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층 언어 상황은 때로는 '이중 언어 상용'이라고 불림.
- 동일한 언어의 변이어들이 한 공동체 내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상황에서 각각의 특수한 기능을 하면서 서로 중첩되지 않게 함께 사용되는 상황을 말함.
- 양언어 현상 bilingualism 과 양층 언어 현상 diglossia 의 차이점은 양언어 현상은 아예 다른 언어, 양층 언어 현상은 같은 언어에서 변이어들이 사용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 양층 언어 현상에서 두 변이어는 대개 상층어 high form 과 하층어 low form 로 구분됨.
- 상층어는 대개 법률, 교육, 방송, 행정 등과 같은 '높은 차원'의 기능을 위해 사용됨.
- 하층어는 대개 친구나 가족 간의 대화, 비격식적인 이야기, 쇼핑 등 '낮은 차원'의 기능을 위해 사용됨.
- 따라서 상층어는 대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정식 교육을 통해 배우게 되는 반면 하층어는 전형적으로 집에서 모어로 습득되는 경우가 많음.
- 단, 어떤 사회언어학자들은 과연 어떤 분야의 기능이 높은 차원의 것이고, 어떤 분야의 기능이 낮은 차원의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을 갖고 '높은'과 '낮은'이라는 표현 대신 간단하게 H변이어와 L변이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함.
- 이러한 양층 언어 사용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언어로는 아랍어가 있음. 표준 아랍어는 쿠란의 고전 아랍어인 반면, 시간의 흐름에 의해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방언이 존재하는데, 이 지역 변이형이 하층어를 구성함.
- 피시먼은 퍼거슨의 양층어 개념을 한 언어의 두 변이어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두 언어가 양층어 상황과 같이 상보적 관계에서 각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황까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해서 설명함. 이 경우 퍼거슨의 양층어 상황을 협의의 양층어 narrow diglossia, 피시먼의 양층어 상황을 광의의 양층어 broad diglossia 로 볼 수 있음. 예를 들어 튀니지의 경우, 프랑스어와 아랍어가 국어로 지정되어 있으나 각종 행정이나 교육 등에서 프랑스어가 많이 사용되며, 아랍어는 다시 표준 아랍어와 튀니지 방언으로 구분되어서 표준 아랍어는 공식 석상에서, 튀니지 방언은 일상 생활에서 사용됨.
- 이러한 양층 언어 현상은 그 상황에 포함되는 변이어 또는 언어의 수에 따라 더 확장될 수 있음.
- 한국의 경우, 이중 언어 사용 양상은 그다지 극명하게 나타나지 않음.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과 외국 여성들의 결혼 이주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이중 언어 사용 양상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음. 양층 언어 사용은 표준어-방언 사용 관계로 이해하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