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사회학

사회학 - 범죄와 일탈에 관한 기능주의 설명 (뒤르켐, 머턴, 하위문화적 설명)

좀좀이 2018. 1. 19. 20:42
728x90


- 기능주의 이론은 범죄와 일탈을 사회 내에서 구조적 긴장과 도덕적 규제의 부족에서 초래된 결과로 간주.

- 사회 내에서 개인과 집단이 지닌 열망이 가능한 보상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욕구와 욕구 충족간 불일치는 일부 사회 성원들에게서 일탈적인 동기로 나타남.


뒤르켐, 머턴 - 범죄와 아노미


- 뒤르켐은 현대 사회에서 전통적인 규범과 기준이 이를 대체하는 새로운 규범과 기준이 없이 약화되었다고 제시.

- 주어진 사회 생활 분야에서 행위를 인도하는 분명한 기준이 없을 때 아노미가 존재.

- 이러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방향을 잃고, 불안해함 -> 아노미는 자살하도록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 중 하나.

- 뒤르켐은 범죄와 일탈을 사회적 사실로 간주하고, 범죄와 일탈이 현대 사회에서 불가피하고 필요한 요인이라 믿음.

- 현대인은 전통 사회 사람들보다 제약을 덜 받고, 더 많은 선택의 자유가 있기 때문에, 순응하지 않는 것이 존재하는 것은 필연적.

- 뒤르켐은 어떤 사회도 사회를 지배하는 규범과 가치에 대한 완전한 합의가 이루어진 사회는 없다고 인식.

- 뒤르켐은 일탈도 사회를 위해 필요한 것이라 주장.

- 새로운 생각과 도전을 사회에 도입함으로써, 일탈은 혁신적인 힘으로 작용 -> 변화 야기.

- 일탈은 사회에서 '좋은 행동'과 '나쁜 행동'간의 경계 유지를 촉진시킴 -> 범죄적 사건이 집단적인 연대를 강화하고 사회적 규범을 분명하게 하는 집단적인 대응을 촉진시킬 수 있음.

- 범죄와 일탈에 관한 뒤르켐의 견해는 개인적 설명에서 사회적 힘으로 관심을 돌리는 데 큰 영향력을 발휘.


- 로버트 머턴 : 범죄의 원인을 미국 사회 구조 그 자체에 위치시키는 대단히 영향력 있는 일탈 이론 수립.

- 받아들여지는 규범이 사회적 현실과 갈등할 때 개인의 행동에 가해진 긴장을 지칭하는 것으로 아노미의 개념 수정.

-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가치는 물질적 성공을 강조하고 성공하는 수단은 자기 규율과 노력이라고 여겨짐. 따라서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은 인생에서 출발점이 어디든 성공할 수 있음 -> 그러나 사회에서 가장 불리한 처지에 놓여 있는 사람들 중 대부분은 성공할 수 있는 전통적인 기회가 제한적으로만 주어지거나 전혀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생각은 잘못된 것임.

- 그렇지만 성공하지 못한 사람들은 그들 스스로가 무능력해서 물질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는 비난을 받고 있음을 인지.

- 이러한 상황에서 이들에게 합법적이건, 비합법적이건 수단을 가리지 않고 출세하려는 커다란 압력이 작용함.

- 머턴은 일탈이 경제적 불평등과 동등한 기회의 결여에 의해 생겨난다고 주장.

- 머턴은 커지는 욕망과 지속적인 불평등간의 차이를 강조하고, 일탈 행위의 중요한 요인으로 상대적 박탈감을 지적.


사회적으로 인정된 가치와 그것들을 성취하는 제한된 수단간의 긴장에 대한 머턴의 다섯 가지 기능한 반응


01. 순응주의자

- 성공과 실패에 관계없이 일반적인 가치와 그것을 실현하는 관습적인 수단을 모두 받아들임.

- 인구의 대다수는 이러한 범주에 속함.

02. 혁신자

- 사회적으로 인정된 가치를 받아들이나, 그것을 추구하는 것에 정당하지 않거나 또는 불법적인 수단을 사용.

- 예 : 불법적인 행동으로 부를 추구하는 범죄자들.

03. 관습주의자

- 사회적 표준의 배후에 있는 기치를 모르더라도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표준에 순응.

- 규칙들은 강박적인 방식으로 더 큰 목적의 고려 없이 그 자체로 준수됨.

- 일이 경력 전망도 없고, 보상도 적을지라도 지겨운 일에 헌신하는 사람들.

04. 은둔주의자

- 지배적인 가치와 그것을 달성하는 인정된 수단을 모두 거부.

- 대개 사회로부터 떨어져나감.

- 예 : 자족적인 공동체의 성원들.

05. 반항자

- 기존의 가치와 수단을 모두 거부하고 새로운 가치로 대체해서 사회 체제를 재구성하기를 바람.

- 예 : 급진적인 정치조직의 구성원들.


하위문화적 설명


- 이후 연구자들은 비행을 범죄 행위를 격려하거나 보상하는 규범을 채택한 하위 문화 집단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봄.

- 앨버트 코헨 : 하위 문화를 통해 집단적으로 이루어지는 대응을 관찰. (미국 사회 하층 노동 계급 소년들 관찰)

- 코헨은 자신들의 지위에 좌절감을 느낀 하층 계급 사람들이 만든 하위 문화에서 중간 계급 가치를 거부하고 일탈과 순종하지 않는 다른 행동 같은 반항을 찬양하는 규범으로 대체시킨다고 주장.

- 리처드 A. 클로워드 : 코헨의 미국 사회 하층 노동 계급 소년들 관찰 결과에 대해서, 일탈의 동기에 대해 중간 계급 가치를 내면화하고 그들의 능력에 기초해서 중간 계급 미래를 열망하는 소년들이라 주장.

- 이러한 사람들이 그들의 목표를 실행시킬 수 없을 때 비행을 저지르기 쉬워짐.


- 기능주의자들은 다른 사회 환경에서 순응과 이탈의 연계를 제대로 강조.

- 더 큰 사회에서 성공의 기회가 부재함 -> 범죄 행위를 저지르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간의 주된 차별화 요인.

- 그러나 더 가난한 커뮤니티의 사람들이 더 부유한 사람들과 같은 수준의 성공을 원한다는 생각에 주의해야 함.

- 대부분은 자신들의 현실이라고 그들이 생각하는 것에 자신들의 욕구를 조화시키는 경향이 있음.

- 코헨, 클로워드의 주장은 모든 중간 계급의 가치가 사회 전체에서 받아들여진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음.

- 욕구와 기회의 불일치가 혜택을 덜 받는 집단에 제한되어 있다고 가정하는 것도 잘못임 -> 횡령, 사기, 탈세 같은 고소득층 범죄가 보여주는 것처럼 다른 집단에서도 범죄 행위를 하게 하는 압박이 존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