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언어학은 사회학과 언어학의 학제적 성격이 있음. 사회언어학은 연구 영역이 넓어서 어떤 분야는 사회학에 가깝고, 어떤 분야는 이론언어학에 가까운 성격을 띄기 때문.
사회언어학은 언어사회학 sociology of language 라는 명칭으로도 불림. 언어사회학은 사회학과 언어학의 학제적 성격 중 사회학적 요소를 언어학적 요소보다 강조할 때 사용. 사회언어학은 사회 구조와 사회적 요인이 언중의 언어 사용과 어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중점을 두는 반면, 언어사회학은 언중이 사용하는 어형과 사용 양상을 바탕으로 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규명하는 데 주된 관심을 기울임.
사회언어학은 사회가 언어에 미치는 영향을, 언어사회학은 언어를 통해 사회 구조를 연구.
허드슨은 사회언어학이 사회적 관점에서의 언어연구 (study of language in relation to society) 이고, 언어사회학은 언어적 관점에서의 사회연구 (study of society in relation to language) 라고 정의했음. 그러나 둘의 구분은 명확하지 않고, 많은 부분에서 중복 영역을 갖고 있어서 둘의 구분이 큰 의미를 갖지는 못함.
사회언어학은 미시 사회언어학 micro-sociolinguistics 와 거시 사회언어학 macro-sociolinguistics 로 구분하기도 함.
미시 사회언어학 micro-sociolinguistics
- 협의의 사회언어학 - 즉 사회적 관점에서의 언어 연구를 지칭.
- 사회 구조와 사회적 요인이 언중의 언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다양한 어형과 언어 사용 양상이 사회 계층, 성, 나이 민족성 같은 사회적 요인과 어떤 상관관계를 보이는가를 연구.
- 대표적으로는 변이 이론 혹은 계량사회언어학 quantitative sociolinguistics 라고 불리는 언어 변이와 변화 language variation and chage 분야. 변이 이론은 언어 내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을 언어 자료를 설명하는 데 통합시킴으로써 언어 이론 linguistic theory 의 설명력을 증대시키려 함. 언어는 사회적 기능과 의미를 갖고 있으므로 단순한 언어 내적 설명만으로는 설명적 타당성 explanatory adequacy 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가정 하에 사회 요인적 설명을 보강한 더 나은 언어 이론의 정립을 지향.
- 대화 분석, 텍스트 분석, 방언학, 언어와 성, 언어와 민족성, 상황변이어 register 도 미시 사회언어학에 포함됨.
거시 사회언어학 macro-sociolinguistics
- 언어사회학과 유사한 학문 영역.
- 특정 사회 또는 특정 사회의 구성원들이 사회 내부에 존재하는 언어 또는 방언 변종들에 대해 어떤 행동 양상을 보이는가에 대해 거시적 관점으로 연구.
- 거시 사회언어학은 특히 언어 공동체 내에서의 언어 및 방언 변종들의 사용영역 domain of use 에 관심을 갖고, 언어 공동체 내의 화자들이 어떠한 사회적, 상황적 맥락에서 특정 언어 변종을 사용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언어 정책과 언어 계획, 언어 태도, 언어 교육 정책, 공용어 문제, 언어 권리 linguistic rights, 문화간 의사소통, 이중언어 사용과 양층어 상황 등을 포함한 언어 접촉 분야 등이 거시 사회언어학에 포함됨.
실제 사회언어학 연구에서는 거시적, 미시적 시각 모두 요구되는 경우가 많음.
이와 같은 미시 사회언어학과 거시 사회언어학 구분에 추가로 응용사회언어학을 별개 영역으로 보는 관점도 있음. 응용사회언어학은 사회언어학의 연구 성과를 교육에 관한 제반 문제, 법정이나 법률 문제, 여성이나 소수자의 인권 문제 등과 연결지어 실제 사회문제 해결에 직접적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