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도시지리학

도시지리학 - 도시 기원론 : 잉여 농산물, 종교, 방어, 교역 조건

좀좀이 2017. 9. 28. 03:17
728x90

도시지리학 - 도시 기원론 : 잉여 농산물, 종교, 방어, 교역 조건


- 이 전제 조건이 상호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주목하는 것이 중요.

- 예를 들어서, 양호한 환경과 농업 기술의 개선은 인구의 증가를 야기, 이는 다시 더 많은 식량 생산과 더 복잡한 사회 조직이 필요해지게 됨.

- 사회적 힘 social power 의 발달은 대부분 도시 기원론의 중심에 있음.

- 수십 년 동안 학자들은 왜, 언제, 어디서 도시가 출현했는가를 밝히려 시도. 처음에 학자들은 도시 출현의 단일 이유를 모색.

- 그러나 다양한 도시 기원론 때문에 그와 같은 단일 원인은 지나치게 단순한 설명.

- 오히려 도시느 ㄴ몇 가지 요소가 상호 결합된 결과로 출현한 것으로 보임.

- 카터 Harold Catter : 1983년 자신의 저서 An Introduction to Urban Historical Geography 에서 타운과도시의 출현에 관한 요소로 잉여 농산물, 종교, 방어 필요성, 교역 조건을 제시.


01. 잉여 농산물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기 농부들은 자신과 가족을 충분히 부양하고도 약간 남을 정도의 식량 생산을 잘 하게 됨.

- 마을 환경에서 그러한 잉여 농산물은 사회적 잉여를 의미했으며, 이는 모든 사람이 농업에 종사하지 않아도 될 자원의 여유가 있었음.

- 소규모 사회에서 이러한 잉여는 다른 품목 - 즉 금속 도구를 만드는 데에 재능이 있고, 그 일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을 정도로 잘 하는 한두 명을 부양할 수 있었을 것으로 추측 가능.

- 전문화에 의해 농부와 농업이 아닌 다른 전문 종사자 사이에 간단한 노동의 분업화가 이루어짐.

- 사회 규모가 커지고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잉여 농산물은 더 많은 사람이 농업 외의 일을 할 수 있는 여분이 생기도록 거두어졌을 것이며,, 그 잉여 농산물은 농부가 다른 목적을 위해 자신들의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또한 이용되었을 것임.

- 공동의 목적을 위해 잉여 농산물이 직접 거두어지거나 노동이 활용되는 몇 가지 매커니즘이 있었음.

- 십일조 tithing 방식은 집단적으로 모으기 위해 수확물의 일정 부분을 자발적으로 할당하는 것이었음.

- 세금 taxation 은 개개의 농부가 정부에 수확물의 일정 부분을 지불하도록 되어 있는 시스템.

- 무급 노동 corvee labor 는 정부가 개인에게 대규모 공공사업에 일정 시간 일하도록 요구한 행위.

- 울리 경 Sir Leonard Woolley, 차일드 V. Gordon Childe 와 같은 초기 고고학자에 의하면 잉여물의 생산과 관리는 어떤 조직을 필요로 했고, 그 조직은 다시 어떤 사회적 통제 형태를 필요로 했다고 함.

- 그 잉여물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했기 때문에 중앙 권력 central authority 이 생기게 됨.

- 특히 노동의 정교한 조직이 필요했던 복잡한 관계 체계의 발달에 이 주장이 적용됨.

- 그러나 초기 수메르 사회처럼 광범위하게 관계 사업의 결과로 나타난 것이 아닌 문명과 도시가 확실히 있음.

- 더욱이 조직화된 사회가 발달한 뒤에 어떤 대규모의 공공사업이 진행된 것으로 여겨짐.

- 잉여 농산물만이 사회적 통제의 매커니즘을 필요로 했는지 여부는 확실치 않음.


02. 종교


- 모든 초기 도시의 공통적인 특징 중 하나는 사원의 존재.

- 어떤 경우든 사원은 도시 내의 어떤 다른 요소보다 훨씬 더 두드러짐.

- 종교는 도시 이전 사회에서도 매우 중요했고, 모든 초기 도시에서 종교적 구조물은 매우 뚜렷해서 종교가 사회적 세력의 발달과 관련되었다는 것은 타당.

- 이 관계는 초기의 엘리트가 정치 및 정신적 권력 모두를 가졌다는 사실로 뒷받침됨.

- 즉 왕과 제사장은 동일한 인물이었음.

- 이러한 역사에 기초해서 잉여 농산물이 생산됨으로써 강력한 사제 계층이 출현한 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은 쉬움.

