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심 3

사회지리학 - 도심부 주거 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gentrification

젠트리피케이션 gentrification - 보통 도심부의 쇠락한 주거 지역의 주민들이 중간층의 전문직 종사자에 의해 대체되는 과정.- 여러 이론이 있지만, 주택에 대한 공급과 수요를 각각 강조하는 설명으로 분류 가능. - 공급 측면에서의 주요 개념은 임대료 차이, 가치 차이에 관한 이론. - 임대료 차이는 투자 이탈의 시기를 지난 후 자본이 왜 도심부에 다시 투자되는지 설명하고자 하면서, 핵심 요인은 현재의 토지 이용에서 토지 수익과 고수익 기능으로 전환될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 간에 발생하는 차이라 주장.- 이러한 차이는 가난한 사람을 부유한 사람으로 대체하기를 필요로 하는 고급 주택과 같은 것에 대한 투자를 자극.- 임대료 차이 이론은 물리적인 변화와 투자가 이탈했던 지역으로 자본이 되돌아오는 이..

도시지리학 - 도심부 지역의 쇠락 및 젠트리피케이션

- 다운타운 상업 중심지에 근접한 과밀하고 물리적으로 쇠락한 근린지역들은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이주해 온 내국 이주자들과 해외 이민자들에게 실용적. 왜냐하면 이들 지역은 도시의 산업 지역이 제공하는 직업에 근접해 있기 때문.- 도심부 근린 지역들은 심지어 더 과밀해졌고, 주택 시장의 정체가 오면 상태가 더 악화됨.- 특별히 우려되는 것은 노후하고 구조적으로 부적절한 다세대 주택.- 지역 사회 활동가들은 상태를 개선하는 공적인 조치를 계속 요구.- 어떤 지역에서는 주택이 정말로 위험했고, 선뜻 수리할 수 없었음. 그래서 유일한 해결책으로 철거가 등장. - 낡은 주택이 점차 부적절한 거주지로 간주되는 문제는 교외화에 의해 더욱 심화.- 교외화는 소매 기능의 분산을 수반.- 소매 기능의 분산은 거대 다운타운 ..

도시지리학 - 도심 재활성화 시도

- 미국에서는 1950년대부터 소매업이 교외로 빠져나가고 CBD 외곽이나 인근 도심부에 있던 제조업이 쇠퇴하면서 다운타운도 퇴락하기 시작.- 구매력을 가진 중산층과 상류층 주민들은 다운타운 가까이 살던 곳을 떠나 교외의 안전하고 넓으며 정원을 갖춘 새집을 사서 이주.- 많은 소비자와 업체들, 전문직 종사자들은 다운타운에 남았으나, 그들도 곧 교외의 시장이 더 크다는 것을 알고 이주 시작.- 1960년대 들어서 CBD는 더 급격히 쇠퇴.- 다운타운에는 어떤 목적으로 철거되지 않았다면 유용한 서비스 기능이 아니거나 공실로 고통받는 건물들이 남음.- 이런 부동산은 눈에 거슬리는 존재가 되어 부정적인 외부효과를 발생시키고 부동산 가격을 더 하락시킴. - 중심도시에 대한 영향도 재앙적.- 사람, 시장, 상업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