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석탄의 길 (2022)

석탄의 길 1부 11 - 강원도 태백시 철암동 철암동주민센터 정류장 영동선 철도 철암 제1건널목 피내골 마을

좀좀이 2023. 1. 18. 23:55
728x90

철암천을 향해 내려가는데 계속 함박웃음이 터져나왔어요.

 

너무 기뻐!

너무 재미있어!

 

"태백 만세!"

 

기분이 날아갈 듯 좋았어요. 너무 신나고 흥분되었어요. 이런 여행을 대체 얼마만에 하는 건지 몰랐어요. 돌아다니며 구경도 하고 동네 주민분들과 이야기도 나누며 노는 여행. 진정한 국내 여행의 맛이었어요. 너무 오랫동안 느끼지 못해 잊어버리고 있었던 여행의 재미였어요. 서울에서 달동네 찾아 돌아다닐 때 이후로 이런 재미를 못 느꼈어요. 그게 2019년 봄이었으니 무려 얼추 3년 반이나 지났어요.

 

강원도 태백시에서 매우 외진 산 속으로 기어들어가는 게 아니라 4번 버스 노선 주변을 다니는 거라 위험하거나 어려울 것은 없었어요. 그렇지만 새롭고 낯선 동네에서 모르던 이야기를 듣고 모르던 동네를 찾아가고 숨겨져 있는 곳을 발견하고 있었어요. 여행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해보고 싶어하는 가장 재미있는 여행 스타일로 여행하고 있었어요. 국내여행의 최대 강점은 의사소통에 아무 제약이 없어서 동네 주민분들과 대화하며 재미있게 시간을 보내고 동네만의 깊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는 점이에요. 이 재미를 무려 3년 반 동안 못 느꼈어요. 잊고 살고 있었어요.

 

위험하지 않고 어려울 것 없는데 모험하는 느낌.

발견물이 여기저기에서 우루루 쏟아져나오는 여행계의 엘도라도.

이것이 바로 태백이다.

 

드디어 감이 돌아왔고, 재미도 되찾았어요. 여행하고 싶어졌어요. 여행이 다시 너무 좋아졌어요. 한동안 아예 여행 가고 싶다는 생각을 안 했어요. 여행 자체에 흥미를 완전히 잃어버렸어요. 그동안 여행 가는 것에 흥미도 없었고, 여행기 쓰는 것도 별로 재미를 못 느꼈어요. 그러나 이번 여행은 여행 자체도 재미있고, 돌아가면 빨리 여행기를 쓰고 싶어졌어요.

 

 

단풍이 들기 시작해서 더욱 화려해진 철암천과 철암역두 선탄시설, 저탄장을 보며 철암동 주민센터 쪽으로 갔어요. 피내골은 철암동 주민센터 앞에 있는 철암 제1건널목을 건너면 있다고 했어요.

 

 

철암동 주민센터를 지나 철암 제1건널목으로 갔어요. 기차가 들어오는 시간이 아니라서 차단기가 열려 있었어요. 철로 건널목 가운데에 서서 철암역 방향을 바라봤어요.

 

 

강원도 태백시 철암동 영동선 철도 철암 제1건널목 가운데에 서서 본 저탄장은 아까 아래에서 봤을 때보다 훨씬 크고 웅장했어요.

 

 

철암 제1건널목에서 저탄장 사진을 찍은 후 건널목을 완전히 건너갔어요. 피내골 입구가 나왔어요. 정확히 '피내골'이라는 명칭이 적힌 간판은 없었어요. 대신 '피내골길'이라고 적힌 표지판이 붙어 있었어요.

 

 

피내골 입구에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철암천으로 흘러가고 있는 작은 하천이었어요. 이 하천 이름이 무엇인지 찾지 못했어요. 윗쪽에서 물이 계속 흘러내려오고 있었어요.

 

'윗쪽 산에서 시작하는 실개천이겠지?'

