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관리의 공교육제도는 보편성과 통일성을 기본적으로 해서 출발.
- 국가관리의 공교육제도는 한 국가를 단위로 보편적인 이념과 목적을 추구하고, 교육의 운영방식에 있어서 통일성을 지향.
- 19세기 보편주의 국민교육의 사상적 기반 : 헤겔 철학의 보편성과 통일성
- 생시몽 Saint Simon 의 가르침의 통일성 uniformity of teaching 사상 : 구체적인 방향 제시
- 19세기 대중적 학교교육체제가 등장한 당시의 시대적 상황은 한 사회의 모든 구성원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강력한 결집요소로 사회 규범과 지식의 동질성이 절실히 요구됨.
- 당시 요구되던 동질성은 통일된 교육을 통해서만 가능했음.
- 한 국가 구성원의 강한 결속을 지탱하는 집합의식 collective consciousness의 효과적인 교육.
- 19세기 새로운 시민사회를 형성해야 했던 당시에는 모든 국민을 하나로 결속시키는 통일된 규범의식과 사고방식과 지식체계가 강력히 요청됨.
- 이러한 시대적 과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방안으로 통일지향적 학교제도의 수립 등장.
- 학교는 표준화된 지식과 통일된 가치관, 감성을 주입하는 역할을 부여받음.
- 신체동작과 생리적 요구까지도 순종적으로 만듦.
- 따라서 자연히 개인의 자유로운 학습 활동을 위한 다양하고 자유로운 교육은 억제되고 국가가 직접 운영하거나 강력하게 통제하는 획일적인 학교제도가 모든 교육활동을 지배.
- 모든 국민에 대한 통일된 보편적 교육을 국가가 실시하기 시작.
- 이러한 통일적 교육내용의 보편적 교육체제는 18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존재하지 않았음.
- 19세기에 인류 최초로 국가관리 공교육체제에 의해 모든 아동들에게 통일된 규범과 지식을 가르치는 초등교육 의무제 수립.
- 20세기 들어서는 모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중등교육 의무제 확립.
- 통일된 규범과 지식을 가르치는 보편적 학교제도는 보편적 사회화의 제도화를 의미.
- 보편적 사회화를 통해 한 사회의 공통적 감성과 신념 - 즉 집합의식을 사회 구성원들에게 내면화시킴.
- 이를 통해 사회구성원들의 동질성이 확보됨.
- 보편적 집합의식을 사회 존속의 기본 요건으로 파악한 뒤르켐은 공통성과 동일성을 국민들에게 가르치는 보편적 학교제도를 긍정적인 시각에서 기술.
- 그러나 뒤르켐은 이러한 학교 제도의 정당화가 국가주의적 교육제도를 강화시켜 획일주의적 사회를 지향할 수 있는 위험은 예측하지 못함.
- 더욱이 뒤르켐은 공통성과 동질설, 보편성이라는 이름 아래에서 학습의 자유와 교육의 자유가 억압될 수 있음을 간과함.
- 통일적 보편교육제도로 인해 교육이 정치와 경제의 도구로 전락하게 되는 경우
01. 대다수 국민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소수의 권력집단이 국가를 장악할 때
02. 특정 정치 이데올로기가 사회를 지배할 때
03. 물질적 생산 능률화를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산업주의가 사회를 지배할 때
- 현대 모든 국가는 산업국가이므로 모든 국가가 정치와 경제의 복합체.
- 국가체의 이러한 성격은 20세기에 들어서 더욱 분명해짐.
- 각기 다른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삼고 있는 국가 또한 국가 블럭 사이에 전쟁과 갈등이 계속되고 있음.
- 교육은 이러한 소용돌이 속에서 정치경제복합체에 종속됨 -> 도구적 위치에서 못 벗어나고 있음.
- 통일적 보편교육제도는 시험이라는 장치를 통해 통일성을 더욱 강화함.
- 시험은 각급 학교교육의 졸업이나 입학시 선발 기능을 담당 -> 통일된 지식과 규범의 학습 확인에 매우 효과적 장치.
- 만약 시험이 없다면 교육의 통일성과 동질성 유지는 매우 어려움.
- 근대적 학교 제도에 있어서 시험은 관료 제도의 전문 관료들을 선발하는 기능을 담당.
- 시험과 교육의 결합 -> 학력이 사회적 지위를 보장.
- 학교교육의 전과정이 사회적 지위의 분배를 위한 기제로 기능.
- 따라서 상급교육의 학력은 상위의 지위를 보장받는 증명이 되므로 모든 사람이 학력경쟁에 뛰어들지 않을 수 없게 됨.
- 이렇게 되자 모든 사람들이 학교교육을 의무화해서 강제로 받게 하지 않아도 자발적으로 학교 교육에 몰려들게 됨.
- 모든 사람이 경쟁적으로 학교 교육을 받고자 하기 때문에 통일적 보편교육은 국가가 의무제도로 강요하지 않아도 저절로 유지됨.
- 획일적인 교육내용도 저항 없이 수용됨.
- 지위경쟁의 장으로 공교육체제가 확립되면 교육의 자유와 학습의 자유는 더욱 축소됨.
- 지위획득을 위한 학력 경쟁에 도움을 주지 않는 교육과 학습은 현실적으로 가치를 잃음.
- 교육과 학습의 주어진다 해도 이는 학교제도 내에서의 성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만 강조됨.
- 학교교육이 비교육적인 것이 될지라도 학교제도에서 벗어날 수 없음 : 학교제도에서 벗어나더라도 학교제도에 맞춰져 있는 입시제도에 따를 수 밖에 없고 이는 결국 학교제도에 대한 수용.
- 지식과 규범의 통일을 위한 공교육제도는 모든 교육과 학습 생활을 지배.
- 공교육제도의 지배는 20세기 말에 이르기까지 어느 나라에서나 볼 수 있는 일반적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