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관료제 4

사회학 - 미셸 푸코의 조직 이론과 조직의 감시

미셸 푸코의 조직 이론 - 대부분의 현대 조직들은 특별하게 고안된 물리적 상황 속에서 기능. - 특정 조직이 입주하고 있는 한 건물은 그 조직의 활동에 적합한 특징을 갖게 되며, 다른 조직체들이 들어 있는 건물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건축학적 특징을 공유. - 병원 : 분리된 병동들, 외래 진료실. 수술실, 사무실이 전체 건무르이 특정한 외양을 규정. - 학교 : 교실, 실험실, 체육관 등으로 구성. - 현대 조직체들이 들어 있는 건물들은 조직 유형별로 분명한 공통점을 갖고 있음. - 푸코 : 한 조직의 건축 구조는 그것의 사회적 이미지나 권위의 체계와 직접적으로 관련있다고 주장. - 현대 교도소에 대한 연구는 교도소 시설의 물리적 구조를 다룸. - 실제 대기업의 건물은 물리적으로 위계 형태로 건축됨 -> ..

사회학 - 관료제의 역기능 (공무원과 일반인의 갈등 원인), 총체적 기관 (한국 군대 장병들이 속한 관료제)

- 로버트 머턴 : 미국 기능주의 사회학자 - 머턴은 베버의 관료제 이념형을 연구하면서 관료제의 본질적인 여러 요인들이 관료제 자체의 온전한 기능에 따라 해로운 결과를 야기할 수도 있다고 결론냄. - 머턴은 관료들이 문서화된 규칙과 절차를 엄정하게 따르도록 훈련된다는 점을 주목. - 관료들은 융통성이 있거나 결정을 함에 있어서 자신의 판단을 적용하거나 창의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도록 자극되지 않음. - 관료제는 일련의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일하기 위한 것. - 머턴은 이런 문서화된 규칙과 엄정한 절차 준수가 관료제적 의례주의를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 -> 다른 해결책이 더 나을 수 있는 경우조차 규칙이 어떤 경우든 고수되는 상황. - 관료제적 규칙 준수가 궁극적으로 본질적인 조직 목표에 우선할 수 있음. -..

사회학 - 관료제 내의 공식 관계와 비공식 관계

- 관료제에서는 비공식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방법이 종종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는 주요한 수단이 되기도 함 -> 비공식적인 일처리 없이는 달성되기 어려운 일도 있음. - 블라우 : 소득세 탈루를 감시하는 정부 기관 내의 비공식적 관계에 대해 연구. -> 공무원들의 임무 : 소득세 납부와 관련된 위법 행위 적발 - 직원들은 처리 방법을 잘 모르는 문제가 새익면 자신의 직속 상관과 의논하도록 되어 있었음. - 규칙에 따르면 이와 같은 경우에 자신과 같은 수준에 있는 동료들과 논의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었음. - 그러나 대부분의 공무원들은 상사를 찾아가기를 꺼려함 : 자신이 능력없는 사람으로 비추어지거나 승진에 영향이 있을 것을 우려 - 이 때문에 공무원들은 규칙을 어기고 동료들과 의논하는 것이 일반적 -> 조언..

사회학 - 막스 베버의 관료제 조직 이론

- 관료제 : 관료의 지배. - 관료제 bureaucracy : 1745년 드 구르네가 처음으로 사용. - 사무실과 사무용 책상이라는 두 가지 뜻을 가진 bureau 단어에 그리스어의 '지배하다'라는 단어를 합성시켜 관료제라는 용어를 만들었음. - 처음에 이 단어는 정부 관료들에게만 사용되었음. - 이후 점차 일반적인 대규모 조직에까지 확대. - 관료제라는 개념은 처음부터 경멸의 뜻이 담긴 말로 사용됨. - 드 구르네는 관료들의 힘이 커져 가는 것을 관료증이라는 질병이라 말하기도 함. - 발자크 : 관료제를 피그미들이 휘두르는 막대한 권력이라 비판. - 이러한 견해는 현재까지도 지배적으로 나타남 - 관료제는 종종 비효율 및 낭비와 연관됨. - 그러나 관료제를 이와는 다른 측면에서 본 사람들도 많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