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사회학

사회학 - 범죄와 일탈에 대한 상호작용 이론 : 낙인 이론 및 일탈 확대

좀좀이 2018. 2. 28. 06:30
728x90

사회학 - 범죄와 일탈에 대한 상호작용 이론 : 낙인 이론


- 상호작용 이론에서 범죄와 일탈을 연구하는 사회학자들은 비행을 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상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춤.

- 타고난 '비행적인' 행위 유형이 있다느 것을 받아들이지 않음.

- 어떻게 초기의 행위가 비행으로 정의되고 왜 어떤 집단은 일탄 집단으로 불려지고 다른 집단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해 의문 제기.


학습된 일탈 - 차별적 결합


- 일탈이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된다는 주장을 펼친 초기 학자들 중 한 사람은 에드윈 H.서덜랜드.

- 1949년 서덜랜드는 이후 상호 작용론자들의 많은 연구에 영향을 끼친 개념을 발전시킴.

- 서덜랜드는 범죄를 차별적 결합 differential association 과 연결시킴.

- 당야한 하위 문화를 포함한 사회에서 어떤 환경은 그렇지 않지만, 어떤 사회 환경은 불법적인 활동을 격려하는 경향이 있음.

- 개인들은 범죄적 규범을 전달하는 사람들과 결합하면서 일탈을 저지름.

- 서덜랜드는 대부분 범죄 행위가 일차 집단 - 특히 동료 집단에서 학습된다고 주장.

- 이 이론은 다른 사람들과 범죄자들을 구분하는 것이 심리적 차이라는 견해에서 대조를 이룸.

- 차별적 결합론은 범죄 행위를 법을 준수하는 행동과 같은 방식으로 학습된 행동이자 동일한 욕구와 가치를 지향하는 활동으로 간주.

- 도둑은 돈을 벌려고 노력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일을 하는 사람과 같으나, 그것을 이루는 방법에서 비합법적인 수단 선택.


낙인 이론


- 낙인 이론가들은 일탈이 개인이나 집단의 특성이 아니라, 일탈자와 비일탈자간의 상호작용 과정이라 주장.

- 법과 질서의 힘을 보여주고자 하는 사람들 또는 전통적인 도덕성의 정의를 다른 사람에게 강요할 수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의 낙인을 찍음.

- 이처럼 일탈이라는 범주를 만들어내는 낙인은 사회의 권력 구조를 나타냄.

- 대체로 일탈이 정의되는 규칙들은 가난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부자들에 의해, 여성을 대상으로 남성에 의해, 젊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다수 인종에 의해 만들어짐.

예) 많은 어린이들이 다른 사람의 정원에 무단침입하고, 과일을 훔치거나 무단 결석을 함 -> 부유한 이웃에서는 유년기의 순진무구한 오락으로 여겨질 수 있지만, 가난한 지역에서 이러한 행동은 청소년 비행으로 발전해나가는 증거로 여겨짐 : 행위는 같지만 그 행위에 다른 의미가 부여됨.

- 한 번 비행으로 딱지가 붙으면 그 어린이는 범죄자로 낙인찍히고 교사나 미래의 고용주에 의해 믿을 수 없는 사람으로 여겨지기 쉬움.


- 하워드 베커 Howard Becker : 어떻게 일탈 정체성이 일탈 동기나 일탈 행위보다는 낙인을 통해 만들어지는 지에 관심을 가짐.

- 베커는 일탈 행위가 사람들이 일탈 행위라 부르는 행위라 주장.

- 베커는 '정상'과 '일탈'간의 분명한 구분을 주장하는 범죄학자들의 접근에 대단히 비판적.

- 베커는 일탈 행위가 '일탈적'이 되는 결정 요소가 아니라 봄. 그보다는 사람이 '일탈적'이라고 딱지가 붙여지는지의 여부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행위 자체와 관련이 없는 과정이 존재한다고 주장.

- 낙인 이론은 베커의 마리화나 흡연자 연구와 관련이 있음.

- 1960년대초 마리화나를 피운느 것은 오늘날의 생활 양식 선택과는 달리 하위문화에서 주변적인 행위였음. 베커는 마리화나 흡연자가 되는 것은 개인이 하위 문화를 받아들이기로 한 것, 유경험자와의 친한 관계 및 비흡연자에 대한 태도에 따라 결정된다는 사실을 발견.


- 낙인은 어떻게 다른 사람이 한 개인을 보는가에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자아 인식에도 영향을 미침.

- 에드윈 레머트 Edwin Lemert : 어떻게 일탈이 한 개인의 자아정체성과 공존하거나, 또는 핵심이 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하나의 모형을 발전시킴.

- 레머트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 달리, 일탈은 아주 흔하며 사람들이 항상 일탈로부터 벗어난다고 주장.

