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리학 44

문화심리학 - 비교문화 연구방법 - 측정 편향 measurement bias

측정 편향 measurement bias - 상이한 문화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에 사용되는 측정이 동일하게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도.- 타당도는 측정하련느 것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있는지를 지칭.- 신뢰도는 측정하려는 것을 일관성 있게 측정하는지를 지칭. - 비교문화 연구에서 언어 등가성만으로는 측정 등가성을 보장할 수 없음.- 두 언어에서 사용하는 언어 표현이 동일하다 해도, 두 문화에서 그 단어들이 동일한 뉘앙스를 갖고 있으며 정확하게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는 사실을 보장하지는 않음.- 성공적인 번역은 연구자에게 둘 이상의 언어에서 언어적으로 매우 등가적인 연구 도구 제공.- 그러나 여전히 아주 똑같지 않을 수 있음.- 대부분의 단어에서 등가적인 번역을 찾아내는 것은 매우 어려움.- 따라서 비교문..

문화심리학 - 비교문화 연구 설계 및 연관연구 : 점화 연구, 행동 연구

- 연관연구 방법에는 풀어헤치기 연구와 실험이 있음. 실험 experiment- 연구자가 우인-결과 관계를 확립하기 위해 조건들을 만들어내는 연구.- 일반적으로 참가자드을 조건들에 무선적으로 할당.- 연구자는 조건에 걸쳐 결과를 비교.- 문화간 비교 연구와는 근본적으로 다름 -> 문화 간 비교연구에서는 연구자가 문화집단을 만들어내지도 않고, 그 집단에 참가자들을 무선적으로 할당하지도 않음.- 진정한 실험은 연구자가 조건들을 만들고 참가자들을 그 조건에 무선적으로 할당. 점화 연구 priming study - 실험적으로 참가자들의 마음갖춤새에 처치를 가하고 그에 따른 행동의 변화를 측정.- 연구자들은 문화와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마음 갖춤새에 처치를 가하고 점화된 마음 갖춤새로 인해 참가자들이 상이하게..

사회심리학 - 잘못된 합의 효과, 잘못된 독특성 효과

잘못된 합의 효과 false consensus effect- 자신의 의견과 자신의 바람직하지 않은 또는 성공하지 못한 행동의 공유성을 과대평가하는 경향. -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이 하는 것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정도를 과대평가하거나 과소평가함으로써 자아상을 향상시키는 경향이 있음.- 견해에 있어서 사람은 다른 사람이 동의하는 정도를 과대평가함으로써 자신의 견해를 지지하는 것을 알 수 있음.- Sharad Goel, Winter Mason, Duncan Watts : 페이스북 사용자들이 정치와 다른 이슈들에 있어서 그들의 친구들에게 동의할 때에는 90% 정확하게 추측했으나, 의견 차이를 추측할 때는 고작 41% 정확하게 추측한다는 사실 발견.- 대부분의 경우, 친구들이 자신과 동의하지 않음에도 불구..

사회심리학 - 비현실적인 낙관주의, 방어적 비관주의

- 낙관주의는 삶에 대해 긍정적인 접근을 하는 경향이 있음.- 22국에서 9만명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비관주의보다 낙관주의 쪽에 분포되어 있음.- 사람들 대부분은 미래의 인생 사건들에 관해 비현실적인 낙관주의를 갖고 있음.- 2006년에서 2008년까지 세계적으로 행해진 설문조사에 의하면 사람들 대부분이 자신들의 삶이 지난 5년에 비해 앞으로 5년간 더 나아질 거라 기대.- 부분적으로 다른 사람의 운명에 대해 상대적으로 비관주의적이기 때문에, 학생들은 그들의 동급생들이 좋은 직업을 얻고, 많은 연봉과 자신의 집을 가지는 것보다 더 그럴 것이라 지각.- 또한 알코올 문제, 40대 이전에 심장마비를 겪거나, 해고되는 것 같은 부정적인 경험을 덜 겪게 될 거라 봄.- ..

사회심리학 - 자기고양 편향, 자기고양 귀인

자기고양 편향 self-serving bias- 자신을 호의적으로 지각하는 경향 자기고양 귀인 self-serving attribution- 자기고양 편향의 한 형태.- 긍정적인 결과는 자기 자신 덕택으로, 부정적인 결과는 다른 요인으로 귀인하는 경향. - 사람들 대부분 자신에 대해 좋은 평판을 갖고 있음.- 자긍심에 관한 연구에서 낮은 점수를 획득하는 사람조차도 가능한 점수의 중간 값에서 응답.- 자부심이 낮은 사람은 '나는 좋은 생각이 있어' 같은 진술에 '다소' 또는 '때때로' 같은 한정적인 용어를 갖고 응답.- 53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긍심 연구에 의하면, 자긍심 점수의 평균이 모든 나라에서 중간 값 이상.- 사회심리학에서 가장 도발적이면서도 확실히 정립되지 않은 결론들은 자기고양 편향의 잠재..

