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사회언어학

사회언어학 - 인문 환경과 언어의 관계

좀좀이 2016. 10. 15. 03:44
728x90


- 인문환경은 '언어 사용자'와 '사회 환경'을 아우르는 표현.

- 언어 사용자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신분, 직업, 사상, 수양, 처지, 심정, 성격, 연령, 성별 등의 요인 등이 있음.

- 사회 환경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정치, 법률, 도덕, 문화, 교육, 종교 등이 있음.


사회 제도와 언어


- 사회 제도란 한 사회에 의해 지지되는 조직화된 행동 양식을 의미하며, 이러한 제도가 형성되기까지는 일정한 역사적 배경이 존재.

- 이 배경은 그 공동체의 삶의 양식 뿐만 아니라 언어에도 직접적 영향을 미침.

- 예를 들어서 한국어의 '양반'은 관료 체계 -> 지배 계층 -> 일반적 표현으로 의미가 변해왔음.

- 친족어의 경우도 사회 환경을 잘 반영함. 친족 관계는 가족과 혼인을 통해 형성됨. 이는 친족어의 분화가 성과 연령 요인에 따라 이루어짐을 의미함.

- 사회 구조나 사회 제도의 변화는 본질적으로 언어 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 예를 들어 남성 중심 사회에서 남녀평등 사회로 발전하면서 호칭 및 지칭, 높임 표현 등이 달라질 수 밖에 없는데, 그 과정에서 기존의 어휘나 문법 요소만으로 새로운 인간관계를 표현하기 어려울 경우 외래어를 차용하거나 새 말을 만들기도 함.


민족 생활어


- 자연 환경이나 지리적 환경, 문화나 사회 제도 등이 어우러져 민족의 생활 모습을 이루어내고, 그것을 표현하는 다양한 언어 문화가 발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임.

- 인간은 다양하고 역동적인 생활 모형을 창조하기도 하고, 다른 사람이 이미 만든 생활 모형을 따르며 살아가기도 함. 이러한 생활 모형이 다수에 의해 집단화되거나 후손에게 영속적으로 이어지면 문화가 됨. 일정 지역에서 언어, 풍습, 종교, 정치, 경제 등을 공유하면서 장기적으로 집단적 생활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되면 공속적인 사고 체계와 문화 체계를 형성하게 됨. 이러한 사고 체계와 문화 체계는 민족 생활어에 고스란히 반영됨. 그러므로 한 민족이 살아온 삶의 모습, 사고 체계, 정체성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동일 민족의 범주에 속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생활어를 살펴보아야 함. 이것은 생활 속에서 이루어지는 언어의 어휘, 형식, 의미, 용례, 담화 등의 조사와 재별견을 통해 구체화시킬 수 있음.


금기 표현


- 언어에 작용하는 요인은 의사소통 이외에 수많은 것이 존재함. '피휘'라고 알려진 '피해야 할 이름자'나 특정 표현을 해서는 안 된다는 믿음 등도 그 가운데 하나임.

- 이처럼 사회, 문화적 또는 심리적 이유로 특정한 행위나 언어 표현을 삼가는 현상을 '금기' 라고 함.

- 특히 금기 가운데 언어적 금기를 '금기어' taboo 라고 부름.

- 문화적 차원에서 금기의 생성과 완곡어법에 대한 관심은 비교적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음.

- 피트 트럿길은 금기는 초자연적으로 금지되어 있거나 부도덕하고 적당하지 못하다고 믿는 행동과 관련되어 있으며, 언어에서 금기는 이야기되지 않는 것들과 관련이 있고, 특별한 언어에서 금기시되는 종류의 단어는 그 사회의 가치관과 믿음을 반영한다고 주장.

- 예를 들어서 종교적 차원에서 신성모독에 해당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비속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 정치적인 이유로 특정 어휘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해당 언어 표현이 금기어임.

- 금기의 대상은 매우 광범위함. 생사 문제, 종교적 관습, 정치적인 요인, 신체 기능, 사회 제도 및 관습 등 '기피'나 '꺼림'의 대상은 금기 표현으로 바뀔 수 있음. 또한 금기의 대상은 말 뿐만 아니라 행위가 될 수 있음. 법규로 지정된 처벌 대상의 행위는 넓은 의미의 금기에 해당됨. 이 점에서 금기 발생의 요인은 매우 다차원적이라 할 수 있음.

- 언어가 시대와 사회, 문화의 산물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름 짓기도 사회, 문화적 산물에 속하며, 이는 금기 표현도 마찬가지임. 단, 일부 금기 표현은 왜 그러한 표현이 생겨났는지 추론할 수 없는 것들도 있음. 이런 것들은 오직 문화적 전통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이라고 설명할 수 밖에 없음.


완곡어법과 은유


- 어떤 언어나 행위가 금기의 대상일 경우, 그에 따른 '에둘러 말하기'가 나타나는데, 이러한 표현을 '완곡어법' euphemism 이라고 부름.

- 완곡어는 분명히 금기의 결과임. 여기에 숨은 매커니즘이 은유임. 전통적으로 은유는 수사학의 기교 가운데 하나로 인식되어 왔으나, 인지 도구의 하나라는 관점에서 인지 언어학의 주된 연구 대상 가운데 하나가 되었음.

- 완곡어법은 대부분 은유적임. 여기서 주목할 점은 완곡어법의 출발 개념 - 즉 완곡하게 표현해야 할 대상의 특성과 표현 결과 (목표 개념)의 상관성을 이해하는 일임. 에둘러 말해야 할 대상은 금기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권위적인 것, 비속한 것 등 다양한 형태가 있음.

- 완곡어법이 발달하는 주요인은 심리적인 면에서 찾을 수 있음.

- 완곡 표현의 대상이나 금기의 대상은 고정 불변하는 것이 아님. 사회 구조의 변화 또는 인식의 변화에 따라 완곡 표현의 대상이 변화할 수 있음. 시대에 따라 은어가 바뀌는 것도 은유 표현에 작용하는 사회, 문화적인 환경의 변화에 따른 것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