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개발의 개념
- 관광개발의 개념은 두 가지 관점에서 파악 가능
1. 관광자원 개발의 관점
- 관광자원의 특성을 살리고 관광상의 편의를 증진시켜 관광객의 유치와 관광소비의 증대를 목적으로 한 개발사업
2. 광의의 개념
- 사람들의 관광욕구를 만족시켜주기 위해, 관광자원을 활용하고 관광 관련 기능을 가진 관광 시설을 설치함으로써, 관광 행동이 가능하게 하고 촉진하기 위한 관광 레크리에이션 지역을 개발하는 것.
- 현대의 관광개발은 인간 활동의 모든 영역과 연관되어 있으며 관광 내용이 다양화하고 있음.
- 협의의 관광개발 정의 : 관광지에서 지역조직 Local Tourism Body 과 기업 Hospitality Industry 등이 관광수요의 개척을 위해 관광자원에 변화를 주어 관광의 흡인요소 Tourism Attraction 을 만들어내느 Institutionalize 계획행위 Planning.
관광개발 대상 선정과 연구의 접근 방법
- 관광개발의 접근방법은 관광자원개발과 관광사업개발의 조화와 조정의 범주 내에서 국토 개발과 도시 계획의 큰 틀에서 다학제적 접근방법으로 연구해야 하는 관광개발 연구 영역의 새로운 설정을 필요로 하고 있음.
- 국토 개발 방법
개발 방식 |
개념 |
관광개발에 적용 |
성장거점 개발방식 |
개발여건이 우수한 지역을 집중적으로 개발해서 개발효과를 주변지역으로 파급시키는 방식. 하향식 개발방식. 장점 :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게 들고, 개발효과가 빠름. 단점 : 상대적 불균형개발 초래. |
관광단지, 위락단지, 자연공원의 집단시설지구 등의 개발 |
균형개발방식 |
국토를 권역별로 세분하여 지역성에 맞게 개발. 상향식 개발 방식. 장점 : 비교적 균형되게 개발할 수 있음. 단점 : 개발효과가 느리고 개발비용이 많이 소요됨. |
관광시장 및 관광지주민의 목적에 부합하는 개발유형과 이들의 사회문화적, 경제적, 환경적 이상과 일치하는 개발 계획의 수립과 시행 |
관광개발의 접근방법
1. 공간구조론적 접근방법 Spatial Structural Approach
- 지표의 자연공간에 인간이 접근해서 그 관광지가 갖는 관광자원의 가치를 증진시킴으로써 견인력을 갖게 되어 관광공간으로 변화시킨다는 관점.
- 이 관광공간으로는 주 공간, 활동공간, 사교공간, 설비공간 등으로 구분.
- 여가활동을 위해 필요한 자유로운 활동공간으로 간주.
2. 자원론적 접근방법 Resources Approach
- 관광자원이 관광위락 유형을 결정한다는 견해.
- 자원이 지니고 있는 요소 특성별로 계량적 방법을 이용, 정밀화시킴으로써 소규모 뿐만 아니라 대규모 관광위락자원의 평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적용.
3. 행태학적 접근방법 Behavioral Approach
- 관광위락활동은 인간의 기본적 욕구의 하나에서 유발된다는 견해.
- 행동의 동기, 선호하는 활동유형, 활동결과에 대한 체험 등 이용자 선호도와 만족이 관광개발 계획과정의 요소가 되어야 한다는 시각에서 출발.
- 단점 : 인간의 욕구에 따른 행태 패턴이나 가치판단에 있어 객관성 있는 기준의 설정이 어려움.
4. 이용자-자원상관 접근방법 User-Resources Related Approach
- 수요의 행태와 공급의 여건들이 상호 균형적 조화에 의해 개발계획의 수단이 강구되어져야 한다는 견해.
- 계획과정의 핵심적 부분은 이용자 집단의 욕구와 자원의 성격이라는 두 차원에서 그들의 특성을 규명, 양자의 상관성 속에서 관광지역을 창출.
5. 지역사회 지향 접근방법 Community Approach
- 본질적인 문제의식의 출발은 세계 유명 관광지가 모두 지역문화와 민속적 전통을 기반으로 하여 형성되었으므로 관광객에 의한 새로운 사회와 전통적 지역사회가 어떻게 융합할 것인가에 관심을 두고 연구 진행.
6. 관광 수용력적 분석
- 관광수용력은 관광공급대상의 세분화된 단위가 생물학적, 자연적 파괴 및 관광체험의 감소 없이 해마다 제공할 수 있는 관광 기회의 수라고 정의.
- 위 정의에 근거해서 관광개발의 방향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
- 수용력적 접근은 관광활동을 수용해야 하는 자연과 시설의 원상 회복력과 평균적 이용률에 기초하고, 이들의 이용 및 남용에 대한 제한을 의미하며, 고나광대상 자연과 시설의 고갈됨이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양 Guide Line 를 결정하는 것.
- 따라서 이용의 극대화가 목표가 아니라 최적화의 적정이용수준 Optimal Use Level 유지가 기본적 개발마인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