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 교육과정사회학에 대한 비판

좀좀이 2019. 8. 1. 23:00
728x90

교육사회학 - 교육과정사회학에 대한 비판


- 교육과정사회학은 교육사회학의 연구 범위를 넓혀준 점, 교육 외의 사회구조적 문제에만 편중되어 있던 교육사회학의 연구 관심을 교육 내부의 문제로 끌어들임.


- 그러나 교육과정사회학에는 여러 가지 약점이 지적됨.


01. 교육과정사회학자들은 학교지식을 '사회적으로 만들어진 것' socially constructed 라고 규정함.

- 지식의 사회적 성격을 지적한 것까지는 좋았음.

- 그러나 지식을 마치 누구나 자기 멋대로 만들어낼 수 있는 것처럼 과장하는 문제가 존재.

- 지식이 사회적으로 형성된다고 해서 학교 교육과정이 언제나 엄격한 학문적 검토 과정을 거치지 않고 자의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님.


02. 지식이 특정 시대에 특정 집단에 의해 형성된다 해서, 그 지식이 그 시대와 그 집단의 이익에만 봉사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없음.

- 특정집단 - 예를 들어 자본가 계급 또는 중류 계급의 이익에 도움이 되는 지식이 존재할 수는 있음. 그러나 모든 지식이 그런 것은 아님.

- 그러나 교육과정사회학자들은 이것을 구별하지 않고 마치 학교가 가르치는 모든 지식이 특정 계급을 위한 지식인 것처럼 암시.

- 교육과정사회학은 자칫하면 극단적 상대주의적 지식관으로 치달을 위험을 안고 있음.

- 지식은 시대에 따라 다르고 집단에 따라 다르므로 어떤 주장도 지식이 될 수 있고, 반대로 어느 것도 보편적 지식은 될 수 없다고 주장할 수도 있음.

- 실제로 신교육사회학에 속하는 사람들 중에는 지식은 철저히 상대화되고 절대적 지식의 가능성은 부정된다고 주장.


03. 교사가 학생들을 '우등생'과 '열등생', '모범생'과 '문제 학생' 등으로 범주화하는 것이 교육적 요인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주장.

- 이 주장이 상당한 정도로 사실이라 해도, 교육과정사회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범주화가 학생들의 학업 성취와 장래 진로를 전적으로 결정한다고 쉽게 단정지을 수 없음.

- 학생들은 그들 나름대로 대응 전략과 방법을 구사하고, 수동적으로 끌려가지만은 않는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밝혀짐.


04. 교육과정사회학자들이 교육 과정, 교사, 학생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킨 것까지는 좋았지만, 사회 구조를 경시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

- 학교의 내부에 초점을 둠으로써 학교 및 교사와 학생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 구조의 문제에 적절한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위험을 내포하고 있음.


- 그렇지만 이러한 한계가 지적되고 있음에도 교육 과정을 비롯한 학교 내부의 문제에 대한 연구와 이론적 논의는 학교 교육 현상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에 필수적.

- 다만 미시적 관점에 한정하지 않고 사회 구조에 대한 거시적 관점과 연결시킨다면 그 성과가 더욱 확대될 수 있음.


번스타인

- 사회언어학의 문제에서 시작해 교육 과정 문제로 연구의 관심을 발전시킴.

- 교육과 경제적 생산체제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이론적 모형 구상.

- 나아가 교육에 관한 사회과학적 담론구조를 정교화하는 것에 진력.

-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의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두 접근을 모두 자신의 이론적 모형에 포함시키려는 노력은 주목할 만 함.


- 애플 Michael Apple, 웩슬러 Wexler : 신마르크스주의 관점에 대해 비판함. (비판적 교육학자)

- 그람시 같은 신마르크스주의의 관점을 갖고 교육과정, 교과서, 교사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학교가 '충실한' 또는 '무기력한' 재생산기제인 것처럼 설명하는 재생산이론을 비판.

- 이들은 나아가 교육에 관한 논의를 학교에 한정하지 않고 전체 사회 내에서 일어나는 문화의 생산과 유통, 기득권 집단 문화와 주변 집단 문화의 경쟁, 문화정치학 등에까지 확장시킴 -> 교육에 관한 담론을 문화에 관한 담론과 접근시킴.

- 교육 과정에 관한 교육사회학적 연구는 '비판의 언어' 뿐만 아니라 '가능성의 언어'도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

- 이들의 노력의 결과로 교과서에 담긴 지식에 관한 사회학적 문석과 더불어 문화 전체에 대한 교육사회학 연구가 확대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