 

일부러 물길을 만들어서 윗쪽 물이 흐르게 만든 물길은 아니었어요. 원래 있던 조그만 실개천인데 정비를 해서 비가 많이 내릴 때 물이 범람하지 않고 철암천으로 흘러내려가도록 정비해놓은 곳이었어요.

 

 

'피내골'이라는 이름을 쓴 가게가 있었어요. 바로 피내골 방앗간이었어요.

 

 

 

 

 

강원도 태백시 철암동 철암동주민센터 정류장 옆쪽이자 영동선 철도 철암 제1건널목 쪽에 있는 피내골 마을은 예전부터 존재해온 마을이라고 해요.

 

전국적으로 '피내골'이라는 마을명을 가진 곳이 몇 곳 있어요. 이들 피내골 마을 이름의 유래는 거의 비슷해요. 먼 옛날에 난리가 났을 때 사람들이 전쟁 등을 피해 피난가서 머무르며 살던 동네라고 '피내골'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해요. 강원도 태백시 철암동 피내골 마을의 마을명 유래도 마찬가지에요.

 

강원도 태백시 철암동 피내골 마을 이름의 유래는 옛날 난리가 났을 때 사람들이 골짜기 안쪽 피난산으로 피신해 난리를 피했다고 해서 이 동네 이름이 피내골이 되었다고 해요. 옛날에는 피난골이라고 불렀지만, '피난골'이 발음이 변해서 피내골이 되었다고 해요.

 

피내골 길을 따라 깊이 들어가면 산이 하나 나와요. 그 산 이름이 바로 피난산 避亂山이에요. 피난산은 피내골 안쪽으로 들어가면 '흥복사'라는 절이 나오는데, 그 절 뒷산이에요. 옛날에 난리가 나면 이쪽 사람들이 피난산으로 피난갔다고 해요. 한편 일설에 의하면 구한말 때 의병들이 피난산 쪽에 은거하면서 일본군과 교전을 벌였다고 해요. 이때 의병들은 문곡쪽 피아골과 철암 피내골을 오고 가며 전투를 벌였다고 해요.

 

'어감이 이상한데...'

 

'피내골'이라는 동네 이름을 듣는 순간 어감이 그렇게 좋게 느껴지지는 않았어요. '피내골'이라는 동네 이름을 듣는 순간 피가 도망간다는 한자 避가 아니라 진짜 피 血가 떠올랐어요. 이것은 저만 그런 것이 아닌 모양이에요. 실제로 피내골 지명 유래에 대해 일설에는 피난산으로 피난간 사람들을 적이 쳐들어와서 무참히 죽여서 피가 내를 이루며 흘렀다고 해서 피냇골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도 해요.

 

아주 조그만 개울을 따라 윗쪽으로 계속 걸어올라갔어요.

 

 

 

"여기는 다리 위에 다 뭐 올려놨네?"

 

피내골 개천 위에는 다리가 여러 개 있었어요. 다리 위에는 화분으로 텃밭을 만들어놨어요. 왕래가 별로 없어서 화분 올려놔서 텃밭처럼 사용하고 야외 창고처럼도 사용하고 있었어요.

 

개천 위 다리들을 다시 봤어요.

 

"다리가 제각각인데?"

 

어떤 다리는 시멘트를 이용해서 제대로 만든 튼튼한 다리였어요. 그러나 대충 철판 같은 걸로 임시로 만든 다리처럼 생긴 것도 있었어요. 원래 다리는 콘크리트로 제대로 만들어놨지만, 주민들이 조금이라도 공간을 더 늘려서 사용하려고 만든 다리처럼 생긴 곳도 있었어요. 개천이 좁아서 그렇게 공간을 확장한 것 같았어요.

 

 

 

강원도 태백시 철암동 동명 유래는 이 동네 북쪽 백산과 경계 부근 철도 근처에 높이 20여m, 넓이 30여m 쯤 되는 큰 바위가 있다고 해요. 이 커다란 바위에 철 성분이 많아서 예전부터 쇠바위라고 불렀대요.

