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육사회학 24

교육사회학 - 학교 교육의 확대와 마틴 트로우 Martin Trow 중등교육 발전 단계 구분

- 20세기 후반, 대부분의 국가에서 학교 교육이 빠르게 팽창. - 지역간에는 차이 존재. - 제2차세계대전 이후 식민지배에서 독립한 국가들은 식민통치자들의 우민화 정책의 영향이 심각했음. - 이로 인해 이들 국가에서는 초등교육조차 정착되지 못했기 때문에 초등학교 취학 확대 정책이 매우 급했음. - 성인인구 중 글자와 숫자를 읽고 쓰지 못하는 비문해자 비율이 70~80%였기 때문에 성인을 위한 문해 교육도 시급한 과제였음. - 아프리카, 남아시아 여러 국가들은 독립 직후부터 문해교육, 초등교육, 이어서 중등교육 확대에 치중. - 현재까지도 아프리카 등에서는 기초교육조차도 완전히 해결하지 못한 상태. - 유럽지역국가들은 2차세계대전 이전에는 정예주의 교육제도를 택했음. - 초등교육은 보편화되어 있었지만 중..

교육사회학 - 평생교육 제도의 등장과 특징, 활성화

- '평생교육' 용어가 국제사회에서 대표적 교육용어로 떠오른 계기 : 1970년 교육정책 문서에서 언급. - 유네스코는 1960년대에 비형식 교육 nonformal education 강조. - 2차세계대전 종전 후 유네스코는 제국주의 식민지배로부터 독립한 가난한 국가 국민들의 교육문제 해결책을 처음에는 문해교육에서 찾음. 이후 학교 밖의 청소년과 성인을 위한 학교 밖 교육 - 즉 비형식 교육 강화에 주력. - 이후 등장한 것이 평생교육의 제안. - 학교교육을 마친 사람들에 대한 평생에 걸친 계속 교육 필요성 제기. - 평생교육에 대해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에는 관점 차이가 존재했음. - 개발도상국들은 청소년에 대한 학교교육을 제대로 실시하지 못했음. - 문맹자들에 대한 문해교육조차도 제대로 완성하지 못한..

교육사회학 - 학교 본위 공교육 제도의 동요, 대안학교, 재택학교교육 홈스쿨링

- 오늘날 교육 제도는 여전히 학교 중심으로 구성. - 그러나 많은 나라에서 학교 본위의 교육제도로부터 탈피하려는 움직임이 등장중. - 많은 교육학자들과 문명사가들은 기존의 학교로는 산업화시대를 벗어나고 있는 새로운 사회의 교육적 요구를 제대로 충족시키기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 - 쿰스 Philip Coombs : '세계교육의 위기' 보고서 (1968) - 유네스코 보고서 : 존재하기 위한 학습 (1972) - 세계교육의 위기, 존재하기 위한 학습에서 교육기관으로서의 학교가 막다른 골목에 도달했기 때문에 학교 일변도의 교육제도를 벗어나는 길만이 교육을 되살리는 길이라 지적. - 일리치 Ivan Illich, 라이머 E. Reimer - 이들은 학교에 참된 교육기관의 기능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 - 학..

교육사회학 - 공교육제도의 성격 및 목표, 특징

- 국가관리의 공교육제도는 보편성과 통일성을 기본적으로 해서 출발. - 국가관리의 공교육제도는 한 국가를 단위로 보편적인 이념과 목적을 추구하고, 교육의 운영방식에 있어서 통일성을 지향. - 19세기 보편주의 국민교육의 사상적 기반 : 헤겔 철학의 보편성과 통일성 - 생시몽 Saint Simon 의 가르침의 통일성 uniformity of teaching 사상 : 구체적인 방향 제시 - 19세기 대중적 학교교육체제가 등장한 당시의 시대적 상황은 한 사회의 모든 구성원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강력한 결집요소로 사회 규범과 지식의 동질성이 절실히 요구됨. - 당시 요구되던 동질성은 통일된 교육을 통해서만 가능했음. - 한 국가 구성원의 강한 결속을 지탱하는 집합의식 collective consciousnes..

