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사회언어학

사회언어학 - 언어 정책과 언어 계획의 개념, 유형

좀좀이 2016. 11. 10. 06:54
728x90


언어 정책과 언어 계획의 개념


- 언어 정책 language policy 은 국가가 그 나라에서 사용하는 말을 통일, 발전시키려고 사용하는 정책이며, 표준어의 규정, 맞춤법의 확립, 글자의 통일 및 개혁, 외국어 교육, 문맹 퇴치 등이 있음.

- 언어 계획 language planning 은 한 언어 공동체 내에서의 그 사회 구성원들의 언어 사용이나 언어 의식을 변화시키기 위해 벌이는 의도적 활동으로, 대개 정부의 정책으로 수행되기는 하지만, 민간 단체나 개인이라도 다른 구성원의 언어 사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 모두 언어 계획의 주체가 될 수 있음. 즉, 언어 정책보다 포괄적 개념임.

- 언어 정책의 개념에서는 언어 계획과 달리 주체로서의 '국가'와 특성으로서의 '정치적 측면'이 부각됨. 그래서 언어 정책은 한 국가가 정부의 정치, 사회적 목적과 관련해서 자주 사용되는 반면, 언어 계획은 그 주체가 정부 기관이든 민간이든 상관없이 한 언어공동체 또는 사회의 언어 행위에 영향을 미치거나 그 행위를 수정하려는 의식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모든 활동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음. 다시 말해서, 기존의 언어 상황과 새롭게 지향하는 언어 상황의 차이에 대한 인식과 개입 태도의 문제가 언어 정책의 영역을 구성하고, 전자의 상황에서 후자의 상황으로 전환되는 기술적, 방법론적 문제가 언어 계획의 분야가 될 수 있음.

- 그러나 언어 정책과 언어 계획의 구별이 늘 간단하지는 않음. 현대 사회의 모든 목적의식적 행위에는 거의 대부분 정치적 측면이 개입될 수 밖에 없기 때문. 이로 인해 최근에는 언어 정책과 언어 계획을 엄격히 구별하지 않고 혼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더 나아가 '언어 정책 및 계획' lanugage policy and planning : LPP 나 '언어 정책 및 언어 계획' language policy and language planning : LPLP 와 같은 통합 용어를 사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음. 이 외에도 정책 주체의 목적의식적 노력에 초점을 맞춘 '언어 관리' language management 라는 용어도 사용되고 있음.


언어 정책과 언어 계획의 유형


- 언어 정책과 언어 계획의 유형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음.


1. 언어 정책과 언어 계획의 유형의 대상과 초점이 어디에 놓이는가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법.

- 이 유형을 두 개로 나눌 경우에는 언어 지위 계획 status planning 과 언어 자료 계획 corpus planning 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고, 세 개의 유형으로 나눌 경우에는 위의 두 분류에 언어 습득 계획 acquisition planning 이 추가됨.

- 언어 지위 계획은 한 언어공동체 내에서 특정한 언어의 기능과 사용 범위를 규정하거나 변화시키려는 노력과 관계된 것으로, 공용어나 국민어의 공인, 표준어의 선정 및 보급, 자국어의 국제적 사용 확대, 소수자의 언어 인권 보장 등이 있음.

- 언어 자료 계획은 특정 언어의 체계와 형태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활동으로, 문자 체계나 철자법의 개발과 개선, 표준 규범 (문법서, 사전 등) 정리, 전문 용어나 신어 등 어휘의 정비와 현대화, 언어 순화 등이 있음.

- 언어 습득 계획은 특정 언어를 교육함으로써 그 사용자의 수를 증대시키고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려는 노력과 관계된 것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므로 '언어 교육 계획', '언어 습득 및 교육 계획'이라고도 하며, 학교에서의 자국어(모어) 또는 제2언어 교육, 사회생활의 효율성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각종 외국어 교육, 국민의 문해력 향상 지원 등이 있음.


2. 언어 정책과 언어 계획의 주체가 국가일 경우에 국가의 개입 방식 또는 정도를 기준으로 '국가 개입주의 언어 정책'과 '방임주의 언어 정책'으로 분류하는 방법.

- 국가 개입주의 언어 정책은 국가 기관 또는 제도의 설립과 언어 사용에 관한 법률의 제정과 시행 등을 통해 국가 주도의 강력한 언어 정책을 펼치는 것.

- 방임주의 언어 정책은 언어 문제에 대한 국가의 직접적 개입을 자제하고 민간에서의 자율적 개입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언어 정책.

- 이 분류는 어느 측면이 더 강하냐에 따라 경향적인 분류를 함.


3. 언어 정책과 언어 계획을 해당 국가 내에 존재하는 언어의 기능과 사용 양상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

- 국가의 단일 언어 사용 정책 - 사용자의 수나 지위, 기능의 측면에서 절대 우위를 점하고 있는 언어 하나만이 국민적 정체성 national identity 과 관련되고 나머지 언어들은 주변화

- 국가의 이중 또는 삼중 언어 사용 정책 - 한 개가 아니라 두 개 또는 세 개의 언어가 국민적 정체성과 관련되고 나머지 언어들은 주변화

- 국가의 다중 언어 사용 정책 - 다수의 언어들 중에서 어떠한 언어도 국민적 정체성과 관련을 맺지 못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