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여행 관련 학문 784

문화인류학 이론 - 역사적 특수주의

관심 단선진화주의를 비판, 현지조사 : 문화에 대한 연구는 풍부한 자료수집에 기초함을 강조. (인류 전체문화가 아닌, 개별문화의 독자성 강조 -> 문화의 다양성/문화상대주의) 이론 역사적 특수주의 / 문화 상대주의 -> 문화의 차이나 발전을 해당 사회의 특수한 역사적 배경에서, 또한 그것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를 해당 사회의 전체적 맥락에서 보아야함을 강조. 근거 예 : 에스키모 -> 동일한 환경에 있음에도 문화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 따라서 문화적 차이를 지리적, 인종적 결정론에 근거함을 거부. 방법 단선진화주의의 '안락의자 학자'들의 추리에 의한 사변적 차원에서의 이론전개를 비판하고 현지조사를 통한 구체적 민족지적 자료 (facts) 수집을 강조 -> 이론의 정립보다 사실의 기술에 치중. 대표적 ..

문화인류학 이론 - 단선진화주의

관심 인류문화의 기원과 발전과정 (인류 전체의 문화를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보편적 이론 (통시적 시각)- 자신들의 문명을 이해하기 위해 자기들 문명의 전단계인 미개문화 연구 이론 단선진화 -> 모든 문화는 하나의 방향으로 똑같은 단게를 따라 진화발전모든 문화는 동일한 역사과정을 밟음 - 이를 자연법칙적 과정으로 봄. 3단계설, 3단계이론- 마르크스의 유물론적 역사관도 여기에 해당 근거 생물학적 발전설에 기초 방법 '안락의자 학자' = 여행가, 탐험가, 선교사들의 이야기나 그에 의한 자료들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임. (사변적 추론에 의함)- 이야기나 자료들을 해당사회의 맥락과 무관하게 예증으로 이용 (꿰맞추기식 자료이용) 대표적 학자 E. Tylor, H.Morgan, J.Frazer, J.Bachofen..

문화인류학 개요

문화인류학의 등장 신대륙 개척으로 시작도니 새로운 세계에 대한 발견->인간에 대한 지식 확장->계몽기 들어와서 인류학에 대한 인식->1839년 프랑스 파리에 인류학 협회 등장->1869년 베를린 대학에서 독자적 학과 등장 (제국주의와 함께 발달) - 중세 시대에는 신학이 모든 학문이었음- 르네상스에는 철학이 학문이었음 민속학과 민족학의 차이 민속학 (folklore) - 한 민족집단의 민속만을 그 대상으로 한다.->최종목표는 '민속'에 대한 이해 민족학 (ethnography) - 다양한 민족의 존재방식을 비교연구->최종목표는 '인류'에 대한 이해 - 다민족국가에서는 민속학이 민족학(문화인류학)의 하부영역이 된다.- 단일민족국가에서는 민속학이 그들의 언어학과의 하부영역이 된다. (예-한국에서는 민속학이 ..

(문화인류학) 문화접변 및 그에 대한 재생운동

여행을 좋아한다면, 혹은 다른 나라에 관심이 많다면 문화인류학은 확실히 교양으로 한 번은 배워둘 가치가 있어요. 문화인류학을 한 번이라도 수업을 듣고 관련도서를 읽어보면 다른 나라의 문화 및 문화와 관련있는 여러 현상들에 대해 보다 잘 접근할 수 있거든요. 책으로도 공부를 할 수 있지만, 만약 기회가 된다면 교양수업으로 듣는 쪽을 강력히 추천해요. 문화인류학 책을 보면 차이를 강조하기 위해 다양하고 많은 사례들을 보여주는데, 그 때문에 오히려 책이 무언가 두리뭉실하다는 느낌을 주기도 하기 때문이지요. 사실 대학교 교양수업은 배우고 싶은 것을 배우기 가장 좋은 과정이지요. 쓸 데 없이 강제로 듣게 하는 교양과목들도 있다고 하지만, 자유롭게 고를 수 있는 교양과목들은 진짜 공부하고 싶은 것을 고르면 한 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