예) 직장에서 적은 규모로 물건을 훔치는 것은 자주 간과되나, 교통 위반 같은 일탈 행위는 잘 드러남.

- 르머트는 초기 위반을 일차적인 일탈이라 부름.

-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행위는 개인의 자아정체성에서 주변적인 것으로 남음 -> 일탈적인 행위가 정상행위로 돌아가는 과정이 나타남.

- 그러나 어떤 경우에 정상적인 행위로 돌아가지 않고 그 사람이 범죄적이라거나 일탈적이라고 낙인을 찍음. 개인이 그 낙인을 받아들이고 자신을 일탈적이라고 보는 사례 -> 이차적인 일탈.

- 2차적 일탈의 경우 낙인은 개인의 중심적인 정체성이 되고, 일탈적인 행윌르 지속시키거나 강화시키게 됨.

- 일탈적이 되는 것을 배워가는 과정이 교도소와 사회 기관과 같은 일탈 행위를 교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에 의해 강조되는 경향이 존재.

예) 같은 사소한 비행이라 하더라도 엄격한 사법적 처벌을 받을 경우 이차적인 일탈로 나가는 첫걸음이 될 수 있음.


일탈 확대


- 레슬리 윌킨스는 일탈 정체성 관리와 그것을 자신의 일상 생활에 통합시키는 가지치기에 관심을 가짐.

- 윌킨스는 이러한 과정의 결과가 때로 일탈 확대를 일으킨다고 주장.

- 일탈 확대는 통제하는 행위자가 어떤 행동을 일탈이라고 불러서 똑같은 일탈 행동을 자극할 때 나타나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

- 낙인을 찍은 사람이 이차적인 일탈을 통해 낙인과 자신의 정체성을 통합시키면, 이것은 통제를 하는 기관으로부터 더 많은 반응을 불러일으킴. 즉,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 행동이 더 많아지고 일탈자로 불리는 사람들이 변화에 더 많이 저항하게 됨.

- 스탠리 코헨은 Mods and Rockers 라 불린 청년 하위문화 집단을 경찰이 어떻게 통제했는지 관찰.

- Mods and Rockers : 1960~70년대 영국 청소년 하위 문화로, 오토바이 중심으로 이루어짐. 오토바이, 검은색 가죽 자켓, 오토바이 부츠, 로큰롤, 퐁파두르 헤어스타일.

- 경찰은 Mods and Rockers 집단에 대한 더 더 많은 관심만 불러일으켜서 젊은이들 사이에서 더 유명해지게 만듦.

- 한 집단을 통제하기 위해 그 집단을 비주류나 문제 집단으로 부르는 과정은 역효과를 낳아서 법을 집행하는 데 더 큰 문제를 야기.

- Mods and Rockers 에 대한 지나치고 감각적인 매체의 보도들은 도덕적 공황 moral panic 을 야기.

- 도덕적 공황 : 사회학자들이 특정 집단이나 행동이 언론 매체에 의해 지나치게 부추겨져서 나타난 과잉 반응을 지칭하는 용어.

- 도덕적 공황은 흔히 총체적 사회 무질서의 징후로 여겨지는 공적인 쟁점을 중심으로 나타남.


낙인 이론에 대한 평가와 비판


- 낙인 이론은 어떤 행위도 본래부터 범죄적인 것이 아니라는 가정으로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중요.

- 범죄성의 정의는 경찰, 법원, 교정 기관에 의한 법의 제정과 해석을 통해 권력자들에 의해 이루어짐.

- 낙인 이론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때로 살인, 강간, 절도 같은 거의 모든 문화에서 똑같이 금지되는 행위들이 존재함을 주장 -> 그렇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이런 것들조차 상황에 따라 다르게 해석됨. (전쟁에서 적군을 죽이는 행위를 '살인'이라는 범죄로 보지 않고, 오히려 긍정적으로 본다)

- 낙인 이론에 대한 비판은 다음과 같음.

01. 낙인의 적극적인 과정을 강조하는 것에서 낙인 이론가들은 일탈로 정의되는 행위로 나아가는 과정을 소홀히 함. 어떤 행위를 일탈이라고 낙인 찍는 것이 완전히 자의적인 것은 아님. 사회화 과정에서의 차이, 태도와 기회가 행위에 가담한 사람들이 어느 정도까지 일탈적이라고 낙인찍힐 것인가에 영향을 미침. 예를 들어서 가난한 지역 어린이들이 부유한 지역 어린이들보다 절도를 더 많이 일으키는데, 최초로 물건을 훔치게 한 것은 낙인이 아니라 그들의 출생배경임.

02. 낙인이 실제로 일탈 행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가 불분명함. 일탈 행위는 확신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존재. 그러나 그것이 낙인 그 자체의 결과라 단언하기 어려움. 다른 일탈자들과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거나, 또는 새로운 범행 기횔르 배우는 것과 같은 다른 요소들이 충분히 개입할 수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