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류학 6

문화인류학 - 민족지적 연구의 등장 배경 및 현장연구 철학과 관점 차이

- 근대에 들어와 자연과학의 놀라운 성취를 목격한 사람들은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 분석도 언젠가 그와 같은 수준에 도달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하게 됨. - 인간과 사회에 대한 학문을 자연과학 모델로 발전시키려는 움직임 등장. -> 객관적이고도 엄밀한 관찰과 자료의 축적과 이를 통한 법칙의 발견. - 사회과학은 자연과학의 눈부신 성과에 깊은 인상을 받고 인간과 사회에 대한 탐구에서도 자연과학적 성취와 유사한 것을 이룩하기를 기대하기 시작. - 초기 사회학자, 사회과학자들은 사회해부학 social anatomy, 사회생리학 social physiology, 사회물리학 social physics 등의 용어 사용. - 자연과학을 모방하려 했고, 통계학과 계량적인 접근 사용 시작 -> 중요한 방법론적 전진. -..

문화인류학 - 인류학과 민족지적 연구의 관계

- 인류학의 가장 큰 방법론적 특징 중 하나는 민족지 연구.- 민족지 : 영어 단어 ethnography 의 번역어 : 그리스어 ethnos (민족, 종족) + graphia (기록)- 민족지는 민족 또는 특정한 인간 집단의 삶을 생생히 그대로 묘사하는 글을 가르키는 용어. - 19세기 근대 사회과학의 여러 분과학문들이 서양에서 탄생해 분화되어 나오는 과정 중 인류학은 특히 비서구 세계의 민족과 문화에 많은 관심을 가졌음.- 그런데 비서구 세계의 민족과 문화들 중 다수는 문자도 없고, 외부의 학자들에 의해 연구대상이 된 적도 없었음.- 그래서 초창기 인류학자들은 직접 현지로 들어가 현지 언어를 학습하고, 현지인들과 더불어 생활하며 그들의 관습, 문화, 사회제도 등을 연구해야 했음.- 이 과정에서 인류학자..

촌락지리학 - 촌락지리학 속의 지리학, 사회학, 인류학적 전통

지리학적 전통 - 촌락지리학이 독자적인 분야로 등장한 것은 지역지리학이 힘을 잃어갈 때인 1950년대.- 1950년대 이전까지 인문지리학이 연구했던 것 대부분이 사실상 촌락지리학. 왜냐하면 지역지리학의 주된 관심이 사람과 자연환경의 상호작용에 관한 것이었던 것처럼 인문지리학자들도 주로 촌락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 도시 지역에 대한 연구가 새로운 과정 중심 지리학이라는 틀 안에서 유행하면서 촌락지리학은 구시대적 접근의 잔재물로서 마치 결격 사유를 가진 분야처럼 인식됨.- 1970년대 이전까지는 지리학의 주변부로 밀려나 있었음.- 1960~80년대 촌락지리학의 핵심적 관심사는 농업지리학, 촌락 공간을 둘러싼 인간 활동의 영향과 조직, 촌락 경관과 토지 이용이었음.01. 농업지리학-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농..

언어인류학 - 언어 습득

- 아동들 가운데 언어 발달 속도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언어습득을 특징짓는 제 단계를 일반화시킬 수 있음.8주에서 10주 동안 반사 소음 (트림, 울기, 기침 등) 만듦.12주 남짓 동안 우우 거리고 웃는 것이 첨가됨6개월 정도 지나면 자모음을 구성하는 꽤 넓은 범위의 소리를 생성하는 목소리를 알아차릴 수 있음.생후 첫 해의 후반기는 옹알거리는 것이 특징적. 몇몇 관찰자에 의하면 이 단계 동안 생성되는 소리들은 덜 다양하고 습득하려고 하는 언어의 말소리에 어림잡아 소리내는 경향이 있음. 옹알이는 거의 대부분 본능적인 것으로 보임.억양 흐름 (의문문의 특성 등) - 태어난 첫 해에 나타나기 시작, 한 단어 사용과 거의 동시에 이루어짐.두 살 정도 될 때 이 단계도 여러 단어 사용 단계로 이어짐. 곧 이러한..

언어인류학 - 언어의 근본적 기능과 관련된 특별한 자질

인간의 언어가 다른 동물들의 의사소통과 다른 특별한 자질은 다음과 같음. 1. 목소리 - 청취 통로 Vocal - auditory channel- 의사소통에 목소리 장치를 이용하는 중요한 이점의 하나는 신체의 나머지가 다른 여러 행위들을 수행할 수 있게 목소리를 쓰는 동시에 자유롭다는 점. 2. 전방위 전달과 지향성 수신 Broadcast Transmission and directional reception- 목소리는 근원 발성체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이동.- 발신자나 수신자가 의사소통을 위해 마주보아야 할 필요가 없음.- 귀로 듣는 것은 소리의 근원이 어디인지 결정하는 일을 가능하게 함. 3. 빠른 소멸 Rapid fading- 말소리는 매우 제한된 거리 내에서 발화되는 그 시간 동안에만 청취됨.- 말소..

언어인류학 - 언어인류학과 언어학의 차이

- 인류학의 일반적 범위1. 호모사피엔스의 구성원은 살아 있는 유기체이기 때문에 인간에 관한 연구는 적절한 맥락에서 인간의 기원과 특성을 이해하도록 노력해야 함.2. 인간은 변화무쌍한 자연과 인위적 환경에 적응하려고 노력했기 때문에, 문화라는 용어로 일컫는 일련의 긴 혁신에 종사해 옴.3. 과거 수백만 년 동안 인류의 문화적 진화과정에서 인간은 효과적인 의사소통 수단을 발달시킴으로써 셀 수 없을 만큼 큰 도움을 받음. 가장 두드러지고 주요한 구성요소는 인간의 언어. - 언어학은 하나의 특정 언어를 말하기 위해 배울 목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칭하지 않음. 오히려 어떠한 언어라도 그 대상 언어의 분석적 연구를 칭함. 언어의 구조를 밝히고, 이러한 언어 단위들이 말소리가 되기 위해 어떠한 규칙에 의존하고 있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