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적인 수사적 구조
- 내러티브 연구자는 형식을 실험하면서 내러티브 연구를 기록하도록 사람들을 격려.
- 연구자들은 읽을 거리 (회고록, 소설 등)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것을 가장 우선적으로 찾고, 내러티브 연구를 결론 없는 저술, 과정으로 바라보며, 다른 내러티브 논문이나 책을 읽으며 자신들의 내러티브 형식을 만들 수 있음.
01. 연대기적 내러티브를 보여 주기.
02. 개요, 문헌검토, 방법론 이후 참여자와 함께한 저자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구성.
03. 3차원적 탐구 공간 반영 -> 회고와 전망을 하고, 내면과 외부를 살피고, 경험을 장소 안에 두는 텍스트.
삽입된 수사적 구조
- 거대 서술구조는 실험성과 융통성을 견지한다는 것을 가정할 때, 더 미시적인 수준의 서술구조는 저자가 내러티브 연구를 구성하며 사용하게 되는 서술 전략의 여러 요소와 관련됨.
01. 내러티브를 서술하는 것은 어떤 목소리를 침묵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것보다 특정 목소리에 대해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하는 것.
02. 전기 저자가 참여자의 삶에 있어 핵심 사건을 중심으로 사건의 전후 시기를 작업하는 순행-역행 방법 progressive-regressive method 와 같이, 서술에는 공간적 요소가 존재할 수 있음. 또한 연구의 견고한 현장에 대해 큰 맥락을 기술하고 다시 미세한 것을 살피는 것과 같은 '줌 인', '줌 아웃'도 있을 수 있음.
03. 글쓰기는 사람들의 삶을 특징짓는 경험과 상호작용적인 순간으로 정의되는 '핵심 사건'이나 '발현' epiphany 을 강조. 이는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 가능.
-> 01. 개인의 인생구조와 관련된 주요 사건
-> 02. 누적적이거나 대표적인 사건과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험
-> 03. 개인의 인생에서 한순간을 대표하는 사소한 발현
-> 04. 경험을 완화시키는 것을 포함한 에피소드나 완화된 발현
04. 주제는 내러티브 서술에서 보고될 수 있음.
- 기록된 인생의 발달을 이끄는 주제를 발견할 것. 연구자는 종종 부수적인 주제와 중요한 주제를 구분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나, 이 주제는 사전 지식이나 전 생애에 대한 검토를 통해 획득됨.
- 연구자는 주제 안에서 공통의 줄거리나 참여자들의 의견과 다른 요소를 찾아내는 '아래로 줄여나가는 것'으로 구성된 접근 - 즉 범위를 축소함으로써 서술연구 텍스트를 참조.
05. 다른 삽입된 수사적 장치에는 전기 저자가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는 전환사용 포함.
- 저자들은 단어나 구, 질문을 통해 내러티브를 삽입하고, 앞뒤로 행동을 옮기는 시간과 공간의 변화도 삽입.
- 전환에 덧붙여, 전기 저자들은 예시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다가올 일이나 사건들에 대한 서술적 힌트를 빈번히 사용하거나 나중에 전개될 주제를 보여주는 것.
06. 내러티브 연구자들은 은유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