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사회지리학

사회지리학 - 농촌에 대한 접근과 통제 - 중산층과 목가적 이미지

좀좀이 2019. 9. 22. 21:03
728x90

사회지리학 - 농촌에 대한 접근과 통제 - 중산층과 목가적 이미지


- 사회에는 많은 구분과 차별의 축이 존재.

- 많은 축들은 경관적 관점에서 지리학적 맥락 속에서 연구되어 왔음.


계급


- 계급 관계는 경관의 물리적 실재와 자연과 촌락, 황야에대한 사람들의 지각을 구조화.

- 사회에서 계급 구분은 역사적으로 인구 감소, 초지 개간, 역사상 서로 다른 시기에 상이한 경관에 부여되는 지배적인 사회적 가치 등을 통해 경관의 물리적 구조를 조형해 왔음.

- 농촌 지역에서 명백한 토지 소유자의 중요성이 지난 수십 년 동안 소멸하고 농촌 취락에서의 계급 관계도 매우 위계적이고 직업적인 공동체 관계로부터 급속히 멀어져 왔지만, 농촌 경관에 대한 접근과 통제에서 계급 구분이 도시와 농촌 사회에서 더 이상 중요한 구분이 되지 못한다고 가정하는 것은 문제가 많은 생각임.


- 농촌의 목가는 문학에서 널리 퍼져 있는 주제.

- 목가의 핵심적 토대는 농촌 주민들은 행복한 사람들이며, 만약 어떤 불리한 점이 있더라도 어쨌든 자연과 유기적인 농촌 풍광의 일부라는 것.


- 도시 보전 시책이 광범위한 사회 및 공동체 개발시책과 연계되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촌락의 보전'도 다른 사회집단 구성의 의제와 연결되어 있음.

- 그러나 이러한 의제들은 일반적으로 사회적 의미에서 배타적 -> 엘리트로 일컬어지는 집단들의 환경적 가치와 생활 편의시설을 둘러싼 이해 관계가 사회의 비특권 계급의 고용과 주택과 같은 보다 기초적인 수요와 배치되기 때문.

-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무비판적으로 제시되었던 사고 - 즉 획일적인 농촌 목가가 사람들 마음 속에 존재한다는 것과 이러한 일련의 이미지는 사람들을 시골로 유인하는 중요한 흡인요인으로서 작용하고 또한 시골에 정착한 뒤에도 그들의 행태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

- 중산층 유입자들은 전통과 경관에 대한 선입견으로 특징지어지는 촌락에 대한 생각을 갖고 있음.

예) 농촌 거주민의 편의를 위한 현대적 건물 및 시설이 농촌에 들어서는 것에 대해 혐오감을 보이는 중산층 유입자들의 행태.

- 중산층이 보존하고 싶어 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생각이며, 실제로는 보잘 것 없음.


- 마음의 촌락 : 중산층은 '농촌의 목가'를 향한 강한 지향을 보이며, 비록 그들이 이러한 지배적 이미지를 만드는 것에 계기가 되지 않았지만, 개발과 변화에 직면해서 목가를 유지하는 것이 다른 계급보다 그들에게 훨씬 중요한 경향 존재.

- 이 점은 국지적 서비스의 상당한 감소와 같은 과정으로서 그들의 관점을 멀어지게 하는 자원에 대한 접근성과 그들의 고용 기회가 거주하기로 선택한 지역의 경제적 여건에는 직접적으로 거의 의존하지 않는다는 사실과 함수관계에 있음.

-

- 중산층 유입자들은 환경 관련 압력단체나 지방의회와 같이 농촌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국지적 기관에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실질적 역량을 갖고 있음.

- 이 점은 특정한 농촌 지역에서 무엇이 적절하고 적절하지 않은지에 대한 중산층의 인식을 전체적인 수준에서 반영.


- 녹지대의 개발 결과와 기존 주택에 대해 원래 농촌 주민들보다 훨씬 높게 입찰할 수 있는 재정적 능력 때문에 농촌 지역은 점점 중산층 유입자들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


- 따라서 촌락의 계급 관계를 대저택의 지주와 시골 대지주들이 사회적 지위와 존경을 받았던 과거 시대의 역사적 잔존물이라고 간주하는 것은 잘못된 것.

- 실제로 농촌 지역에서 계급 관계의 특성은 해당 지역의 사회적 구성이 시간이 자나면서 변화했기 때문에 바뀌어왔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