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장소 8

관광지리학 - 시간과 장소의 가상 체험

- 관광과 관계된 수많은 여가 소비 행태는 사람들에게 신화나 환상 같은 것. 즉, 가정 생활의 평범함과 일의 지루함에서 도피하기를 바라는 많은 관광객들은 비현실적인 이미지를 그려내기 마련.- 돈과 시간의 여유가 있던 초기 관광객들은 고대 문명을 답사하고 그랜드 투어에서 낭만적 순수성을 추구.- 오늘날에도 현대 사회에 물들지 않은 '원형'의 문화와 원형의 사회를 만나는 여가 체험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있음.- 의도적으로 서로 다른 시간과 장소의 가상 체험을 제공해 방문객을 유인하는 인위적 관광지가 생기기도 함.- 이러한 관광지는 지난 30년 동안 비약적으로 개발되어왔고, 많은 학자의 관심을 끔.- 어리 Urry 는 이러한 관광지들을 고유한 것인지 아닌지, 역사적 관광지인지 현대적 관광지인지, 낭만이 있는 곳..

사회지리학 - 레저의 경험과 장소의 중요성 및 장소의 정체성

- 전통적으로 지리학자들은 레저행동의 공간적 패턴에 관심을 가져왔음.- 1960~70년대 지리학자들이 만든 레크리에이션에 대한 여러 출판물들은 상당히 실증주의적이고 공간과학적인 패러다임을 따름. 이 연구에서 지리학은 단순히 레저 행동의 공간적 표현 또는 결과에 지나지 않았음. 이러한 지리학자들은 타 학문 분야의 연구 결과를 단순히 지도화함.- 전후 레저지리학의 주된 관심사는 중립적 배경으로서 공간.- 레저지리학에는 레저 공간을 단순히 지도화하는 것 이상이 있음. 지리는 단순한 레저 행동의 결과와 패턴이 아니라 그것을 만들어내는 적극적인 참여자와 과정으로 보아야 함. - '공간'과 '장소'라는 용어 차이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것이 개인적인 레저행동을 이해하는 데 근본적이라는 주장이 있음. 이 주장에 따른 공..

문화지리학 - 디아스포라와 장소, 경관의 관계

- 디아스포라에 관한 이론적 논의는 최근 들어 포스트식민주의 연구 분야에서 뚜렷이 대두.- 디아스포라는 오늘날 이민자, 망명자, 외래 노동자 등 초국적 네트워크를 기술하는 데 널리 사용.- 디아스포라는 이주를 민족적으로 절대화하는 입잔과는 정반대로 초국가적, 간문화적 intercultural 관점에 기반하고 있으며, 경계, 문화횡단 transculturation, 크리올화 creolisation, 혼혈화 mestizaje, 혼성성 등의 개념들과 상호 소통중.- 디아스포라에 관한 현행의 이론적 논의는 관계의 치환 displacement 및 초국적 네트워크에 초점을 두는데, 이는 유럽과 북미의 사회과학에 있어서 사회변동을 이해하는 데 공간적인 것이 시간적인 것을 압도하는 과정과 관련 있음. - 포스트식민주의..

문화지리학 - 전통유산과 공간, 장소의 관계

- 비판문화지리학자들은 특정 사회집단이 희구하고 생산하는 전통 유산의 다양한 양태들을 확인하는 데에 일조하며, 그러한 전통유산이 어떻게 공간과 장소 상에서 물질적으로 구현되는지 탐구.- 전총유산에 대한 비판적 접근은 전통유산과 그 지점들이 현대 세계에서 중요한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자원들로 어떻게 활용되는지 밝힘. 때로는 그 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되어 혼란스럽게 섞인 로컬리티 locality 라는 결과물들을 만들어내고, 이것이 일종의 지구적 관광 무역을 창출하는 독특한 정체성을 자아내기도 함.- 많은 경우, '전통유산'은 경제적 거래의 일부가 되어 어떤 지방의 과거가 현재의 한 장소를 판매하도록 동원.- '전통유산 산업' heritage industry 라고 불리는 것은 흔히 '역사적' 장소의 소비에..

