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질적연구방법

질적 연구 방법 - 내러티브 연구, 현상학, 근거이론, 문화기술지, 사례연구 자료분석 및 제시

좀좀이 2018. 5. 9. 06:50
728x90

질적 연구 방법 - 내러티브 연구, 현상학, 근거이론, 문화기술지, 사례연구 자료분석 및 제시


내러티브 연구 자료분석 및 제시


자료정리 : 데이터 파일을 만들어 정리

읽기와 메모 : 텍스트를 모두 읽고, 여백 노트를 제작. 1차 코딩 실시.

기술 : 이야기나 경험한 것을 기술하고 연대순으로 배열.

분류 : 이야기를 확인하고, 통찰해보며 맥락적인 자료를 확인.

해석 : 이야기의 종합적인 의미 해석.

제시와 시각화 : 과정, 이론, 독특하거나 일반적인 생활의 특성에 초점을 둔 서술 제시.


- 내러티브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그들이 전해야 했던 이야기, 펼쳐진 사건들의 연대기, 전환점이나 발현이 되도록 분석.

- 이렇게 대략적으로 밑그림을 분석할 때 연구자에게는 몇 가지 선택 사항이 있음.

01. 텍스트 자료를 다섯 가지 줄거리 구성 요소 (인물, 장소, 문제, 행동, 해결)로 분석.

02. 세 가지 차원의 공간적 접근 : 세 가지 요소 - 상호작용 (개인적/사회적), 연속성 (과거, 현재, 미래), 상황 (물리적 공간 또는 화자의 공간)에 대해 분석.

- 이 방법에 따라 인터뷰나 대화 같은 현장 텍스트의 형식에서 개인적 경험을 골라내는 것, 내러티브 요소에 기반한 이야기를 재구성하는 것, 연대기적 결과로 이야기로 재서술하는 것, 참여자의 경험이 있었던 환경이나 장소를 통합하는 것 등과 같은 공통요소를 알 수 있음.

- 이러한 공통 요소는 전기적 내러티브 서술에서도 발견됨.

- 연구자가 대상자의 삶에서 객관적인 경험들을 확인하는 것으로부터 분석을 시작.

- 대상자 인생의 밑그림을 위해 개인적인 일지를 살피는 것은 분석의 좋은 출발점.

- 이 밑그림 작업에서 연구자는 인생 단계나 경험을 찾음 -> 이는 개인의 삶을 연대기로 만들어가기 위해서.

- 이야기나 발현들은 개인의 일기나 면접을 통해 나타남.

- 연구자는 구체적이고 맥락적인 전기적 요소를 찾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주시.

- 면접자는 이야기의 다양한 영역으로 주제를 확대하고, 피면접자에게 그의 인생을 이론화하도록 요청.

- 이 이론들은 경력 모델, 인생 단계의 과정, 사회적 세계의 모델, 전기와 관련 모델, 인생 단계의 자연사 모델과 연관될 수 있음.

- 면접-이야기 속에서 내러티브 조각들이나 범주들은 연구자에 의해 분리되고 더 큰 유형과 의미가 결정됨.

- 마지막으로 개인의 전기는 재구성되고 연구자는 삶을 형성한 요소들을 발견.

- 이 과정은 개인의 인생과정, 이러한 인생의 경험들을 연결하는 여러 이론들, 독특하고 보편적인 삶의 모습들을 강조하는 사례의 분석적 추상개념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함.


현상학 연구 자료분석 및 제시


자료정리 : 데이터 파일을 만들어 정리

읽기와 메모 : 텍스트를 모두 읽고, 여백 노트를 만들며, 1차 코딩 실시.

기술 : 판단중지를 통해 개인적 경험 기술. 현상의 '본질' 기술.

분류 : 의미있는 진술을 개발. 진술들을 의미있는 단위로 묶음.

해석 : '무엇이 일어났는지'를 텍스트에 근거한 기술로 발전시킴. '어떻게' 현상이 경험되는 지 구조적 기술을 발전시킴. '본질'을 밝힘.

제시와 시각화 : 경험의 '본질'을 이야기하고, 진술과 의미 단위를 표, 그림으로 제시.


- 먼저 연구 중인 현상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을 기술할 것. 연구자는 현상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전체적으로 기술하는 것으로 시작. 이것은 연구자의 개인적 경험은 접어두고 연구참여자에게 초점을 두려는 것.