교육사회학 - 근대국가의 등장과 공교육 제도의 등장 및 형성 과정

근대국가 이전의 교육 - 근대국가 이전에는 대체로 종교가 교육을 지배.- 사람들의 학습은 각 종교의 지배하에 있었고, 그것을 당연히 받아들임.- 신의 가르침이 원천이었고, 사람들이 해야 할 최선의 임무는 신의 가르침을 사원이나 경전을 통해 의심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것.- 의심과 비판 -> 파문 사유.- 스스로 배우거나 배울 것을 스스로 결정하는 주체적 학습자 의식은 존재 안 함.- 오로지 위로부터의 가르침을 충실히 받아들이는 숭배적 학습만 중시.- 가르침의 모든 권능이 오로지 각 종교의 신으로부터 비롯됨.- 가정의 사교육과 교회의 교육활동이 교육의 전부. - 종교가 교육을 지배하던 시대의 교육은 사교육 (私敎育)사상이 지배적 -> 교육을 시킬지의 여부는 부모의 결정사항으로 간주.- 귀족계급, 부유한 가정..

교육사회학 - 교육에 대한 상호작용이론에서의 교사와 학생의 관계 및 상호작용

- 학생들은 자기들 나름의 교사에 대한 기대를 갖고 있고, 이상적 교사상을 갖고 있음.- 학생들의 '이상적인 교사의 모습'은 교사를 평가하고 등급을 매기는 기준으로 작용.- 한국에서 학생들은 엄할 때는 엄하고 잘해 줄 때는 잘하며, 꼼꼼하게 잘 가르쳐주는 교사를 존경하는 교사의 모습으로 보고 있음.- 한국에서 학생들은 학생들에게 친근하게 대하면서 항상 마음이 착한 교사는 학생들이 좋아하기는 하지만 존경하지는 않음.- 한국에서의 학생들이 갖고 있은 이상적인 교사의 모습은 하그리브스가 영국 학생들이 갖고 있는 이상적인 교사의 모습과 별 차이 없음.- 학생들은 남교사와 여교사, 기혼교사와 미혼교사에 대해 다르게 대함.- 또한 학생의 성별에 따라 남교사와 여교사를 대하는 방식이 다름. - 학생만 교사를 유형화하..

교육사회학 - 교육에 대한 해석적 접근에서의 교사에 대한 설명

- 교육을 행위자의 차원에서 관찰하면, 학교라는 이름의 교육기관에는 교사와 교장이 존재하며, 학생이 있음.- 교사, 교장, 학생은 상호작용하면서 학교 속에서 활동.- 학교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장, 교사, 학생, 그리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에 관해 세밀히 관찰하고, 동시에 이들의 이야기를 편견없이 들어봐야 함. - 한편, 학교 내부에 대한 관심 증가 ->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학교를 설명하려는 연구도 나타나고 있음.- 학교라는 사회조직의 구성원들의 특성과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학교의 교육 활동을 설명하는 접근 방식.- 사회심리학적 학교 연구자들이 던지는 질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음.01. 교사들은 자신의 사명과 역할을 무엇으로 인식하고 있는가?02. 그러한 교사의 사명인식은 학생들의 역할인식에 어..

교육사회학 - 교육에 대한 해석적 접근 및 알프레드 슈츠의 해석적 이론

- 사회학 연구의 주된 경향은 처음에는 기능주의 일변도의 지배에 있었음. 이후 마르크스 중심의 갈등이론이 전자를 비판하면서 등장.- 이후 기능주의 이론과 갈등이론이 경쟁하며 사회학 연구를 주도. 기능주의 이론과 갈등이론의 공통적 특징 01. 거시적 관점으로 사회 인식 -> '사회' 또는 '경제구조'라는 거대한 실체가 그 속에 살고 있는 인간을 지배한다고 간주.- 개인은 하찮은 존재.- 개인은 사회화의 산물에 불과.- 인간은 궁극적으로 자신의 의지도 자유도 존재하지 않으며 사회적으로 '만들어진' 존재이며 사회에 의해 '움직여지는' 인형 같은 존재.- 개인의 의지와 능동성 간과. 02. 사회를 거시적으로 바라보기 때문에 인간의 생활세계, 각 사회집단의 내부세계에 관해 관심을 기울이지 않음.- 사회의 구조에만..

