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도시지리학

도시지리학 - 도시 경제 기반 모형 - 기반 대 비기반 활동, 승수, 순환 누적적 인과관계, 집적

좀좀이 2018. 4. 15. 04:58
728x90

도시지리학 - 도시 경제 기반 모형 - 기반 대 비기반 활동, 승수, 순환 누적적 인과관계, 집적


경제 기반 모형 economic base model


- 모든 도시는 경제화동의 결과로 얻는 소득을 창출해야 함.

- 가장 기본적인 수준에서 경제활동을 기반과 비기반으로 분류 가능.

- 이러한 개념과 관련된 모형을 경제 기반 모형이라 함.


기반 대 비기반 활동


- 기반 basic 경제활동은 도시의 주민들을 위한 소득 창출.

- 이 활동은 도시 내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를 도시 외부에 팔기 위해 수출하므로 수출 활동 export activities 라고도 함.

- 경제 성장을 위한 엔진.

- 과거 수십 년간 기반 활동은 전형적으로 분업 체계를 통해 어떤 물건을 만들어내는 제조업과 연관이 있었음.

- 오늘날에는 고급 서비스도 역시 도시 기반 활동의 중요한 부분 차지.


- 비기반 nonbasic 경제활동은 외부로부터 소득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도시 내에서 소득을 순환시킴.

- 전통적으로 소매업과 다른 소비자 서비스업 consumer services 와 연관.


- 모든 경제 활동은 다음 식처럼 기반 활동과 비기반 활동으로 분류 가능.

TA = BA + NBA

TA : 전체 경제활동

BA : 기반 경제활동

NBA : 비기반 경제활동


승수 multiplier


- 기반과 비기반 경제활동을 구분하는 이유 중 하나는 기반 활동이 도시의 경제 성장을 위한 엔진 역할을 하기 때문.

- 기반 활동이 없으면 아무 소득도 도시로 들어올 수 없음.

- 현실적으로 도시의 모든 주민은 도시 경제의 기반 부문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도시 내로 벌어들인 소득에 의존.

- 만약 고객이 도시 내부에 거주한다면, 그 도시에서의 거래는 돈이 단순히 도시 내에서 순환하기 때문에 비기반 활동으로 간주.

- 그러나 만약 고객이 도시 외부 - 즉 다른 도시에 거주중이라면, 그 거래는 돈이 도시로 들어온 것이기 때문에 기반 활동으로 분류.


- 기반 활동이 도시의 다른 주민들을 지원하는 방법은 승수를 통하는 것.

- 이러한 승수는 모두 도시 전체의 고용에 대한 기반 활동의 영향을 의미.

- 예를 들어, 도시 내에 입지한 제조업체가 수요 증가에 맞추어 생산을 늘리기 위해 1명의 직원을 더 고용할 경우, 승수는 TA = m x BA 로 나타낼 수 있음.

- 위의 TA = m x BA 에서 m은 1명의 추가 고용이 도시 경제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인지 나타내는 승수.

- 만약 승수 효과가 없다면 도시 경제에서 추가 고용이 발생하는 것은 딱 그만큼 고용이 늘어난 것일 뿐이며, 이 경우 승수는 1.

- 그렇지만 현실에 있어서 승수는 항상 1보다 큼.

- 이는 기반 부문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도시 내부로 벌어들인 소득에 기반해 어떤 비기반 활동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 -> 먹고, 출퇴근용 교통수단도 이용해야 함.

- 이런 모든 활동은 벌어들인 소득의 일부를 자기 도시 내에서 소비하는 것을 요구.

- 이러한 비기반 활동은 그 소득을 도시 내에서 순환시키며 추가적인 고용 창출 -> 그렇기 때문에 기반 부문에서 1명의 추가 고용에 의한 전체 영향은 1명보다 큼.


순환 누적적 인과관계


- 승수에 대해 알아야 하는 이유 중 하나는 승수가 순환 누적적 인과관계 circular and cumulative causation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

- 이 이론에서 1차 승수 primary multiplier 는 기반 활동과 지역 내 다른 사업체 간의 직접적인 경제적 연계에서 수반되는 효과.

- 후방 연계 backward linkage 는 한 기업과 그 기업의 생산과정에 필요한 원료 또는 서비스를 공급하는 기업 간의 연계.

- 전방 연계 forward linkage 는 한 기업이 생산한 재화 또는 서비스를 다른 기업에게 판매하는 연계.

- 전방 연계와 후방 연계가 한 도시 내에 입지한 기업들 사이에 적용될 때, 그 연계는 도시 성장의 효과를 증대시키며 상위와 하위 기업 모두 혜택을 받게 됨.

- 1차 승수는 같은 도시 내의 한 기업과 다른 기업들 간의 직접 연결을 통해 도시 내의 고용을 증가시킴.


- 2차 승수 secondary multiplier 는 기반 부문에 고용된 근로자가 소비한 돈이 도시 경제 내에서 여러 번 다양한 용도로 순환되며, 비기반 부문의 고용을 지원.

- 도시 근로자의 소비는 연쇄적으로 타인의 수입과 지출에 영향을 끼침.

- 결국 충분한 인원의 기반 부문 근로자와 그들이 지원하는 비기반 부문 근로자들이 도시 안에서 살 수 있다면, 새로운 종류의 재화와 서비스가 제공되거나 생산됨.

