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사회학

사회학 - 막스 베버의 관료제 조직 이론

좀좀이 2021. 1. 5. 07:33
728x90

 

- 관료제 : 관료의 지배.

- 관료제 bureaucracy : 1745년 드 구르네가 처음으로 사용.

- 사무실과 사무용 책상이라는 두 가지 뜻을 가진 bureau 단어에 그리스어의 '지배하다'라는 단어를 합성시켜 관료제라는 용어를 만들었음.

- 처음에 이 단어는 정부 관료들에게만 사용되었음.

- 이후 점차 일반적인 대규모 조직에까지 확대.

 

- 관료제라는 개념은 처음부터 경멸의 뜻이 담긴 말로 사용됨.

- 드 구르네는 관료들의 힘이 커져 가는 것을 관료증이라는 질병이라 말하기도 함.

- 발자크 : 관료제를 피그미들이 휘두르는 막대한 권력이라 비판.

- 이러한 견해는 현재까지도 지배적으로 나타남 - 관료제는 종종 비효율 및 낭비와 연관됨.

 

- 그러나 관료제를 이와는 다른 측면에서 본 사람들도 많음.

- 관료제를 다른 측면에서 본 사람들은 관료제를 신중함과 정확함, 효율적 행정의 표본으로 봄.

- 이들의 주장에 의하면 모든 업무들이 엄격한 규칙에 따라 통제되는 관료제야말로 사실상 인간이 만들어낸 가장 효율적인 조직 형태.

 

- 관료제에 관한 가장 영향력 있는 설명인 막스 베버의 설명도 관료제에 대한 옹호와 비판 사이에서 왔다갔다함.

 

- 막스 베버 : 현대 조직의 성장에 관한 체계적인 해석을 최초로 발전시킨 학자.

- 조직은 시간과 공간을 통해 안정된 방식으로 인간의 행위와 그들이 만들어내는 재화를 조정하는 방식이라 주장.

- 조직의 발달이 정보의 통제에 의존한다는 사실 강조.

- 또한 이 과정에서 서류의 중요성을 지적.

- 조직이 기능하기 위해서는 문서화된 규칙과 '기억'이 축적된 서류가 필요.

- 베버는 사회 생활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고 보았던 현대 조직과 민주주의 사이에는 연관이 있는 정도로 그치지 않고 그 사이에 괴리도 존재함을 발견.

 

- 베버에 의하면 현대의 모든 조직은 본질상 상당한 정도로 관료제적 성격을 갖고 있음.
- 베버는 과거의 전통 사회에서도 제한된 수이기는 하나 관료적 조직이 존재했었음을 지적.

- 과거 중국에는 관료적인 관리 집단이 존재했고, 이들이 정부 행정 전반을 장악.

- 그러나 관료제가 완전히 발전하게 된 것은 현대.

- 베버는 관료제를 과학으로부터 교육과 정부 활동에 이르기까지 삶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끼치는 사회 합리화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봄.

- 현대 사람들은 전통적인 신념과 관습에 기대기보다는 뚜렷한 목적 속에 합리적 결정을 내림.

- 이런 특정한 결과를 낳기 위해서 가장 효율적인 방안으로 선택된 것이 관료제.

 

- 베버에 의하면 현대 사회에서 관료제가 확장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상.

- 대규모 사회 체계의 행정적 요구들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관료적 권위가 발전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

- 과업이 복잡해질수록 이것을 다루기 위해서는 통제와 관리 체계가 발전해야 함.

- 관료제는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 합리적이고 고도로 효율적인 반응으로 출현.

 

- 베버는 한편 이와 더불어 관료제에는 일련의 커다란 문제점들이 존재하며, 이러한 문제점들이 현대의 사회적 삶의 성격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고 주장.

 

- 관료적 조직이 확장되는 것의 기원과 그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베버는 관료제의 이념형을 만듦.

 

01. 명료한 권위의 위계 존재.

- 관료제는 피라미드 모양으로 짜여 있음.

- 가장 높은 권위를 가진 사람이 피라미드 정점에 위치.

- 위에서 아래로 명령의 연쇄가 있어서 조정된 의사 결정 가능.

- 조직의 업무는 공식 임무로서 분배되며, 각 상위 관리들은 위계의 아래쪽에 있는 사람들을 통제 및 감독.

 

02. 조직의 모든 수준에 있어서 성문화된 규칙이 관료들의 업무 수행을 통제.

- 관료제적 임무가 단지 일상적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음.

- 직위가 높을 수록 규칙은 더 넓은 다양한 상황들을 포괄하고 그 해석에 있어서 융통성을 필요로 함.

 

03. 관료들은 전일제로 고용되며 봉급을 받음.

- 관료제의 위계에 속하는 모든 직업은 그에 따라 명확하게 결정된 봉급을 받음.

- 관료제에서 일하는 개인은 그 조직 내에서 경력을 쌓도록 기대됨.

- 능력, 연공서열, 그리고 이 둘의 혼합에 의해 승진 가능.

 

04. 조직 내에서의 관료의 업무와 조직 밖에서의 생활은 분리.

- 관료의 가정 생활은 일터에서의 활동과는 구분됨.

- 공간적으로도 분리됨.

 

05. 조직에 속하는 그 누구도 조직에서 사용하는 물질적 자원 소유 불가능.

- 관료제의 발달이 근로자들을 그들의 생산 수단에 대한 통제로부터 분리.

- 전통적인 공동체에서 농부들과 수공업자들은 보통 생산 과정을 통제했고, 생산수단 및 도구 소유.

- 관료제에서 관리들은 자신이 일하는 사무실과 자기가 앉는 책상이나 사용하는 사무기기들을 소유하지 않음.

 

- 베버는 조직이 관료제의 이념형에 가까워질수록 그 조직이 설립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더 효율적이라 믿음.

- 관료제가 다른 형태의 조직에 비해 기술적인 우월성이 존재한다고 주장.

- 관료제를 종종 정교한 기계로 여김 - 관료제는 규정된 업무를 완성함에 있어 숙련, 정교함, 속도를 극대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