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 신교육사회학 new sociology of education 출현

좀좀이 2019. 8. 1. 22:16
728x90

교육사회학 - 신교육사회학 new sociology of education 출현


신교육사회학 new sociology of education


- 1970년대 영국에서 등장.

- 신교육사회학자들은 종래 교육사회학이 연구 주제를 잘못 선택했다고 비난하며 새로운 연구 주제를 들고 나옴.

- 연구에 임하는 자세도 새로운 것을 주장.

- 종래의 교육사회학이 주로 사회 구조가 교육 기회 분배와 계층 구조 유지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밝히는 구조기능주의적 접근에 몰두해온 사실을 비판.

- 학교 내부의 교육 과정 및 수업 진행과정, 교사와 학생 관계를 탐구해야 한다고 주장.

- 이런 의미에서 갈등이론은 거시적 접근, 신교육사회학은 미시적 접근이라 볼 수 있음.


- 번스타인 Basil Bernstein, 영 Michael F. D. Young : 시교육사회학 (미시적 교육사회학) 발전에 큰 공헌.


- 번스타인 : 사회언어학적 연구에서 시작해 교육내용이론 형성을 위한 연구 범위 확대에 많은 노력을 기울임.

- 1963년 런던대학교 교육학대학에 부임한 이후, 학교의 교육내용과 내부 현상에 대한 연구 강조 -> 새로운 교육사회학으로 발전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올 정도로 주목받음.

- 교육내용의 연구가 교육학 - 좁게는 교육사회학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것에 결정적 공헌.


- 영 : 종래의 교육사회학을 단호하게 비판하며 교육사회학의 새로운 방향을 뚜렷이 제시.

- 종래의 교육사회학은 사회 계층과 교육기회의 분배 문제에만 집착한 나머지 학교 내부의 현상에 대해 주목하지 않았다고 주장.

- 그러므로 이제부터는 교육기관에서 가르치고 있는 지식의 사회성에 관심을 가져야 하고, 종국에는 교육사회학과 지식사회학이 한 분야임을 인식하게 될 날이 올 거라 주장.


- 고버트 David Gorbutt : 신교육사회학이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

- 교육내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학문 동향을 가리켜 신교육사회학 The new sociology of education  이라 명명하고 이것은 종래의 교육사회학을 대치할 대안적 패러다임 alternative paradigm 이라 주장.


- 휘티 GGeoff Whitty : 학교에서 가르치는 지식의 정치학적 성격을 파헤치는 것에 노력을 기울임.


- 당시에는 사회평등의 구현을 위한 수단으로서 학교 교육에 대한 관심이 극도로 고조되어 있었음.

- 이 무렵 연구는 학교 교육 기회의 분배 상황과 기회 분배의 결정요인을 규명하는 것에 집중됨.

- 연구 결과는 사회 계층 배경이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드러남.

- 처음에는 한정되어 있는 교육 기회를 대폭 늘리고 정예주의적인 복선학제를 단선학제로 고치면 계층에 의한 교육불평등이 해소될 것이라 봤음.

- 그러나 복선학제를 고치고 11세 이상 시험 Eleven plus Examination - 즉 초등학교 졸업시험으로 대표되는 조기 선발제도를 포기했음에도 교육의 평등은 좀처럼 실현되지 않았음.

- 교육 기회의 개방과 여러 보완조치가 평등 교육으로 이어지지 않았음.

- 오히려 교육은 여전히 사회적 지위를 상속해주는 교량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학교가 사회적 지위 상속 수단으로 활용되는 증거는 미국에서도 나타남.

- 이러한 연구 결과에 직면해 미국과 영국의 교육사회학은 각기 다른 방향으로 활로를 찾기 시작.


- 미국 학자들은 갈등이론에서 해결책을 구함.

- 문제의 소지가 학교나 교육제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불평등한 사회제도에 있다는 것으로 설명 시도.

- 교육 불평등은 교육 그 자체의 속성이 아니라 전체 사회의 구조적 불평등이 그대로 교육에 반영된 것에 불과.

- 미국에서의 교육사회학 연구는 사회의 구조적 특징과 교육구조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방향으로 강화됨.


- 영국 학자들은 교육 내부의 문제로 시선을 돌림.

- 학교 내의 제현상 - 특히 교육 내용의 성격을 규명함으로써 구조기능적 접근의 한계를 벗어나려고 시도.

- 교육에 관한 제반 문제를 해명하기 위해 무엇보다 먼저 교육의 내부현상을 분명히 파악해야 한다고 생각함.

- 교육내용의 성격과 그것이 전수되는 과정을 명백히 이해해야 한다고 봄.

- 교육 내용으로서의 지식에 관한 연구와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가 주요 주제로 대두.


- 민속연구방법론 및 현상학적 방법론,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의 등장 -> 학교의 내부 현상을 탐구하는 것에 있어서 방법론상의 어려움을 크게 덜어주게 됨.

- 그래서 교육과정사회학의 주창자들은 종래의 거시사회학 관점에서 벗어나 미시사회학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게 됨.


- 신교육사회학 또는 교육과정사회학의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음.

- 교육과정과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교육과정을 보는 이들의 관점은 지식의 사회성에 바탕을 두고 있음.

- 학교의 교육내용은 사회적으로 결정된 문화 전수의 한 방편이기 때문에 그것은 보편적인 것도 절대적인 것도 아님.

- 교육과정은 사회적 및 정치적 산물.

-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도 사회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항상 교육적인 것은 아니라는 입장.

- 학생과 교과 지식에 대한 교사의 범주 구분 방식도 사회적으로 형성된 것 -> 중간계층 학생에게 유리하게 작용함으로써 낮은 계층 학생들에게는 불리하게 작용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