- 어떤 지역의 인구 규모와 그곳에 존재하는 재화 및 서비스의 종류 간의 이러한 관계는 최소요구치 threshold 로 설명 가능.

- 어떤 종류의 경제활동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충분한 구매력을 가진 인구의 최소요구치가 필요.


- 여기에서 1차 승수와 2차 승수를 합쳐서 보면, 순환 누적적 인과관계의 기본적인 통찰 획득 가능.

- 도시 경제에 소득과 고용을 가져온 경제호라동은 성장을 일으키며, 그 성장은 더 큰 성장을 조성해나가고, 이러한 방식은 지속됨.

- 경제성장의 과정은 순환 누적적이어서 그 자체로 전진하고 조성해나감.

- 단, 이러한 설명이 다노 너무 낙관적이라 생각할 수도 있음. 특히 작은 도시들은 경제적으로 취약하기 때문에 그 도시의 어떤 공장이 제품판매가 부진해 폐업하거나 생산을 감축해야 한다면 성장 과정은 역으로 작용.

- 그러나 대체로 도시가 25만명 정도의 인구로 충분히 성장한다면, 그 도시는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과정을 적어도 인구 측면에서는 겪지 않을 거라 추측.

- 충분히 많은 인구를 가진 도시의 경제는 튼튼할 것이고 경기 침체를 견뎌냄.


- 이러한 것들을 종합해서 보면 제품이나 서비스를 수출해 지역을 위한 소득을 창출하는 활동은 기반 활동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수준에서 생산은 기반 경제 활동으로 정의되어야 함.

- 산업 자본주의가 발전하면서 제조업은 기반 활동으로 간주됨.

- 공장은 새로운 기반 부문 종사자들을 데리고 오고, 이들은 지역 내 소비지향적인 서비스 부분의 근로자들을 지원.

- 서비스업은 항상 지역 내 비기반활도응로 간주되었음.


- 1970년대 이래 경제는 급속히 변화했음.

- 제조업이 여전히 국가 총소득의 대부분을 산출하고 있으나, 고용으로 볼 때 제조업은 전체 고용에서 상당히 작은 부분 차지.

- 제품 생산 과정에서 기계가 사람들 대체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업은 과거보다 훨씬 적은 수의 근로자 고용.

- 어떤 의미에서는 적은 수의 근로자가 더 많은 것을 생산하기 때문에 이러한 생산 과정이 생산성을 증대한 것으로 볼 수 있음.

- 그러나 다른 의미에서는 이러한 경제적 변화가 우리에게 어려움을 주기도 함 -> 제조업이 전체 도시의 경제를 지원하는 고용을 더 이상 제공하지 못하면 다른 것이 고용을 창출해주어야 함.


- 새롭게 고용을 창출하고 있는 분야는 고급 서비스업 advanced services.

- 세계 경제는 점점 멀리 뻗어나가는 활동을 통제하는 고급 서비스에 의존.

- 그래서 지금은 지역 경제를 지원하는 기반 활동으로서 공장 근로자 대신 변호사, 회계사, 투자가들이 도시 외부의 고객들을 끌어들여 그 역할 수행.

- 여러 측면에서 고급 서비스와 연관된 승수는 이들이 더 많은 돈을 벌고 더 많은 돈을 지역 내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공장 근로자와 연관된 승수보다 큼.

- 공업 기반 대도시가 고급 서비스 기반 도시로 변하면 더 큰 승수 효과를 얻을 수 있음.


집적 agglomeration


- 집적경제 agglomeration economies 개념은 도시 및 경제지리학에서 고전적 위치를 차지중.

- 이 개념은 베버의 공업입지론에서 한 부분을 구성.

- 집적 입지의 이익은 제조업의 도시 간 및 도시 내 입지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서비스업 입지에도 적용.


- 집적은 어떤 활동의 입지적 집중 또는 클러스터 cluster를 의미.

- 경제는 절약과 같은 의미.

- 집적 경제는 경제 활동의 집중으로 얻을 수 있는 절약을 의미.

- 제조업의 경우, 집적경제의 결과로 나타난 것이 산업지구 industrial district 또는 산업단지 industrial park.


- 집적 경제에는 국지화 경제, 도시화 경제가 존재.


- 국지화 경제 localization economies : 유사한 종류의 제조업이 집중했을 때 발생하는 절약.


- 도시화 경제 urbanization economies : 도시 지역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서로 다른 활동들이 모였을 때 발생하는 절약.

- 고속도로, 상하수도, 숙련 노동력 같은 도시의 하부구조를 공유한 결과.

- 도시화 경제는 왜 대도시에 산업들이 집중하는지 이해하는 것에 있어 중요.


- 집정 경제는 제품 한 단위의 평균 생산비용을 절감시킴.

- 도시화 경제의 경우 도시 하부구조를 공유함으로써 비용절감을 획득.

- 기업이 먼 농촌 지역에 입지한다면 그 기업은 하부구조 요소들을 자체적으로 마련해야 하므로 상당히 높은 비용 발생.

- 그러므로 고급 서비스 경제로의 대규모 전환이 있기 전인 20세기 초중반, 미국의 주요 제조업 중심지는 뉴욕, 시카고, 디트로이트, 클리블랜드, 피츠버그 같은 대도시들이 된 것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