사회심리학 - 학습된 무력감과 자기결정

학습된 무력감 learned helplessness- 인간 또는 동물이 반복되는 나쁜 사건들을 통제할 수 없다고 지각하게 될 때, 절망감과 단념을 학습하게 되는 것. - 통제감의 이익은 동물 연구에서도 나타남.- 우리에 갇혀 전기 충격을 피할 수 없다고 길들여진 개들은 무력감을 배움.- 후에 이 개들은 처벌을 피할 수 있는 다른 상황에서도 수동적으로 움츠러들음.- 첫 번째 충격에서 성공적으로 탈출함으로써 개인적 통제를 배운 개들은 새로운 상황에 쉽게 적응.- Martin Seligman : 인간의 상황에서 이 학습된 무력감과 유사성들을 주목.- 우울하거나 억압된 사람들은 그들의 노력이 효과가 없다고 믿기 때문에 수동적이 됨.- 무기력한 개들과 우울한 사람들은 둘 다 의지의 마비, 수동적 체념, 심지어 움..

사회심리학 - 지각된 자기통제 - 통제 부위

통제 부위 locus of control- 사람들이 결과를 자신의 노력과 행동에 의해 내적으로 통제되는 것으로 지각하는가 또는 운 아니면 외부 힘에 의해 외적으로 통제되는 것으로 지각하는가 하는 정도 - Julian Rotter의 실험과 임상 실습에서 보면, 어떤 사람들은 그들에게 일어나는 일이 어떤 것이든 간에 외부의 힘에 의회 좌우된다고 지속적으로 느끼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그 결과가 대부분 그들의 노력과 기술에 의해 좌우된다고 느낌.- Rotter는 이런 차원을 '통제 부위'라 부름.- Rotter는 그의 제자인 Phares 와 함께 개인의 통제 부위를 측정하기 위해 진술문 29쌍을 개발. 01a. 장기적으로 이 세상에서 사람들은 합당한 만큼의 존중을 받는다.b. 불행히도 사람들의 가치는 그들이 ..

문화심리학 - 문화의 기원 - 인간 - 집단생활, 욕구와 동기, 보편적 심리 도구함

집단생활 - 문화의 생성에 기여하는 사람들의 첫 번째 특징은 사람이 사회적 동물이며, 항상 집단으로 살아왔다는 사실.- 사람들은 수십만 년 전에 이미 집단 생활이 개인 생활보다 낫다는 사실을 알았음.- 사람들 모두 때때로 다른 사람과의 친교를 원함.- 집단은 분업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에 효율적.- 분업은 집단으로 하여금 한 사람이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달성할 수 있게 해주고, 집단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있어 기능적이고 적응적인 것.- 많은 동물들이 사회적 동물이고 집단으로 생활하지만 인간만이 유일하게 문화적 동물로 간주될 수 있는 이유는 살아남기 위해 다른 사람들이 필요하며 그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문화 또는 생활방식을 만들어내기 때문.- 분업이 보다 많은 과제를 수행할 수 있게 해줌..

문화심리학 - 문화의 기원 - 생태계, 자원

- 문화적 조망에서 심리학을 이해하는 것은 문화의 본질을 보다 잘 인식하는 것에서 출발.- 많은 심리학자들과 일반인들은 문화 culture, 인종 race, 국적 nationality, 민족 ethnicity 등의 단어를 마치 동일한 개념을 지칭하는 용어인 것처럼 혼용.- 그러나 이 단어들은 동일한 개념을 지칭하는 것이 아님.- 사람들은 일상의 언어와 대화에서 '문화'라는 단어를 매우 당야한 방식으로 사용.- 문화는 행동이나 행위를 기술하거나, 한 집단의 유산이나 전통을 지칭하거나, 규칙과 규범을 기술하러나, 학습이나 문제해결을 기술하거나, 집단의 조직을 정의하거나, 집단의 기원을 지칭하는 데 사용 가능. - 문화는 다음과 같은 보편적 특성들을 지칭할 수 있음.01. 음식과 의복02. 주거와 테크놀로지0..

