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사회심리학

사회심리학 - 잘못된 합의 효과, 잘못된 독특성 효과

좀좀이 2018. 5. 26. 12:30
728x90

사회심리학 - 잘못된 합의 효과, 잘못된 독특성 효과


잘못된 합의 효과 false consensus effect

- 자신의 의견과 자신의 바람직하지 않은 또는 성공하지 못한 행동의 공유성을 과대평가하는 경향.


-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이 하는 것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정도를 과대평가하거나 과소평가함으로써 자아상을 향상시키는 경향이 있음.

- 견해에 있어서 사람은 다른 사람이 동의하는 정도를 과대평가함으로써 자신의 견해를 지지하는 것을 알 수 있음.

- Sharad Goel, Winter Mason, Duncan Watts : 페이스북 사용자들이 정치와 다른 이슈들에 있어서 그들의 친구들에게 동의할 때에는 90% 정확하게 추측했으나, 의견 차이를 추측할 때는 고작 41% 정확하게 추측한다는 사실 발견.

- 대부분의 경우, 친구들이 자신과 동의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자신과 동의한다고 생각.

-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도록 한 경영학과 학생들의 경우, 다른 학생들이 자신과 같은 결정을 할 지에 대해 과대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인간이 세상에 대해 갖고 있는 감각은 상식과 같다고 할 수 있음.


- 과제를 잘못하거나 실패한 경우, 그 같은 실패가 누구나 그런 것이라 생각함으로써 자신을 안심시킴.

-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거짓말한 후, 그 거짓말을 다른 사람들이 정직하지 못한 것으로 지각하기 시작.

- 만약 다른 사람에 대해 성적 욕구를 느낀다면, 다른 사람의 상호적 욕구를 과대평가할 수도 있음.


- Dawes : 이러한 잘못된 믿음이 자신을 포함하는 현저하게 제한된 표본으로부터 일반화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고 제안.

- 다른 정보가 부족할 때 왜 사람들은 자신을 투사하지 않고, 왜 자신의 지식을 다른 사람에게 귀속시키지 않고, 왜 그들이 반응 경향의 단서로 우리의 반응을 사용하지 않는가 ->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수에 속함. 그래서 사람들은 그들이 다수에 포함된다고 여길 때, 그들은 대개 옳다고 추측함.

- 또한 사람들은 태도와 행동을 공유한다고 여기는 사람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 같으며, 그 결과로서 우리가 아는 사람들로부터 세상을 판단하는 경향이 있음.


잘못된 독특성 효과 false uniqueness effect

- 누군가의 능력, 욕구, 또는 성공적인 행동의 공통성을 과소평가하는 경향.


- 능력과 관련해 또는 우리 행동을 잘 했을 때, 또는 성공적으로 수행했을 때에는 잘못된 독특성 효과가 종종 더 발생.

- 사람들은 자신의 재능과 도덕적 행동을 상대적으로 보편적인 것으로 봄으로써 자아상에 도움을 줌.

- 네덜란드 대학생들은 정치와 같은 견해에 관해서는 더 큰 집단의 일원이 되기를 선호 (잘못된 합의). 그러나 음악적 선호와 같은 취향에 관해서는 더 작은 집단의 일원이 되기를 원함. (잘못된 독특성)

- 대리운전사를 지정하거나 식사와 함께 음주를 함으로써 자신을 지키는 여대생들은 다른 여성들도 그와 같은 일을 한다는 것을 과소평가함.

- 결국 우리의 실패는 상대적으로 정상적인 것이 되고, 우리의 미덕은 상대적으로 예외적인 것이 됨.

- 자기고양 편향은 자기고양 귀인, 자기축하적 비교, 착각적 낙관주의, 자신의 실패에 대한 잘못된 합의로 나타남.


자기고양 편향에 대한 설명


- 우리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처리하고 기억하는지에 대한 부산물로서 자기고양을 이해.

- 자기 자신을 타인과 비교하려면 자신과 타인의 행동을 주목하고, 평가하고, 회상하는 것이 필요.

- 따라서 인간의 정보처리과정에는 다양한 결점 존재.

- 자기 지식을 탐구할 때, 우리는 우리의 능력을 평가하려고 동기화됨.

- 자기확증을 탐구할 때, 인간은 자신의 자기개념을 검증하려고 동기화됨.

- 자기확언을 탐구할 때, 인간은 특별한 자아상 편파를 고양시키려 동기화됨.

- 자긍심 동기는 우리의 자기고양 편향의 힘이 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