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능주의 5

교육사회학 - Talcott Parsons 기능주의 교육이론 - 인지적 학습, 도덕적 학습

탈콧 파슨스 Talcott Parsons 1902~1979 - 미국 사회학자- 행위이론 주창자- 기능주의 이론을 사회에 대한 분석을 위한 일반적인 이론체계로서 포괄적인 사회학 이론으로 정립.- 하버드대학에서 경제학과 사회학을 가르침.- 1949년 미국 사회학회 의장으로 활동.- 첫 번째 저작 The Structure of Social Action : 자발적인 워리에 기초한 사회적 행동의 체계적 이론을 발전시키기 위해 프로이트와 베버가 가정한 인간 내부의 영역이 아니라 사회에 의해 발전된 외부의 제도적 구조의 영역에서 사회학 이론의 자취 정리.- The Social System : 거시적인 시스템과 사회적 질서의 문제, 통합과 평형상태를 바탕으로 분석 -> 구조기능주의 분석 주장.- 제각기 고유한 임무를 ..

교육사회학 - Emile Durkheim 기능주의 교육이론 - 보편적 사회화, 특수 사회화

에밀 뒤르켐 Emile Durkheim - 프랑스 사회학자.- 고등사범학교에서 수학.- 보르도 대학, 소르본 대학 교수.- 소르본 대학에서 교육학 교수.- 프랑스 제3공화국의 도덕적, 정치적 통합을 위한 여러 활동.- '사회학 연보' 창간 -> 프랑스 지성사에 큰 영향을 끼침.- 콩트의 영향 받음.- 사회분업론 The Division of Labour in Society, 자살론 The suicide 를 통해 알려짐.- 사회학 방법론, 종교사회학, 교육사회학, 지식사회학, 구조주의 인류학, 현대사회론 등에 큰 공헌.- 생물학적, 심리학적 해석보다는 사회구조적 요인을 중시.- 교육학 관련 저서 : 교육과 사회학, 도덕교육론, 프랑스 교육의 발전 -> 사후에 제자들에 의해 풀판.- 인간성을 회복하고 새로운 ..

교육사회학 - 기능주의 functionalism 장점 및 비판

기능주의 functionalism - 콩트 Auguste Comte, 스펜서 Herbert Spencer 를 기원으로 볼 수 있음. (오랜 전통을 갖고 있음)- 기능이론이라 부르는 것 안에는 조금씩 다른 여러 학자의 이론들이 포함되어 있음.- 그래서 명칭도 기능이론 외에 구조기능이론 structural functional theory, 합의이론 consensus theory, 질서모형 order model, 평형모형 equilibrium model 등이 있음.- 명칭에 따라 이론의 강조점이 서로 다름.- 그러나 이것들 모두 포괄해 기능이론이라 부르는 것이 일반적. - 기능이론은 콩트와 스펜서에 의해 기초가 형성된 후, 프랑스의 뒤르켐 Emile Durkheim, 이탈리아 사회학자 파레토 Vilfredo ..

사회학 - 가족 이론 : 가족에 대한 기능주의 관점 - 탈콧 파슨스

가족에 대한 기능주의적 관점 - 사회란 지속성과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구체적 기능을 수행하기로 한 일련의 사회 제도 덩어리라 전제.- 가족은 사회 질서를 지속시키기 위해 필요한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기본 욕구를 충족시키는 중요한 업무 수행.- 핵가족 -> 현대 사회에서 특정의 구체화된 역할을 수행하는 제도로 규정.- 산업화가 진척됨에 따라, 가족은 경제 생산 단위로서의 비중은 점차 줄어든 반면, 자녀 출산, 양육, 사회화의 기능에 초점이 맞추어지게 됨. - 탈콧 파슨스 : 가족의 두 가지 기능을 자녀의 일차적 사회화 기능과 인격 형성으로 규정.- 일차적 사회화 : 출생에 따라 소속하게 된 사회의 문화적 규범을 학습하는 과정. 이 과정이 아동의 초기 유년기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족은 인간의 인격..

사회학 - 건강과 질병에 대한 사회학적 전망 : 기능주의, 상징적 상호작용론 접근

- 사회학자들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는 질병의 경험을 경험하는 것.- 여기에서 질병의 경험에는 아픈 것, 만성적 고통을 겪거나 불구가 되는 것 등 아픈 사람 당사자, 그리고 그와 접촉하는 주변 사람들에 의해 어떻게 경험되고 해석되는가.- 사람이 아프게 되면 일상생활의 패턴이 수정되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변함. 이는 신체의 '정상적' 작동이 삶을 살아가기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 자아 감각 그 자체는 몸이 사회적 상호작용과 일상적 활동을 방해하지 않고 촉진시켜 줄 것이라는 기대에 근거해 형성. - 질병은 개인적 차원과 공적 차원을 동시에 지니고 있음.- 사회학적 사고에서 특히 영향력이 컸던 것은 질병의 경험을 이해하는 두 가지 방식.01. 기능주의 학파와 관련된 것으로, 사람들이 아플 때 취하게 될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