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여행기/문헌정보학

[문헌정보학] 장서개발론 - 데이터 수집

좀좀이 2016. 4. 5. 05:00
728x90

데이터 수집


- 지역사회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인사와의 면담, 지역공개토론회, 사회지표법, 현장조사의 4가지 방법이 데이터 수집을 위해 주로 사용됨.


- 지역사회 인사와의 직접 면담key informant method : 그 지역사회 주민들의 정보요구를 파악하고 있을 만한 위치에 있는 공직자, 지역사회기관장, 그 지역 경제계인사, 성직자, 공직자는 아니지만 그 지역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그 지역 사회 사정에 밝은 인물과 개별적 면담을 통해 지역사회의 정보요구에 관한 의견과 아이디어를 알아내는 것. 이 방법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면담시 사용될 조사표interview schedule가 사전에 작성되어야 하고 이 질문이 어떤 답을 이끌어 낼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한 예비테스트가 필요하다는 점. 결점은 지역사회인사가 그 지역사회 전체를 대표할 수 없다는 점.  데이터는 주관적 성격이 강함. 장점은 데이터 수집을 위한 준비와 시행이 용이하고 시간을 많이 요하지 않으며, 주요 지역사회 인물들에게 지역사회의 다양한 정보문제를 인식시킬 수 있다는 점.


- 지역 공개 토론회community forum : 지역 공개 토론회를 개최해 도서관의 서비스 개선이나 기타 도서관에 관련한 문제를 듣는 것. 이 방법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홍보를 잘 해서 참여율을 높이는 것이 관건. 장점은 공개토론회의 개최가 용이하며 경제적이라는 점과 지역사회의 도서관 봉사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을 알 수 있다는 점. 도서관은 후엘이 도서관 서비스 개선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샐행하는데 이들의 지원을 요청할 수 있음. 결점은 지역사회의 도서관 비이용자는 공개토론회에 참가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 또한 획득한 자료는 다분히 인상적이고 주관적이라는 점.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들을 범주화하여 체계적인 분석을 한다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 그러나 이런 결점에도 불구하고 공개토론회 방법은 지역사회의 일반 주민들의 직접적인 의견, 아이디어, 비평등을 얻는 가장 기본적인 민주적 과정이라는 점에서 매우 유용.


- 사회지표법social indicators : 사회지표에 의한 지역사회연구는 한 지역사회를 어떤 특성에 의해 서로가 구분되는 개개의 하위단위로 세분하여 기술하는 것. 여기서 말하는 어떤 특성이란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하나의 단위를 다른 단위와 구별짓게 하는 요소로서 이 특성은 지리적인 것(강이나 산, 혹은 교통수단에 의한 구분), 사회인구적 특성(연령, 성별, 소득, 교육, 종족), 인구학적 특성(인구분포, 인구밀도, 인구이동), 기관분포적 특성(행정기관이 밀집된 곳, 교육기관이 집중된 곳, 유흥가, 상가). 사회지표에 의한 지역사회 요구분석은 관계되는 지표를 연구함으로써 지역사회의 특정요구를 결정할 수 있음. 사회지표를 이용해 지역사회 연구를 하고자 하는 도서관은 기존의 공문서나 공식보고서의 기록을 통해 수집할 수 있는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자료를 사용함으로서 도서관과 관련된 지역사회요구의 면모를 추측해낼 수 있음. 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는 특정그룹과 아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요인들을 연구하여 이를 외삽exxtrapolate함으로서 전체 지역사회의 정보요구를 추정할 수 있음. 도서관 분야에서 어떤 사회지표를 지역사회의 정보요구를 나타내는 요인으로 사용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연령, 성별, 교육, 소득, 건강상태, 직업, 결혼여부, 거주지/직장소재지와 같은 요구 등. 노년층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공공도서관의 이용이 낮아지고, 대학교수나 회사원들은 그들의 지위와 연령이 올라갈수록 도서관/정보센터를 덜 이용하는 경향이 있음. 이들은 필요한 정보수집을 위해 도서관/정보센터를 이용한다 해도 그들 스스로가 정보를 수집하기 보다는 나아가 젊은 조교나 하급직원을 시키는 경향이 있음. 남자보다는 여자의 도서관 이용율이 훨씬 높음.  교육년한이 증가할수록 도서관 이용도 증가하는데 대학졸업후에는 이용도 낮아짐. 저소득에서 중간계층으로 갈수록 도서관 이용이 높아지고, 중간계층에서 고소득으로 갈수록 도서관 이용이 감소. 조사될 지표가 결정되면 이에 필요한 자료는 기존의 여러 문헌으로부터 수집할 수 있는데 가장 좋은 자료의 출처로는 국가센서스자료가 있음. 이 자료의 최신화를 위해서는 그 지역사회의 계획기관, 교육구청, 상공회의소, 경찰서 등에서 수집된 최신자료를 이용할 수 있음.


- 현장조사는 모든 과학적 연구에서 흔히 쓰이는 방법으로서 전체 연구대상으로부터 일정수의 표본을 추출하여 이들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나 면접을 실시해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가장 큰 단점은 비용이 많이 들어감. 표본의 선정, 일대일 대응에 의한 면접, 높은 수준의 통계분석등은 다른 연구방법보다 많은 경비를 요함. 면접이나 질문지에 응답하는 다수의 사람들이 자신이나 자기 가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꺼리는 경우가 많음. 이는 설문지를 사용할 경우 낮은 회수율이나 면접의 거부 등 연구데이터로서의 가치를 저하시킴. 장점은 지역사회의 정보요구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정확하고 신빙성있는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점. 현장조사방법 이외의 다른 방법들도 물론 유용하기는 하나 지역사회 인사와의 개별면담 방법은 지역사회를 완전히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 지역공개토론회 방법은 비 이용자는 배제된다는 점. 사회지표에 의한 방법은 어떤 사회지표가 도서관 이용과 그 이용으로부터 얻어진 혜택과 관계있는 요인인지를 정확히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는 본질적 결점을 가지고 있음. 즉, 현장조사방법과 이들 다른 조사방법을 병용해서 지역사회연구를 실시한다면 훨씬 신빙성 있는 연구결과를 얻게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