문화지리학 - 도덕과 장소, 공간의 관계

- 도덕지리 Moral Geographies 는 특정한 사람, 사물, 실천이 특정 공간, 장소, 경관에 속해 있으며, 또 다른 공간, 장소, 경관에서는 배제되어 있다는 것.- 이 정의는 공간, 장소, 경관, 영토, 경계, 운동 등의 지리적 대상들과 계급, 인종, 젠더, 섹슈얼리티, 연령, 장애 등 사회적, 문화적 대상들의 상호의존관계를 이해하고 이론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 '도덕적'이라는 단어는 가지런히 정렬해 있는 규칙과 기대치의 상당히 우연적인 조합을 지칭.- 이 모든 논의에서 핵심적인 것은 일상에서의 지리와 사회집단 및 개인의 실천 간의 관계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권력의 역할이며, 이처럼 당연시되는 관계를 교란하고, 의문을 제기하는 데 비판적 태도의 역할이 중요.- 도덕이라 치부되는 것은 지리..

문화지리학 - 장애와 지리의 관계

- 사람들이 장애와 신체적 차이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은 사회생활의 공간적 배치와 공간의 사회적 배치에서 핵심적 역할을 함. - 장애인은 만성질환을 포함한 육체적, 정신적, 또는 지적 손상을 입은 개개인을 포함.- 현대 사회에서 장애인에 대한 정의는 '장애인' 개인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음.- 현대에서 이러한 경향이 등장한 이유는 장애의 생리적 특성을 강조하면서, 장애를 겪는 사람들을 '고쳐줘야' 한다고 주장하는 의료기관과 전문가들의 영행이 매우 큼.- 이러한 정의는 종종 '장애의 의료 모델' medical model of disability 라 불리는 것을 생산 및 재생산함. 장애인들이 사회생활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을 개개인의 실패로 간주. - 최근 행동주의자들과 학자들은 으료 모델의 헤게모니에 반대..

문화지리학 - 장소의 잠재력

장소성, 장소 발견하기 - '장소 발견하기'란 장소성을 발견하고 탐구하는 것.- 장소성 : 공간을 장소로 만들고 특정 장소를 다른 장소와 구별되게끔 하는 총체적 특성, 인간이 체험을 통해 애착을 느끼게 되고, 한 장소의 고유한 특성이면서 동시에 다른 장소와는 차별적인 특성.- 장소성에 대한 정의는 크게 두 가지1. 개인의 주관적 차원에서 장소에 대해 느끼는 애착이나 감정2. 장소의 물리적 특성 및 다양한 사회적 과정 속에서 장소 자체가 갖게 된 어느 정도 객관적 특성.- 장소성은 개인적 차원에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가변적인 장소감 sense of place 와 집단적 차원에서 형성되며 시간적 지속성을 갖는 장소의 정신 spirit of place 의 변증법적 산물.- 세계 속에서 장소성을 발견, 탐구하고..

문화지리학 - 장소 개념의 스펙트럼

지역과 공간의 대안으로서의 장소 - 인본주의 지리학에 의한 부상 - 인본주의 지리학이 대두되기 전, 패티슨은 지리학의 연구 대상과 주제를 기준으로 지리학의 4대 전통을 정리.1. 지구과학으로서의 전통2. 인간-환경 관계로서의 전통3. 지역 연구로서의 전통4. 공간 분석으로서의 전통- 이 네 가지 전통 중 장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전통은 지역 연구로서의 전통. - 하트숀은 지리학이란 지표면 간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지역의 특성 - 즉 지역성을 밝히는 것이라 정의하고, 지역 region 이란 지형, 기후, 식생, 토양, 인구, 자원, 취락 등의 종합에 의해 다른 영역과 구분되는 일정한 영역이며 지리학의 임무는 A라는 지역이 B라는 지역과 구분되게 하는 고유한 지역성을 밝혀내는 일이라 주장. 따라서 지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