사회심리학 - 자기와 문화 - 개인주의, 인지, 자긍심

- 개인주의 individualism : 집단의 목표보다 개인의 목표를 우선시하는 개념. 집단 동일시보다 개인의 속성으로 자기 정체성을 규정함.- 독립적 자기 independent self : 자율적 자기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해석.- 집합주의 collectivism : 집단의 목표를 우선시하며 그에 따라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 상호의존적 자기 interdependent self :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정체감을 해석. - 산업화된 서구 문화 속의 사람들에게 개인주의는 보편화되어 있음.- 정체성은 거의 자기 개인과 관련되는 것.- 청소년기는 부모로부터 분리되는 시기이며, 자립하게 되고, 독립적 자기라는 개인을 정의하는 시기.- 외국으로 거주지를 옮겨 정착해도 자신의 정체성은 특유의 능력, 특..

문화심리학 - 심리학에 대한 문화 연구의 공헌 및 문화심리학의 성장

- 문화심리학과 비교 문화 연구의 발전이 주류 심리학에 미치는 충격은 상당했음.- 문화심리학은 지식의 생성과 그 지식의 응용 모두와 관련되어 있음.- 주류 심리학에서 이미 수집해온 상당한 지식이 있지만, 문화적 조망을 그러한 지식과 병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짐.- 사람들이 이미 학습한 정보나 장차 학습하게 될 정보가 모든 문화의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 가능한 것인지, 아니면 특정 문화의 특정 사람들에게만 적용할 수 있는지 집중해야 함. - 심리학에서 생성한 지식은 특정 문화 또는 인종, 민족, 국적, 성별, 성적 지향성 등 특정 사람들에게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을 정확히 기술해야 함.- 심리학은 교수, 학생, 개업 심리학자, 그리고 특히 자신의 삶이 심리학 지식의 영향을 받고 있는 모든 사람들..

문화심리학 - 문화심리학과 비교 문화 연구

- 심리학은 두 가지 주요 목표가 있음.01. 사람에 관한 지식 구축.-> 심리학자들은 행동이 언제 출현하는지 이해하고, 그 출현 이유를 설명하며, 심지어는 출현에 앞서 예측하고자 시도.-> 심리학자들은 연구를 수행하고 행동의 이론을 구축함으로써 이 목표를 달성.02. 그 지식들을 취해 사람들의 삶에 개입하고 더 나은 삶을 만드는 것에 적용.-> 심리학자들은 치료자, 상담자, 훈련가, 자문가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 목표 달성.-> 사람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그들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최전선에서 활동.- 심리학의 두 가지 목표인 지식 생성과 그 지식을 적용하는 것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 심리학자들은 심리학이 하나의 독립된 학문 분야로서 인간 행동에 관해 밝혀온 사실들을 응용과 개입의 ..

사회심리학 - 스포트라이트 효과, 투시의 착각

스포트라이트 효과 spotlights effect-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외모와 행동에 대해 실제로 그들이 하는 것보다 더 주의를 기울일 거라 믿는 것 - 사람들은 종종 실제보다 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주목하고 있다고 느낌.- 사람은 자기중심적 조망을 갖고, 자신의 두드러진 점을 과대평가함.- 스포트라이트 효과는 우리가 우리 자신을 무대 중앙에 있다고 보는 경향 때문에 직관적으로 다른 사람의 주의가 자신에게 집중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가 과대평가되어 있는 것을 의미. Timothy Lawson 의 실험01- 동료들을 만나기 전에 앞면에 American Eagle 이 새겨진 셔츠로 옷을 학생들에게 갈아입도록 함.- 학생 중 거의 40%가 다른 학생들이 셔츠에 새겨진 것을 기억할 거라 확신.- 실험 결과..

사회심리학 - 사회심리학의 정의 및 연구 분야

- 사회심리학은 사람들이 서로 어떻게 보고 영향을 받는지에 특별히 주의를 두면서 사람들이 처한 상황의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 사회심리학은 사람들이 서로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어떻게 관계를 맺는지 과학적으로 연구.- 사회적 상황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상황) 속에서 개인이 보여주는 심적 과정을 연구. - 사회심리학은 심리학의 경계선에서 사회학과 맞닿아 있음.- 사회학과 비교할 때, 사회심리학은 방법론적으로 좀 더 실험 연구 방법을 사용하면서 개인에 더 초점을 둠.- 동일한 현상에 대해 사회학은 사회구조에서부터 논의를 시작. 그러나 사회심리학은 사회에 속한 개인들의 마음에서부터 논의를 시작.- 성격심리학과 비교할 때, 사회심리학은 개인 간의 차이에 덜 관심을 두고, 일반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