교육사회학 - 교육에 대한 기능이론, 갈등이론 비교 - 공통점, 차이점

갈등주의 교육이론의 한계 - 갈등이론은 경제결정론에 빠져 있다는 한계가 있음.- 교육이 결제구조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된다고 역설함은 물론이고 교육행위의 설명까지도 개인의 의지를 무시하고 사회적 조건만 지나치게 강조.- 몇몇은 경제적 결정론을 배격하고 학교의 상대적 자율성을 입증하려 노력하기도 했음.- 그러나 결국 이런 연구자들도 교육의 재생산기능론을 완전히 부정하지 못함.- 구조주의적 관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과 성과도 상당히 올리기는 했음.- 하지만 행위자의 능력 - 즉 사회구성원의 기존 문제와 사회구조에 대한 비판적 학습 능력과 그에 기초한 사회 변혁 가능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회의적 태도. 교육에 대한 기능주의, 갈등주의 비교 - 기능이론은 사회적 통합을 위한 교육의 기능 강조.- 갈등이론은 자본주..

교육사회학 - 알뛰세, 애플, 카노이의 학교의 재생산 기능에 대한 갈등주의 시각 분석

- 학교 교육의 재생산 기능은 알뛰세에 의해 다시 정리됨. 알뛰세 Louis Althusser - 알뛰세는 국가의 중요성을 강하게 부각시킴.- 알뛰세는 전통적 마르크스 이론에서 상부구조의 한 부분 정도로 취급했던 국가를 국가기고 state apparatus 라는 개념으로 확대시킴.- 국가기구 : 억압적 국가기구 repressive state apparatus 와 이념적 국가기구 ideological state apparatus 로 구성. 01. 억압적 국가기구 repressive state apparatus, RSA- 마르크스가 '국가'라고 할 때 주로 의미하던 것.- 사법제도, 군대, 경찰, 정부 등으로 구성.02. 이념적 국가기구 ideological state apparatus, ISA- 종교, 교..

교육사회학 - 보울즈 Samuel Bowles, 진티스 Herbert Gintis 상응이론 / 대응이론

보울즈 Samuel Bowles, 진티스 Herbert Gintis의 상응이론 (대응이론) - 자본주의 미국의 학교교육 Schooling in Capitalist America 에서 미국의 자본주의 산업화 과정에서 자본의 요구에 구조적으로 상응하는 가운데 굴절 및 왜곡되는 미국의 공교육 비판.- 미국의 학교 교육은 보편적 가치를 가르치는 것도 아니고, 인재를 공정하게 선별해서 사회에 배치하는 것도 아님.- 오히려 자본주의 생산양식에 적합한 태도와 가치관을 가르치고 기존의 불평등한 계층구조를 정당화하고 지속시킨다고 비판.- 미국의 학교제도 자체가 자본주의와 함께, 그리고 자본주의의 결과로 발전했으므로, 자본주의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으며 그 모순도 같이 내포하고 있음.- 학교는 경제구조를 재생산. -..

교육사회학 - 갈등주의 교육이론 - 마르크스 교육론

- 마르크스가 집필한 교육에 관한 독립적 논문은 찾아보기 어려움.- 그러나 마르크스 자신과 그의 동지였던 엥겔스는 그들의 저술 여기저기에 교육에 관한 논의를 많이 남김.- 소련의 교육과학원은 마르크스, 엥겔스의 저작 중 직접 교육에 관해 논술한 부분과 교육에 관련시켜 언급한 부분을 모두 모아 1978년에 '마르크스, 엥겔스 교육론'이라는 책을 출판. - 마르크스는 자본주의사회 교육은 자본주의 생산양식과 소유관계의 산물이라 규정 -> 자본주의 사회 교육은 절대다수의 국민을 기계로 만드는 훈련에 불과하므로 소멸시켜야 한다고 역설.- 교육은 노동과 분리되어서는 안 되며, 노동이 교육의 일부여야 하고, 교육을 물질 생산과 결합시켜야 한다고 강조. 마르크스 교육론의 특징 01. 마르크스가 갖고 있었던 '교육'의 ..

