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질적연구방법

질적 연구 방법 - 자료 수집 형태

좀좀이 2018. 4. 22. 18:51
728x90

질적 연구 방법 - 자료 수집 형태


- 질적 영역에서 새로운 형태의 질적 자료가 지속적으로 출현했으나, 그 모든 형태는 4개의 기본적인 정보 유형으로 구분 가능.

01. 관찰 : 비참여관찰에서 참여관찰까지 포함

02. 면접 : 폐쇄형 면접에서 개방형 면접까지 포함

03. 문서 : 사문서부터 공문서까지 포함

04. 시청각 자료 : 사진, CD, 비디오테이프와 같은 자료 포함


- 현대에 들어 서사적 이야기 글쓰기 narrative story writing 에서 일지 쓰기 jornalizing, 전자우편 메시지의 텍스트 사용, 비디오테이프와 사진을 통한 관찰 등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자료 출현.

- Stewart와 Williams는 사회 조사에서 온라인 포커스 집단을 활용하는 것에 대해 논의.

- 이들은 가상현실 적용이나 여러 이점들 (오랜 시간에 걸쳐 참여자에게 질문 가능, 큰 규모의 연구 가능, 더욱 열띠고 개방적인 의견 교환 가능)과 같은 새로운 발전을 강조하는 동시적 또는 비동시적 적용방식을 검토.

- 온라인 포커스 집단의 경우, 완전한 고지에 의한 동의를 구하는 것, 참여자를 모집하는 것, 다른 국제 시간대에 살고 있는 대상자들을 소집할 시간을 고르는 것과 같은 문제 발생.


- 연구자들은 시각적인 문화기술지, 현재의 이야기, 은유적인 시각적 내러티브, 디지털 자료가 포함된 내러티브 연구의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사진 유도 photo elicitation 기법 : 참여자들에게 사진 (연구자 또는 참여자 자신이 촬영한 사진)을 보여주고 사진의 내용에 대해 토의하도록 연구자가 질문.


질적 연구의 자료수집 접근 방법


01. 관찰

- 참여자로서 관찰을 수행해 현장노트를 수집.

- 관찰자로서 관찰을 수행해 현장노트를 수집.

- 관찰자보다는 참여자로서 좀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현장노트 수집.

- 참여자보다는 관찰자로서 좀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현장노트 수집.

- 먼저 '외부인'으로서 관찰해 현장노트를 수집한 후, 세팅으로 들어가 '내부인'으로서 관찰해 현장노트 수집.


02. 면접

- 비구조화, 개방형 면접 수행, 기록.

- 비구조화, 개방형 면접 수행, 녹음 후 필사.

- 반구조화된 면접 수행, 녹음 후 필사.

- 포커스 그룹 면접 수행, 녹음 후 필사.


03. 문서

- 연구 기간 동안 일지 작성.

- 연구 기간 동안 참여자들에게 일지 또는 일기 작성을 시킴.

- 참여자로부터 사적인 서류들 수집.

- 공문서 (공식적 메모, 의사록, 공판기록, 기록물 등) 분석.

- 자서전, 전기 조사.

- 정보제공자가 사진 또는 비디오를 촬영하도록 시킴 (사진 유도).

- 의료차트 감사 실시.

- 의료 기록 검토.


04. 시청각 자료

- 물리적 증거 조사.

- 개인이나 집단, 사회적 상황을 비디오 테이프로 녹화하거나 촬영.

- 사진이나 비디오 테이프 조사.

- 소리 수집.

- 전자우편, 전자 메시지 수집.

- 전화 문자 메시지 수집.

- 의식에 사용되는 물건이나 소지품 조사.



- 연구 접근에 따라, 질적 연구자들이 자료수집에서 선호하는 접근이 있음.


내러티브 연구

- 자연스로운 스토리텔링 녹음.

- 면접을 통해 이야기를 끌어내는 방법.

- 인터넷 같은 매체를 통해 이야기를 물어보는 방법.

- 광범위한 자료원 (자서전, 일지, 연구자의 현장 노트, 편지, 대화, 면접, 가족 이야기, 문서, 사진, 개인-가족-사회적 가공물)을 통해 현장 텍스트 수집.


현상학 연구

- 10명 정도의 개인들에 대한 심층 면접.

- 중요한 점은 그것을 경험한 소수의 사람들에게서 그 현상의 의미를 기술한다는 점.

- 종종 연구 참여자 각각에 대해 여러 차례의 면접 실시.

- 면접과 자기반성 self-reflection 외에, 연구 맥락 밖에서 이루어진 경험에 대한 묘사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것도 포함.


근거이론 연구

- 면접이 자료수집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 면접 이외의 다른 자료 형태 - 참여관찰, 연구자 반성 또는 일지 작성, 참여자 일지 작성, 포커스 그룹 등이 이론 개발을 위해 사용 가능.

- 그러나 근거이론 연구에서 면접 외의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자료들은 면접에 대해 보조적인 역할 수행.


문화기술지 연구

- 관찰과 면접이 가장 대중적인 자료 수집 형태.

- 연구자는 관찰, 면접, 문서, 인공물을 통해 행동에 대한 기술 수집.

- 문화기술지는 다섯 가지 접근 방식 중 자료 수집의 일부로서 측정, 검사, 양적 서베이 활용을 옹호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님.

- 문화기술지에 있어서 다양한 범주의 자료 형식을 보면, 관찰과 검사, 반복 측정, 표본 조사, 면접, 2차적 또는 시각 자료의 내용 분석, 유도 방법, 시청각 정보, 공간 매핑, 네트워크 연구 등과 같은 문화기술지적 자료수집 기법들을 개관.

- 참여관찰은 연구자가 완전한 외부인에서 완전한 내부인에 이르는 연속선상에 위치할 가능성을 제공.

- 문화기술지 과정을 통해 외부인에서 내부인으로 역할을 전환하는 접근은 현장연구에서 가장 잘 드러남.


사례연구

- 사례에 대한 심층적인 묘사를 시도하기 때문에 가장 광범위한 자료수집 방법 사용.

- 문서, 기록물, 면접, 직접 관찰, 참여관찰, 물리적 인공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