 

예전에는 쇠바위에서 돌을 떼어낸 후 녹여서 철을 얻기도 했다고 해요. 강원도 태백시 철암동 동명은 바로 이 쇠바위에서 유래했다고 해요. 예전에는 마을 이름이 철이 많은 쇠바위가 있는 동네라고 해서 '쇠바위 마을'이라고 불렀다고 해요. 쇠바위를 한자로 표기하면 철암 鐵岩이에요. 그래서 철암리가 되었고, 이후 태백시가 시로 승격하면서 철암리가 철암동이 되었다고 해요.

 

그런데 여기는 석탄 동네잖아.

 

철암동 동명은 철이 많은 바위에서 유래했다고 하지만 이 지역은 석탄이 많은 곳이에요. 산너머 옆동네 장성에서는 열심히 석탄을 채굴중이고, 원래는 철암동에도 탄광이 있었어요. 철암동 철암역 바로 뒷편에는 거대한 저탄장이 있구요. 만약 옛날 사람들이 여기에 석탄이 많은 것을 알았다면 철암동 鐵岩洞 대신 탄암동 炭岩洞, 또는 흑암동 黑岩洞 이 되었을 수도 있어요.

 

 

 

 

 

조용히 사진을 찍으며 강원도 태백시 철암동 피내골 탐방 여행을 즐겼어요. 좁은 피내골 개천을 따라 집이 늘어서 있었어요. 바로 양쪽 지척에는 산이 있었어요. 흔히 상상하는 '강원도 마을' 이미지에 부합하는 곳이었어요.

 

 

 

 

 

강원도 태백시 철암동에 대한 자료는 인터넷에 별로 없었어요. 피내골 관련 기사를 찾아봤지만 나오는 것은 거의 없었어요. 강원도 태백시 철암동 주민들은 2013년 2월부터 철암동 전 지역을 대상으로 특색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을 가꾸기 위한 조성계획을 세웠고, 주민들과의 협의를 통해 철암 단풍축제가 열리는 피내골을 특색 있고 볼거리가 있는 마으로 변화시키자는 데에 의견을 모았다고 해요.

 

이를 통해 철암동 주민자치위원회, 철암동 새마을협의회, 부녀회 등 마을 단체와 모든 주민들, 철암동 주민자치센터가 철암두멧길 등산로 정비, 아로니아길 조성, 공한지화단 조성, 안전펜스 설치, 마을 빈집 정비, 단풍축제장 조성 등의 마을 정비 사업을 추진했어요.

 

2015년 11월 25일에 태백시가 뉴빌리지 태백 운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꽃피는 피내골 만들기' 사업이 강원도 주민자치대상 최종 평가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해서 기관 및 단체표창과 500만원의 상사업비를 지원받게 되었어요.

 

2017년 2월 24일에는 태백시가 철암동 피내골 일원 249필지 일대에 대한 지적재조사 사업 실시계획을 수립하고 4700여만원을 들여서 2018년 말까지 지적재조사 사업을 본격 추진할 거라 밝혔다는 기사가 있었어요.

 

강원도 태백시 철암동 피내골에 대해 인터넷에 존재하는 정보는 이 정도가 전부였어요.

 

 

 

 

 

"여기 잘 개발하면 예쁜 관광지 되겠는데?"

 

피내골 마을은 묘한 매력이 있었어요. 여름에 강원도 정선군 조동리 함백 갔었을 때가 떠올랐어요. 함백에 비하면 규모가 작았어요. 그러나 조그만 개울가 양옆으로 집들이 들어서 있고, 개울 폭이 좁아서 주민들이 직접 다리 비슷하게 구조물을 설치하고 이것저것 가꾸는 풍경이 매력적이었어요.