교육사회학 - 마르크스 사회이론 - 역사적 유물론, 경제적 결정론,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및 비판

역사적 유물론 historical materialism - 마르크스 사회이론의 핵심.- 어느 사회나 그것이 존립하기 위한 필수 조건은 물리적 생활수단을 생산하기 위한 관계가 형성되어야 함.- 이 생산관계는 생산 수단의 소유와 관련되어 있고, 생산물의 분배 방식과도 관련되어 있음.- 생산 수단의 소유 및 생산물의 분배 방식은 총체적으로 사회의 경제적 구조를 규정지음.- 시대에 따라 생산 수단은 다름.- 그러나 생산 수단의 소유 관계에 의해 계급 관계가 형성됨.- 사회의 경제적 구조에 상응하는 사회 제도와 이데올로기가 형성됨.- 한 사회는 생산 및 생산관계로 이루어지는 '하부구조'와 제도와 관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구조' 간의 상호의존의 법칙에 따라 움직임.- 인간은 물질적 생활수단을 생산하는 생산 양식에 ..

교육사회학 - 마르크스 갈등이론과 베버 갈등이론의 차이

- 갈등이론은 사회를 개인 사이 및 집단 사이의 끊임없는 경쟁과 갈등의 연속으로 봄.- 갈등이론에서 중요한 사회 속성 : 세력다툼, 이해 상충, 지배자의 압제와 피지배자의 저항, 사회의 끊임없는 불안정과 변동 - 갈등이론은 흔히 마르크스주의와 동일시 됨.- 그러나 마르크스주의가 갈등이론의 전부는 아님.- 마르크스주의 및 신마르크스주의가 갈등이론의 큰 줄기를 이루고 있기는 하나, 고전적 또는 비마르크스주의적 갈등이론도 독자적으로 발전. - 고전적 갈등이론은 베버의 사회이론으로부터 발전된 지위경쟁이론을 중심으로 많이 논의되고 있음.- 라틴 아메리카에서 형성된 종속이론도 갈등이론의 범주에 들어감.- 종속이론가 중 급진파들은 스스로를 마르크스주의자로 자처중이나, 정작 교조주의적 마르크스 이론가들은 이들을 배척...

교육사회학 - Talcott Parsons 기능주의 교육이론 - 인지적 학습, 도덕적 학습

탈콧 파슨스 Talcott Parsons 1902~1979 - 미국 사회학자- 행위이론 주창자- 기능주의 이론을 사회에 대한 분석을 위한 일반적인 이론체계로서 포괄적인 사회학 이론으로 정립.- 하버드대학에서 경제학과 사회학을 가르침.- 1949년 미국 사회학회 의장으로 활동.- 첫 번째 저작 The Structure of Social Action : 자발적인 워리에 기초한 사회적 행동의 체계적 이론을 발전시키기 위해 프로이트와 베버가 가정한 인간 내부의 영역이 아니라 사회에 의해 발전된 외부의 제도적 구조의 영역에서 사회학 이론의 자취 정리.- The Social System : 거시적인 시스템과 사회적 질서의 문제, 통합과 평형상태를 바탕으로 분석 -> 구조기능주의 분석 주장.- 제각기 고유한 임무를 ..