- 초기 농업 외의 전문직 종사자들은 유형의 상품 생산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높음.

- 또한 촌락민의 삶에 큰 부분을 차지하는 가뭄, 홍수, 해충, 질병 등 예상하지 못한 재해를 설명하는 일부 카리스마를 가진 사람들도 있었음.

- 이러한 인물들은 약간 변형되었지만 전문인의 지위를 부여받았음.

- 이들은 미지의 것을 달래는 종교적 의식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명문화하는 전문가였음. 이들은 점차 강력해지면서 사제 계급 priestly class - 즉 초자연적인 현상을 설명하고, 촌락민과 초자연의 힘 사이의 중재에 관련된 사람의 초기 형태 계급이 등장.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사제 게급은 나머지 사람들과 구별되면서, 구성원과 사제 지위가 부모로부터 자녀에게로 어떻게 이어지는지에 고나한 지켜야 할 규정이 있었음.

- 이 계급은 잉여 농산물을 통제하고, 전체 주민이 받아들이는 가운데 자신들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그 잉여 농산물을 활용할 수 있었다는 점이 가장 중요.

- 종교와 세속 정치가 혼합된 신권정치 theocracy 는 초기 문명의 주요 특징.

- 사제 계급은 실제 중요했으나, 그 계급의 출현이 복잡한 사회 조직 형성에 유일한 것이었는지, 그리고 그 계급이 출현했다는 것이 초기 촌락 사회를 집약적이고 조직적인 도시 사회로 변형시켰는지에 대한 증거는 없음.


03. 방어의 필요성


- 초기 도시의 또 다른 특징은 어떤 요새의 형태가 존재한다는 것.

- 고대 도시의 대부분은 성벽이 있고, 그 도시에는 모두 방어 공사, 군인 계급, 무기 생산의 흔적이 존재.

- 곡물 저장고, 중앙 권력의 중심지로서의 위상, 사람들의 집중 때문에 고대 도시들은 어떤 방어 형태를 필요로 했음.

- 그 도시들은 불러들이기 위한 눈에 잘 보이는 어떤 목표를 정했을 것임. 공격에 처했을 때 도시는 인접한 배후지 거주자를 위해 문을 열고 피난처를 제공하고, 창이나 투석구를 제공했을 거라 추측 가능.

- 군인들은 잘 알지만 성공적인 방어를 위해서는 상당한 정도의 계획된 협력이 필요하고, 그 협력을 위해서는 명령의 명쾌한 전달 체계와 노동 분업이 필요.

- 대부분의 성공적인 군대는 필요시 일시적 군인들로 보강되고, 전임 훈련을 할 수 있는 군대로 추정.

- 상당 부분의 잉여 농산물은 요새 건축, 무기 생산, 군인들을 돌보고 부양을 위한 지불에 사용.

- 일단 군인 계급이 성립된 후, 그 계급은 어떤 특권층이 되어 도시 및 주변 지역의 거주자에 대해 어느 정도 사회적 통제를 할 수 있었음.


04. 교역 조건


- 보다 정교한 문화의 발달은 보다 더 복합적인 경제 성장과 관련.

- 도시가 출현하기 이전에 특정 상품의 교역이 활발했다는 증거가 많음.

- 교역 자체는 시장의 출현의 기폭제가 되고 새로운 도시 기반을 형성할 수 있는 요소.

- 도시가 형성되기 전 취락들 간을 이동한 교역상들은 다른 곳에서 구할 수 없는 물건에 대해서는 주민들이 직접 물물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했을 것임.

- 전문화된 상품의 교역에 의해 사람들이 다른 농업 및 농업 외의 생산물을 구입하기 위해 잉여 농산물을 생산했기 때문에 더 전문화와 경제적 집중이 이루어지게 됨.

- 교역 때문에 기술이 있는 농업 외에 장인들이 또한 번창할 수 있었음.

- 도시는 교역의 중심점 - 즉 시장 주위에서 발전되었을 거라 추측 가능.

- 교역은 확실히 많은 고대 도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고, 중세 때 도시 삶을 부흥시킨 주요 요소임.

- 한편 초기 도시 발달의 주요 요인으로 교역에 관한 증거는 부족.

- 때로는 존재했으나, 시장도 사원과 성벽처럼 장대하고 중요했다고 할 수 없음.

- 고고학적 기록에 의하면 상인 집단은 특정층의 지위를 가졌다고 볼 수 없음.

- 실상 자유 교역에 유리한 자본주의 경제는 훨씬 뒤에서야 성립됨.

- 경제적 교환은 조심스럽게 규제되었고, 신권정치적 생활의 규정과 의식이 우선이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