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 교육에 대한 상호작용이론에서의 교사와 학생의 관계 및 상호작용

좀좀이 2020. 10. 4. 17:03
728x90

교육사회학 - 교육에 대한 해석적 접근에서의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 학생들은 자기들 나름의 교사에 대한 기대를 갖고 있고, 이상적 교사상을 갖고 있음.

- 학생들의 '이상적인 교사의 모습'은 교사를 평가하고 등급을 매기는 기준으로 작용.

- 한국에서 학생들은 엄할 때는 엄하고 잘해 줄 때는 잘하며, 꼼꼼하게 잘 가르쳐주는 교사를 존경하는 교사의 모습으로 보고 있음.

- 한국에서 학생들은 학생들에게 친근하게 대하면서 항상 마음이 착한 교사는 학생들이 좋아하기는 하지만 존경하지는 않음.

- 한국에서의 학생들이 갖고 있은 이상적인 교사의 모습은 하그리브스가 영국 학생들이 갖고 있는 이상적인 교사의 모습과 별 차이 없음.

- 학생들은 남교사와 여교사, 기혼교사와 미혼교사에 대해 다르게 대함.

- 또한 학생의 성별에 따라 남교사와 여교사를 대하는 방식이 다름.


- 학생만 교사를 유형화하는 것이 아님.

- 교사도 학생을 유형화함.

- 교사가 학생을 유형화하는 기준은 반드시 교육적인 것은 아님.

- 여러 연구는 교사들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학생의 계층적 배경을 기준으로 삼아 학생을 구분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보고함.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 교사와 학생은 각자의 자아개념과 상대에 관한 지식을 바탕으로 상호작용.

- 교사는 학교라는 제도가 만들어놓은 제약조건과 기대 속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그만큼 행위의 자유가 제한됨.

- 그러나 교사는 교사로서의 자신의 역할에 대한 인식과 자신이 가르쳐야 할 학생들에 관한 지식을 기초로 활동.

- 학생들은 학생으로서의 역할 인식과 교사에 관한 지식을 기초로 활동.

- 교사의 행위와 학생의 행위는 상호 간에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교실 수업을 만들어감.


-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은 교사라는 행위자와 학생이라는 행위자 사이에 벌어지는 활동이므로 각자는 그 나름대로의 대응행동을 의식적으로 선택.

- Peter Woods : 교사와 학생의 상호간 대응행위를 '전략' strategies 라고 비유.

- 상호작용의 전략 또는 대응방식은 교사와 학생 양쪽이 각기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만듦.

- 피터 우즈가 관찰한 교사의 8가지 전략

01. 사회화

02. 지배

03. 협상

04. 친애

05. 회피, 격리

06. 관례화

07. 직업적 처방

08. 사기 진작

- 피터 우즈가 관찰한 학생들의 12가지 전략

01. 공부하기

02. 땡땡이

03. 웃기

04. 꾸물대기

05. 빈둥거리기

06. 재빠르게 하기

07. 소란 피우기

08. 친근하게 대하기

09. 가만두기

10. 잡담하기

11. 위험/매수

12. 떠보기

- 교사의 전략과 학생의 전략은 서로 대응되는 것이 많음 -> 학급상황에서 교사와 학생이 서로 상호작용하기 때문.

- 전략은 이 외에도 더 존재할 수 있고, 다른 방식으로 존재할 수도 있음.

- 학생 입장에서는 호응적 supportive, 대항적 oppositional, 분리적 detached 전략이 추가로 존재.

- 교사 입장에서는 동기유발적 전략 motivational strategies, 통제 전략 control strategies, 정체유지 전략 identity maintaining strategies, 교육적 전략 pedagogical strategies 등이 추가로 존재.


- 상호작용이론의 틀을 적용한 연구들은 교육 상황을 구성하는 행위자로서의 교사와 학생에 관한 새로운 지식을 제공하고, 그들 간의 상호관계를 생생히 기술함으로써 교실 내의 살아있는 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여줬음.


- 상호작용이론의 한계

01. 상호작용을 주로 대결과 갈등의 관계로 파악함으로써 교사와 학급 간의 관계를 불완전하게 묘사.

-> 학급 안팍에서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대결, 속임수, 부끄럽게 만들기, 무시하기 등 부정적 행동도 존재하나 동시에 이해, 협조, 존중, 존경, 칭찬 등의 행동도 많이 포함되어 있음.

-> 그러므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전략에는 협력적인 것들도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됨.

02. 행위자의 입장에서 상황을 파악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국외자인 연구자의 관점이 개입되는 것을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움.

-> 연구자의 관점으로 행위자의 언행을 해석하는 것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한계를 스스로 갖고 있음.

03. 교사와 학생 각각의 행동 및 상호관계가 일어나는 사회적, 역사적 맥락을 경시 또는 무시하는 경향이 있음.

-> 교사와 학생이 사회적, 역사적 진공 속에서 스스로 완벽히 자유의지를 갖고 행동하는 것처럼 착각하게 만드는 문제가 있음.


- 막스 베버의 사회적 이론을 교육 연구에 적용하는 사람들은 미시적 접근에 내재해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거시적 접근과의 통합적 접근을 시도.

- 상호작용이론이나 현상학접 방법을 적용한 미시적 접근에 의거한 연구들은 행위자의 상황규정을 강조 -> 사회를 만들어가는 것은 바로 그 사회의 구성원인 것으로 간주 -> 학급 수업을 만드는 것은 학생과 교사라고 봄.

- 그렇지만 교사 및 학생의 상황규정은 그 학급이 한 부분으로 속해 있는 학교제도, 나아가 사회 구조 및 역사적 상황이라는 사회역사적 맥락의 한게에 의해 규정받음.

- 교사와 학생이 전략을 세워 상호작용하는 것이 각자의 완전한 자유의지에 의한 것처럼 생각해서는 안 됨.

- 교사와 학생은 상황적 조건 하에서 전략을 세우고 행동.

- 그러므로 교사와 학생이 왜 그렇게 생각하고 그렇게 행동하는지를 사회적 맥락에 비추어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로날드 킹 Ronald King : 상호작용이론과 현상학적 방법의 한계, 기능주의와 마르크스주의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이 베버의 방법론에 있다고 주장.

- 학교 생활은 내부의 교사, 교장, 학생들에 의해 영위되나, 그들은 학교 외부의 학부모, 교육관료, 정치인, 경제인 등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으면서 행동.


- 콜린스 : 교육은 이해 관계를 달리하는 여러 집단 간의 각축장 -> 각 집단의 요구, 집단 간 관계 및 사회역사적 맥락을 파악해야만 교육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

- 역사적으로 교육은 스스로의 목적을 실혀하려는 다양한 집단에 의해 지배되고 이용되어 왔음. 이 집단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

01. 교육을 통해 직업기술훈련을 실시하고 인력을 공급함으로써 경제적 이득을 취하려는 집단 (기업가, 자본가 등)

02. 인문지향적인 교육을 통해 교양과 인품을 함양하는 것에 역점을 두려는 상류게층 관련집단 (학자, 귀족, 종교인 등)

03. 정치권력을 확보하고 국가관료기구에 대한 지배를 추구하며 국민들에 대한 정치적 지배를 위해 교육을 이용하려는 집단 (정당을 포함한 각종 정치권력 집단)

- 이들 집단 중 누가 교육을 장악하는지에 따라 교육의 성격이 달라지고, 교사와 학생의 행위에도 변화가 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