 

이런 곳에 대해 철거하고 자연으로 돌려놓아야한다는 생각을 가진 분들이 꽤 있어요. 그렇지만 남아 있는 자연은 보존하되, 이렇게 개발된 곳은 개발되었으니 특징을 갖는 지역으로 바꿔서 특색 있는 관광지화시키는 것도 좋아요. 관광지 개발 과정에서 무조건 다 때려부수는 바람에 이도 저도 아닌 밋밋한 곳으로 전락한 곳이 상당히 많아요. 단순히 대도시 젠트리피케이션 뿐만 아니라 시골도 마찬가지에요. 너무 삐까번쩍한 새로운 건물들로 다 변하는 바람에 특색없어진 곳도 많지만, 반대로 다 철거하고 자연으로 되돌려놔서 특색없어진 곳도 꽤 있어요.

 

다음에 갈 곳과 여기, 삼방동 미로마을을 묶어서 같이 보고 돌아다니도록 만들면 꽤 매력적인 관광지가 될 것 같았어요.

 

 

태백에도 사과가 있다!

 

"요즘 강원도는 사과 재배가 무슨 트렌드인가?"

 

강원도에는 감자가 많다는 말을 매우 많이 들었어요. 그러나 강원도 여행 다니며 감자는 제대로 못 봤어요. 감자 음식점, 시장에서 판매하는 감자떡 같은 감자 음식이야 봤어요. 그렇지만 감자밭은 못 봤어요. 강원도 남부 여행 가서 정말 많이 본 건 배추였어요. 그 다음이 의외로 사과였어요. 강원도 동해시 여행 갔을 때 도처에 사과 나무 천지라서 놀랐어요. 태백시는 여름조차도 추운 동네라서 사과가 없을 줄 알았는데 사과 나무가 있었어요. 사과 나무에는 사과 열매가 매달려서 잘 익고 있었어요.

 

 

 

피내골을 둘러보고 다시 나왔어요.

 

 

아, 나의 4번 버스가!

나의 태백시 여행 적토마 4번 버스 어디 가!

 

나의 거칠 것 없는 질주, 나의 태백시 여행 적토마 태백 시내 버스 4번이 지나갔어요. 괜찮았어요. 아직 철암동을 다 보지 못했어요. 더 가야 할 곳이 남아 있었어요.

 

 

철암동행정복지센터 게시판을 봤어요. 철암단풍축제를 홍보하고 있었어요.

 

 

"연탄도 이렇게 세분화하는구나!"

 

안내표지판을 보고 놀랐어요. 안내표지판에서는 먼저 괴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있었어요.

 

괴탄 槐炭 (lump coal)

덩어리로 된 석탄을 지칭하며, 발열량은 6,300~6,500kcal/kg 정도로 분탄보다 높다. 규격에 따라 소괴(15~40mm), 중괴(40~65mm), 대괴(65mm 이상)로 분류된다.

 

아래에는 연탄이 만들어지고 사라지는 과정이 나와 있었어요.

 

1. 채탄

2. 선탄

3. 괴탄

4. 분탄

5. 찍기

6. 연탄

7. 불탄

8. 연탄재

 

탄광에서 석탄을 캐는 것은 채탄이에요. 채탄된 '결과물'에서 돌 같은 것을 골라내야 해요. 이 선별 작업이 선탄이에요. 선탄 작업에서 고른 석탄 덩어리들이 괴탄이고, 이 괴탄을 빻아서 가루로 만든 것이 분탄이에요. 분탄을 연탄틀에 넣어서 찍어내면 연탄이 되요.

 

불 붙은 연탄을 '불탄'이라고 하는 것은 처음 알았어요. 어렸을 적에 집에서 연탄을 사용하기는 했지만 연탄을 사용했다는 기억만 있어요. 채탄, 선탄, 괴탄, 분탄, 불탄은 강원도 남부 탄광지역 여행하면서 알게 된 단어였고, 그 중에서 불탄은 이 표지판 보고서야 알게 된 단어였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