- 의미있는 진술의 목록 만들어보기. 연구자는 면접이나 다른 자료 원천에서 개인이 어떻게 주제를 경험하고 있는지에 대한 진술을 찾고, 의미 있는 진술들을 나열하며 (자료의 수평화 horizonalization), 각각의 진술에 동등한 가치를 두어 다루고, 반복되거나 중복되지 않는 진술들을 목록화.

- 의미 있는 진술을 '의미 단위' 또는 주제로 여겨지는 정보의 더 큰 단위로 묶어냄.

- 연구참여자들이 현상에 대해 경험한 것을 기술. 이를 경험 - '무슨 일이' 발생했는지  - 와 축어적 사례를 포함한 것에 대한 조직적 기술이라 함.

- 다음으로 그 경험이 '어떻게' 일어난 것인지 기술. 이를 구조적 기술이라 함. 조사자는 경험된 현상의 장소와 맥락 반영.

- 마지막으로 현상에 대해 조직적 기술과 구조적 기술 모두를 혼합해 기술. 이것은 경험의 본질과 현상학적 연구의 최고 견해 제시. 전형적으로 현상에 대해 연구참여자가 '무엇'을 경험했고, '어떻게' 경험했는지를 독자에게 이야기하는 긴 문단.


근거이론 연구 자료분석 및 제시


자료정리 : 데이터 파일을 만들어 정리.

읽기와 메모 : 텍스트를 모두 읽고, 여백 노트를 만들고, 1차 코딩 실시.

기술 : 개방코딩 범주를 기술.

분류 : 과정에 있어 중심 현상을 찾기 위해 개방 코딩된 범주 중 하나 선택. 축코딩-인과적 조건, 맥락, 중재적 조건, 전략, 결과.

해석 : 선택코딩과 이야기 전개. 조건적 매트릭스 발전시키기.

제시와 시각화 : 시각적 모형이나 이론 제시, 명제 제시.


-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 코딩 단계.

- 개방코딩 단계에서 정보의 범주를 만들어냄.

- 축코딩 단계에서 범주들을 서로 연결시킴.

- 선택코딩 단계에서 범주들을 연결하는 이야기 구성

- 개방코딩 단계에서 연구자는 원문 (축어록, 현장노트, 문서)에 의해 지지되는 정보의 두드러진 범주를 만들어내기 위해 원문 검토.

- 지속적 비교 접근을 이용해 연구자는 범주를 포화-범주를 나타내는 경우들을 찾고 획득된 새로운 정보가 더 이상 범주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지 않을 때까지 계속 살펴보는 것을 시키고자 함.

- 이 범주들은 범주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는 속성 properties 라는 하위 범주들로 구성. 이것은 데이터베이스를 근거이론 연구에서 탐구되는 과정이나 행동을 특징짓는 주제와 범주들로 축약하는 과정.

- 범주가 일차적으로 개발되면, 연구자는 관심사의 중심 현상이 되는 한 범주를 확인.

- 이러한 목적으로 선택된 개방코딩 범주들은 전형적으로 연구참여자가 집중적으로 논의한 것 또는 근거이론 프로젝트 연국과정에서 핵심으로 보이는 특정한 개념적 관심사.

- 연구자는 이러한 하나의 개방코딩 범주(중심 현상)를 선택해, 그것을 이론의 중심적 특성으로 상정하고, 이 중심 현상과 관련도니 범주를 이해하기 위해 다시 데이터베이스로 돌아감.

- 연구자는 중심 현상과 관련있거나 중심 현상을 설명하는 구체적인 코딩 범주를 통찰할 수 있도록 자료를 검토하는 축코딩이라는 코딩 과정 시작.

- 축코딩에는 중심현상에 영향을 주는 인과 조건, 현상을 설명하는 전략, 전략을 형성하는 맥락과 중재 조건, 전략을 수행한 결과가 있음.

- 이 코딩 단계에서 나타난 정보는 연구과정을 이론적 모델로 보여주는 그림, 코딩 패러다임으로 정리.

- 이런 방법으로 이론이 만들어지고 형성됨.

- 선택 코딩에서는 이 이론으로부터 연구자가 코딩 패러다임의 범주와 상호 관련도니 명제나 진술 형성.

- 마지막으로 광범위한 수준의 분석에서, 연구자는 조건적 매트릭스를 만들 수 있음.

- 이 매트릭스는 연구자가 중심 현상과 관련된 조건과 결과를 시각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분석 도구 - 다이어그램임.

- 이론을 제시하기 위한 구체적 형식은 다양함.


문화기술지 연구 자료분석 및 제시


자료정리 : 데이터 파일을 만들어 정리.

읽기와 메모 : 텍스트를 모두 읽고, 여백 노트를 만들며, 1차 코딩 실시.