교육사회학 - Emile Durkheim 기능주의 교육이론 - 보편적 사회화, 특수 사회화

에밀 뒤르켐 Emile Durkheim - 프랑스 사회학자.- 고등사범학교에서 수학.- 보르도 대학, 소르본 대학 교수.- 소르본 대학에서 교육학 교수.- 프랑스 제3공화국의 도덕적, 정치적 통합을 위한 여러 활동.- '사회학 연보' 창간 -> 프랑스 지성사에 큰 영향을 끼침.- 콩트의 영향 받음.- 사회분업론 The Division of Labour in Society, 자살론 The suicide 를 통해 알려짐.- 사회학 방법론, 종교사회학, 교육사회학, 지식사회학, 구조주의 인류학, 현대사회론 등에 큰 공헌.- 생물학적, 심리학적 해석보다는 사회구조적 요인을 중시.- 교육학 관련 저서 : 교육과 사회학, 도덕교육론, 프랑스 교육의 발전 -> 사후에 제자들에 의해 풀판.- 인간성을 회복하고 새로운 ..

교육사회학 - 기능주의 functionalism 장점 및 비판

기능주의 functionalism - 콩트 Auguste Comte, 스펜서 Herbert Spencer 를 기원으로 볼 수 있음. (오랜 전통을 갖고 있음)- 기능이론이라 부르는 것 안에는 조금씩 다른 여러 학자의 이론들이 포함되어 있음.- 그래서 명칭도 기능이론 외에 구조기능이론 structural functional theory, 합의이론 consensus theory, 질서모형 order model, 평형모형 equilibrium model 등이 있음.- 명칭에 따라 이론의 강조점이 서로 다름.- 그러나 이것들 모두 포괄해 기능이론이라 부르는 것이 일반적. - 기능이론은 콩트와 스펜서에 의해 기초가 형성된 후, 프랑스의 뒤르켐 Emile Durkheim, 이탈리아 사회학자 파레토 Vilfredo ..

교육사회학 - 교육과정사회학에 대한 비판

- 교육과정사회학은 교육사회학의 연구 범위를 넓혀준 점, 교육 외의 사회구조적 문제에만 편중되어 있던 교육사회학의 연구 관심을 교육 내부의 문제로 끌어들임. - 그러나 교육과정사회학에는 여러 가지 약점이 지적됨. 01. 교육과정사회학자들은 학교지식을 '사회적으로 만들어진 것' socially constructed 라고 규정함.- 지식의 사회적 성격을 지적한 것까지는 좋았음.- 그러나 지식을 마치 누구나 자기 멋대로 만들어낼 수 있는 것처럼 과장하는 문제가 존재.- 지식이 사회적으로 형성된다고 해서 학교 교육과정이 언제나 엄격한 학문적 검토 과정을 거치지 않고 자의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님. 02. 지식이 특정 시대에 특정 집단에 의해 형성된다 해서, 그 지식이 그 시대와 그 집단의 이익에만 봉사한다고 ..

교육사회학 - 신교육사회학 new sociology of education 출현

신교육사회학 new sociology of education - 1970년대 영국에서 등장.- 신교육사회학자들은 종래 교육사회학이 연구 주제를 잘못 선택했다고 비난하며 새로운 연구 주제를 들고 나옴.- 연구에 임하는 자세도 새로운 것을 주장.- 종래의 교육사회학이 주로 사회 구조가 교육 기회 분배와 계층 구조 유지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밝히는 구조기능주의적 접근에 몰두해온 사실을 비판.- 학교 내부의 교육 과정 및 수업 진행과정, 교사와 학생 관계를 탐구해야 한다고 주장.- 이런 의미에서 갈등이론은 거시적 접근, 신교육사회학은 미시적 접근이라 볼 수 있음. - 번스타인 Basil Bernstein, 영 Michael F. D. Young : 시교육사회학 (미시적 교육사회학) 발전에 큰 공헌. - 번스타인..

교육사회학 - 1970년대 이후 연구 및 이론 동향

- 교육사회학 연구 동향은 1970년대에 들어와 또 한 차례 변화가 생김.- 일반사회학의 동향을 반영.- 당시까지의 교육사회학 연구를 기능주의 functionalism 이라 몰아붙이는 새로운 주장 등장 -> 갈등이론 - 기능주의 : 각 과정, 제도, 관행은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그리하여 사회의 구조나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 것으로 간주. 기능주의는 사회를 지나치게 통합적이고 조화로운 관점으로 본다는 비판을 받음. 다른 집단을 희생시켜 한 집단의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자신의 권력을 사용하는 것을 무시하는 경향 존재. - 갈등이론은 종래 교육사회학 연구들이 사회의 한 하위체제로서의 교육 - 특히 학교의 순기능에만 지나치게 치중해 왔으며, 역기능에는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던 것에 대한 ..

