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버트 머턴 : 미국 기능주의 사회학자
- 머턴은 베버의 관료제 이념형을 연구하면서 관료제의 본질적인 여러 요인들이 관료제 자체의 온전한 기능에 따라 해로운 결과를 야기할 수도 있다고 결론냄.
- 머턴은 관료들이 문서화된 규칙과 절차를 엄정하게 따르도록 훈련된다는 점을 주목.
- 관료들은 융통성이 있거나 결정을 함에 있어서 자신의 판단을 적용하거나 창의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도록 자극되지 않음.
- 관료제는 일련의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일하기 위한 것.
- 머턴은 이런 문서화된 규칙과 엄정한 절차 준수가 관료제적 의례주의를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 -> 다른 해결책이 더 나을 수 있는 경우조차 규칙이 어떤 경우든 고수되는 상황.
- 관료제적 규칙 준수가 궁극적으로 본질적인 조직 목표에 우선할 수 있음.
- 정확한 절차를 따르는 것에 너무 많은 강조가 주어지기 때문에 그림 전체를 보지 못할 수 있음.
- 예를 들어서 정당한 민원에도 서류 미비, 서류상의 오탈자 등과 같은 이유로 거부 가능.
- 규정된 과정 준수가 실제 조직의 존재 목표보다 더 우선시될 수 있음.
- 관료제의 규정 최우선주의는 여러 가지 부작용, 대응 미비, 더 나아가 정작 추구해야 하는 목표 달성을 가장 크게 가로막는 장애물로 작용하기도 함.
- 관료제의 역기능이 발생할 때 일반 대중과 관료제 간의 긴장 가능성이 존재.
- 일반 대중은 빈번하게 공무원이나 관료들이 일반 대중의 요구에 무관심한 듯한 상황을 맞닥뜨리곤 함.
- 관료제의 중요한 약점은 특별한 처리나 고려를 필요로 하는 사례를 다루기 어렵다는 점.
- 한국에서 공무원에 대한 불만을 떠올려보면 이해하기 쉬움.
총체적 기관
- 미국 사회학자 어빙 고프만의 연구.
- 상호작용론적 관점.
- 사회현상을 사회적 행위자들이 자신들을 둘러싼 세계에 부여하는 의미를 탐구해 그들의관점에서 조사.
- 고프먼은 총체적 기관의 작용을 그 속에서 지냈던 사람들의경험을 통해 이해하려고 시도.
- 총체적 기관 : 정신병원, 교도소, 신병훈련소, 수도원 등.
- 거기에 속한 사람들에게 바깥 세상과 완전히 고립된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규제하는 시스템을 가진 기관들.
- 고프먼은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의 자아 의식에 일어나는 심각한 변화 이해를 위해 노력.
- 총체적 기관은 정교화된 관료제의 한 사례.
- 총체적 기관은 구성원들을 강제하는 복잡하고도 엄격한 절차에 의해 이끌어지는 기관.
- 총체적 기관 속의 개인들은 자신들이 엄격하게 조직되어지고, 완벽하게 미리 계획되어지고 아주 세밀하게 감독되는 세계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고 여김.
- 고프먼은 이와 같은 상이한 유형의 총체적 기관들이 일정한 특징을 공유하고 있음을 확인.
- 신입자들은 그들의 이전까지 가지고 있었던 '자아감'이 벗겨지게 됨.
- 한 인간으로서의 개인성이라고 하는 것은 기관의 규칙에 따라 재정립됨.
- 개인적 소지물은 제거됨.
- 개인을 확인할 수 있는 특징들은 중화됨 : 의복은 유니폼으로 바뀌고 머리 모양도 표준화되고 새로운 이름이나 확인번호가 부여됨.
- 친구나 가족 관계를 포함한 외부 세계와의 연계가 차단됨.
- 구성원들은 여러 다양한 방식으로 더 이상 과거의 자신이 아니라는 생각을 되풀이하여 주입당함.
- 기관의 한 구성원으로서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받음.
- 총체적 기관에 수용된 사람들을 스텝진과 분리시키는 명확한 기준 존재.
- 매일의 일과는 스텝인 직원들에 의해 계획되고 감독됨.
- 스텝들은 구성원들이 보이는 복종의 정도에 따라 벌하거나 보상을 주는 권한을 갖고 있음.
- 복종을 확실히 하는 이러한 절차는 자아의 상실 mortifacation of self 에 의해 부분적으로 강화됨.
- 총체적 기관에 새로 들어온 사람은 자신이 이전까지 갖고 있던 자아의 개념이 무너질 때까지 선임자나 동료들 앞에서 체계적으로 모욕당하고 가치 절하당함.
- 자아의 상실은 건강 검진, 육체 노동의 할당, 사생활 박탈, 중요도를 떠나 모든 일에 허락을 받아야하는 요건 등을 포함해 다양한 방법으로 발생.
- 고프먼은 총체적 기관에서의 경험에 대해 수용자들이 보이는 반응을 확인.
- 이는 극심한 저항해서부터 수용, 더 나아가 조직의 한 부분이 되는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함.
- 고프먼은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수용자들이 냉정하게 행동함으로써 자아감을 포기하도록 하는 압력에 저항한다고 봄.
- 수용자는 그럭저럭 지내거나 문제를 일으키지 않기 위해 요구되는 것의 최소한만을 함으로써 자신들을 심리적으로 방어. (수동화)
- 수용자는 시스템에 직접적으로 저항하기 보다는 그것에 적응하는 보다 현실적인 방편을 찾아냄.
- 한국의 대표적인 사례 : 징집당해 의무복무중인 군인들 (스텝 : 장교, 수용자 : 일반 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