적 경험이 공간과 장소에 구축되는 과정 - 즉 의미의 지도에 대한 연구를 개척.


- 당시 신문화지리학자들이 당면한 목표는 지리학자들에 의해 드물게 취급되어 온 사회 생활이라는 영역을 연구하기 위해 철저히 정치적으로 정의되는 문화 개념을 창안하는 것이었음.

- 이들이 우선적으로 연구하고자 한 대상은 인종에 대한 관념, 문화 공간의 생산에 대한 언어와 담론의 역할, 하부 문화의 발달과 유지, 젠더 gender, 섹슈얼리티 sexuality, 정체성 identity 등.

- 신문화지리학자들은 경관과 장소가 단지 물질적 인공물의 집괴, 사회적 행위를 수용하기 위해 비어 있는 용기에 그치지 않고 그 이상의 존재로 되어 가는 과정을 연구.


- 아이덴티티에 필요한 공간성 spatiality 그 자체는 문화지리학의 핵심적 관심사가 됨. 이는 곧 문화적 저항에 대한 연구의 증가로 이어짐. 이러한 유형의 연구들은 경제, 국가, 군대, 대중매체, 문화 산업 등이 우리 생활과 우리 자신들을 형상화하는 과도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보통 사람들이 어떻게 자기 고유의 역사와 지리를 계속 유지하고 관리해 나갈 수 있겠는가를 구체적으로 묻고 있음.

- 이들은 저항이 문화 정치의 요소 그 자체라 전제했기 때문에 저항에 관한 연구에서는 문화적이고 지리적인 경계 넘기 transgression 를 이해하기 위해 문화적 통제 control 와 경합 contestation 을 탐구.


- 아이덴티티의 공간적 차별화와 공간적 구축에 대한 관심 증대는 섹슈얼리티, 젠더, 인종, 민족과 국민에 대한 연구물의 폭증으로 이어짐.

-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아이덴티티의 수행에 대한 국지적 조건을 분석한다고 표명.

- 아이덴티티가 소비를 통해 구축된다는 자명한 이치를 탐구하기 위해 아이덴티티의 형성에 이르는 과정을 거시적으로 조사하는 연구물이 증가.

- 데이비드 매틀리스는 이러한 유형의 연구들을 수행적 도덕 지리 performative moral geography 에 대한 연구라 규정.

- 매틀리스는 수행성 performativity 라는 개념은 아이덴티티가 항상 사회적 실천이라는 사실을 상기하는 데 도움이 됨.


- 인종주의, 동성애 혐오, 젠더와 계급에 대한 억압은 도덕적 지리를 매개체로 수행.

- 국민, 민족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분석은 정치적 소속과 효과의 지리가 변화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이러한 분석은 지리의 변화가 문화 생산의 변화에 조건이 되기도 하고, 반대로 문화 생산의 변화로부터 영향을 받기도 한다는 사실을 자주 발견함.


- 문화는 공간적.

- 예전 문화이론에서는 시간이라는 요소를 다방면으로 강조해 문화적 전통이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수된다고 주장. 신 문화이론은 문화가 공간을 매개로 구축되기도 하고 반대로 공간 그 자체를 구축하기도 한다고 주장.

- 신 문화이론에서 공간적 메타포 metaphor 는 문화의 구축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대상. 신 문화이론에서 문화는 영역 realm, 매개 medium, 수준 level, 지대 zone 과 같은 공간적 메타포를 통해 정의됨.


신문화지리학에서의 문화 개념


- 인간이 물질적 세계의 세속적 현상에 의미와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물질적 세계를 상징적 세계로 변형시키는 매개.

- 변화가 경험되고 의문시되고, 구성되게 하는 매개 그 자체.

- 사회집단이 자신들의 특징적 생활 패턴을 발전시키는 수준이므로 세계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의미의 지도.

- 정치, 경제, 사회와 같은 다른 권역들만큼 중요하며, 이러한 권역들과는 분리되어 있는 인간 생활의 권역.

- 개별적인 수준 또는 권역, 영역, 관용어 idiom 이지만, 또한 생활 방식 전체로도 존재.

- 언어나 원문 text 또는 담론이지만 인종이나 젠더와 같이 사회적이고 물질적인 구성물이기도 함.

- 정치적 접촉의 접점이기도 하지만 곧 정치이기도 함.

- 일상적인 것이지만, 사람들이 생각하고 알고 있는 것 중 가장 좋은 것이기도 함.

- 실천 속에 수동적으로 존재하기도 하지만, 이와 반대로 능동적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체계이기도 함.

- 사람들이 추상적으로 세계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이기도 하지만, 구체적으로 궈력과 지배의 체계이기도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