기술 : 사회적 배경, 행위자, 사건들을 기술하고 현장의 그림을 그림.

분류 : 주제와 유형화된 규칙을 찾기 위해 자료 분석.

해석 : 어떻게 문화가 '작용하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해석하고 이해.

제시와 시각화 : 표, 그림, 스케치를 활용해 이야기 제시.


- 자료 변형의 세 가지 측면인 기술 description, 분석 analysis, 문화공유집단에 대한 해석 interpretation of the culture-sharing group.

- 문화공유집단과 현장에 대해 기술하는 것이 가장 좋은 출발점.

- 해석적 관점에서, 연구자는 아마도 오로지 하나의 사실 장면만을 보여줄 것.

- 연구 참여자와 다른 사람들이 문화기술지를 읽으면 다른 사실이나 해석도 가능.

-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연대기적 순서에 따라 제시하거나 분석될 수 있음.

- 기술에 초점을 두거나, 집단 또는 개인의 '일상생활 중 하루' 연대기를 통해 기술 가능.

- 마지막으로 또 다른 방법은 중요한 사건에 초점을 두거나, 줄거리와 인물이 있는 이야기를 전개하고, 그것을 신비 mystery로써 기술하고, 분석틀에 따라 상호작용하는 집단을 살펴보고, 정보제공자의 관점을 통해 다른 관점들을 보여주는 것.

- 질적 연구의 양적 측면 과정 - 기술 단계에서 소개된 구체적인 자료들을 강조하거나, 표, 차트, 다이어그램, 그림 등을 통해 결과를 보여주는 것.

- 또한 연구자는 체계적인 절차를 통해 분석 가능. 분류 체계 제작, 비교표 형성, 의미론적 표 개발.

-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석 절차는 자료에서 패턴화된 규칙을 찾는 것.

- 분석의 다른 형태는 문화집단을 다른 집단과 비교해, 표준이라는 견지에서 집단을 평가하고, 문화 공유집단과 커다란 이론적 틀 사이의 관계를 끌어내는 것.

- 다른 분석 단계에는 연구 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연구의 재설계를 제안하는 것이 포함.

- 문화공유집단에 대한 문화기술지적 해석은 자료 변형 과정.

- 여기에서 연구자는 데이터베이스를 넘어 '그들을 구성하는 무엇'을 연구.

- 연구자는 독자에게 의문이나 질문들을 야기하는 엉뚱한 비교 해석에 대해 심사숙고.

- 연구자는 자료로부터 추론을 끌어내거나 자신이 내린 해석의 구조를 제공하는 이론으로 되돌아감.

- 연구자는 해석을 개별화 - 즉 '이것이 내가 그것에 대해 생각하는 것' 또는 '이것이 바로 연구 경험이 어떻게 내게 영향을 미쳤는가 하는 것'

-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시나 소설 또는 공연과 같은 표현을 통해 해석을 만들어냄.


사례연구연구 자료분석 및 제시


자료정리 : 데이터 파일을 만들어 정리.

읽기와 메모 : 텍스트를 모두 읽고, 여백 노트를 만들고, 1차 코딩 실시.

기술 : 사례와 그 맥락 기술.

분류 : 주제나 패턴을 구성하기 위해 범주화된 집합 사용.

해석 : 직접적인 해석 사용. 자연주의적 일반화 전개.

제시와 시각화 : 표나 그림, 이야기를 사용해 사례를 상세히 묘사.


- 분석은 사례나 현장에 대한 꼼꼼한 기술로 구성.

- 사례가 연대기적 사건에 관한 것이라면, 사례가 전개되는 각 단계나 국면에서 증거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자료의 출처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 좋음.

- 더욱이 세팅은 특히 중요.

- 자료 분석의 해석의 네 가지 유형

01. 범주적 집합 categorical aggregation : 연구자는 이슈와 관련된 의미가 나타나기를 희망하며, 자료로부터 실례를 찾음.

02. 직접적 해석 direct interpretation : 사례연구자는 단 하나의 예를 보고 다른 예들을 찾아보지 않은 채 의미 추출. 이것은 자료들을 분리해 더 의미있는 방식으로 모으는 과정.

03. 연구자는 패턴을 만들고 두 개 이상의 범주들 사이에 일치되는 것을 찾음. 이러한 일치는 두 개 범주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2x2 표 같은 표의 형식 사용.

04. 연구자는 자료분석으로부터 자연주의적 일반화 naturalistic generalization 을 이끌어냄. 이것은 사람들이 사례로부터 스스로 배우거나 사례 전체의 모집단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