교육사회학 - 1950년대 사회학지향적 교육사회학의 발전과 경향

- 1950년대부터 사회학지향적 교육사회학이 본격적으로 발전.- 이때까지는 교육학자들이 중심이 되어왔지만, 차츰 사회학자들의 수가 증가.- 뒤르켐처럼 사화학과와 교육학과 강의를 함께 담당하거나 겸임하는 교수도 많았음. 미국에서 사회학자들이 교육 문제에 관심이 많아진 이유 - 과거에는 교육 연구에 대한 학문적 인정도가 낮았기 때문에 사회학자들의 관심이 적었음.- 그러나 2차세계대전 이후, 교육에 대한 사회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연구비 증가.- 또한 개인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 상승-> 교육이 사회를 연구하는 것에서 빼놓을 수 없는 영역으로 성장. 영국에서 사회학자들이 교육 문제에 관심이 많아진 이유 - 2차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에는 교육에 관한 연구가 실천적 측면에만 치우쳐 있었음 -> 사..

교육사회학 - 초기 사회교육학과 에밀 뒤르켐

- 에밀 뒤르켐 Emile Durkheim : 사회학지향적 교육사회학의 기초를 만듦.- 1887년에 보르도 대학에서 교육학, 사회학 과목 담당.- 사회학에 관한 연구와 교육학에 관한 연구 및 강의를 계속 병행. - 뒤르켐은 교육에 관한 활동을 세 가지로 구분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생각.01. 교육에 관한 과학적 연구02. 교육의 실제적 방법을 위한 교수학 pedagogy03. 교육의 실천적 활동 - 교수학 -> 교육 실천과 교육에 관한 과학적 이론을 연결하는 일종의 실천 이론. 실제적 교육상황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지 지시하는 '교육방법의 원리'라는 체계. - 뒤르켐에게 있어 교육학은 둘로 나눌 수 있음 : 다른 사회과학처럼 교육현상을 기술 및 설명하는 학문지향의 교육학, 교육 실천을 위한 구체적 지침을..

교육사회학 발전 과정 - 실천지향적 교육사회학, 사회학지향적 교육사회학

실천지향적 교육사회학 - 1907년 H. Suzzalo 가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Educational Sociology 강좌 개설 : 사회학 지식을 교육 실천에 응용하려는 노력으로서의 '교육사회학'이 처음 등장.- 1916년, 컬럼비아 대학교에 교육사회학과 창설.- 1920년대 말에는 200여개 대학에 교육사회학,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의 강좌 개설.- 1920년대 초 : 미국 교육 사회학회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al Sociology 창립.- 1926년 : 교육사회학 전문학술지 Educational Sociology 창간. - 이 시기 미국 교육사회학은 학교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학습자를 지도하는 것에 필요한 사회문화적 지식을 모아놓은 것.-..

교육사회학 - 교육의 사회성

- 인간은 학습동물.- 생존을 지속하며 환경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학습함.- 학습 : 지적, 기능적 행동 능력을 확장하고 판단능력을 향상시켜서 환경에 대응력을 높임.- 인격도 부단한 수련을 통해 함양됨.- 학습은 인간에게 필수적 행위. - 인간은 누군가의 가르침을 받는 학습이 많지만 모든 학습을 가르침을 받아서 하는 것은 아님.- 스스로 학습 활동을 해나가기도 하며, 자발적으로 혼자서도 학습함.- 관찰하고, 남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독서하고, 연습하고, 사유함으로써 지식을 획득하고, 기능을 익히고 지혜를 깨달음.- 때로는 어떤 것을 먼저 알고 있는 사람을 찾아가 가르침을 받기도 함.- 인간은 누구나 일생의 많은 시가늘 스스로 학습하는 것에 사용. - 인류는 학습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지구를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