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여행기/문헌정보학

문헌정보학 - 장서관리론 - 장서 관리의 개념과 목적, 유용론과 무용론

좀좀이 2017. 6. 7. 23:56
728x90


장서관리정책의 개념과 목적


- 장서관리정책은 도서관이 이용자의 정보자료에 대한 현재적, 잠재적 요구를 충족시킬 목적으로 장서를 개발 및 관리하기 위한 의도적인 계획.

- 장서관리정책의 존재여부는 도서관이 장서를 주먹구구식으로 관리하는지, 아니면 계획적으로 개발하는지를 가늠하는 최초의 증거.


장서관리정책의 포괄적 목적

- 도서관의 전반적 목적과 목표의 범주내에 존재하는 계획도구

- 선택정책 및 실무의 일관성과 연속성의 정도를 제고시키는 관리도구

- 직원보다는 이용자집단과 일반대중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

- 상호협력을 촉진시키는 장치.


장서관리정책의 구체적 목적

- 전체장서 및 주제별 장서의 균형유지

- 장서업무의 일관성과 계속성의 견지

- 자료의 선택, 등록, 폐기기준으로 활용

- 수집범위와 장서수준의 준거

- 선택담당자의 편견배제

- 예산배정의 우선순위 결정

- 장서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도구

- 직원교육과 자질개발의 도구

- 상호협력 촉진

- 도서관에 대한 홍보와 인식고취


장서관리정책의 유용론과 무용론


장서관리의 무용론

- 장서개발정책이라는 용어 자체가 애매모호하며, 문서에 포함되는 내용들도 매우 피상적이며 관념적이기 때문에 실용성이 부족.

- 도서관의 현실보다는 이상적 모형을 창출하는데 치중함으로써 실천적 문장이 아닌 기교적인 형태로 기술되어 균형집서를 보증하지 못함.

- 설령 정책이 성문화되더라도 모든 선택과 수서업무에 대답할 수 없으며, 각 항목의 의사결정을 위한 일반적인 지침으로만 사용 가능.

- 정책을 입안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의견들을 조정하여 합의점을 도출해야 할 뿐만 아니라, 문서로 확정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어야 하며, 최신성을 유지하기 어려움.

- 지금까지 성문화된 정책이 없어도 별다른 어려움을 당하지 않았을 정도로 장서관리정책의 중요성이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함.

- 오랜 실무과정에서 축적된 경험이나 관행이 더 중요.


장서관리의 유용론

- 모든 직원들은 장서관리정책을 통하여 항상 도서관 및 장서개발의 목적과 목표를 분명하게 이해 가능.

- 장서관리 담당자는 명확하게 설정된 목적과 목표에 따라 관련업무를 수행함으로써 양질의 장서를 구축할 수 있음.

- 장서관리 책임자와 담당직원의 인사이동 및 유고에 따른 업무지연이나 난맥상을 최소화하여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음.

- 선택담당자나 선정과정에 참여하는 개인이나 집단의 편견을 최소화함으로써 집서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음.

- 신입직원들을 위한 교육훈련 및 오리엔테이션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음.

- 도서관의 중요성을 홍보하거나, 예산을 화보하고 합리적으로 배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각종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

- 직원과 이용자간의 장서의 성격, 구성내용과 범위, 집서의 우선순위 등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이 개선됨으로써 도서관의 이미지가 제고되고 장서구성에 대한 신뢰감이 조성되며, 자료이용도 촉진.

- 선택, 수집, 등록, 폐기 등의 제기준을 마련하거나, 장서관련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준거로 활용 가능.


- 정보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려면 자관중심의 집서방침을 수정 및 보완하여 미소장자료의 공용방안을 모색하고, 실물장서와 전자정보간의 상보관계를 재인식하여 장서관리에 반영해야 함. 요컨대 실물소장과 원격접근이라는 상반된 패러다임을 적절히 수용하는 장서관리정책이 필요.


- 미래의 장서관리는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의 위상과 이미지를 좌우할 뿐만 아니라 정보봉사력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칠 것. 그리고 다양한 정보자료를 수집하고 개발하는 기초공사는 장서관리정책의 수립에서 출발해야 함.  성문화된 정책문서에 기저하지 않은 자료수집이나 장서개발은 사상누각에 불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