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사회심리학

사회심리학 - 자기 개념 - 사회적 자기의 발달과 사회 비교

좀좀이 2018. 3. 31. 16:25
728x90

사회심리학 - 자기 개념 - 사회적 자기의 발달과 사회 비교


자기 개념 self-concept

-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개인의 대답들


- 자신에게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자기 자신'.

- 이러한 자기에 대한 감각이 어디에서 생겨나는지 알아내기 위해 신경과학자들은 자신에 관한 변하지 않는 이해의 기본이 되는 뇌의 활동에 관한 연구 진행중.

- 몇몇 연구들은 우반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제안.

- 사람의 눈 뒤에 있는 반구들 사이의 절편에 위치한 신경 경로인 전전두엽 중앙부의 대뇌피질은 사람의 자기 감각을 함께 연결하도록 도와줌.

- 인간이 자신에 대해 생각할 때 대뇌피질은 더 활성화.


- 자기 도식 self schema : 자기 관련 정보처리를 조직화하거나 이끄는 자기에 대한 신념들. 자기개념의 요소들과 자신에 관해 정의내리는 정확한 믿음.

- 도식은 인간이 인간의 세상을 조직화하는 정신 판형.

- 인간의 자기도식은 개인이 지각하고 기억하며 자기와 타인에 대해 평가하는 것에 큰 영향을 끼침.

- 사람은 자신의 자기도식과 일치하는 정보를 더 잘 받아들임.


- 가능한 자기 possible selves : 미래에 꿈꾸거나 두려워하는 자기에 대한 상.

- 인간의 자기개념은 현재 자신이 누구인가를 나타내는 자기도식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를 나타내는 '가능한 자기'도 포함.

- 가능한 자기를 자기에 대한 사람들의 비전, 사람들이 꿈꾸는 것 등을 모두 포함.

- 또한 실업자 자기, 사랑받지 못한 자기, 교육적으로 실패한 자기처럼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자기도 포함.

- 이러한 가능한 자기는 인간이 바라는 생의 비전을 향해 가도록 동기 부여.


사회적 자기의 발달


- 자기개념은 개인의 생각을 정리시켜주고 사회적인 행동을 이끌어내기 때문에 사회심리학자들은 자기개념에 관심을 많이 가짐.

- 성격과 자기개념에 대한 유전적 영향은 주로 쌍둥이 연구에서 이루어짐.

- 그러나 사회적 경험 역시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침.

01. 우리가 맡은 역할

02. 우리가 형성한 사회정체성

03. 서로를 비교하는 것

04. 우리의 성공과 실패

05. 자신들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판단

06. 주변 문화


자신이 맡은 역할


- 인간은 대학생, 부모, 회사원 같은 새로운 역할을 맡을 때, 처음에 자의식을 느낌.

- 그러나 점점 그 역할을 삶이라는 극에서 연기하면서 생기는 것들은 자아에 흡수됨.


사회 비교 social comparison


- 자신의 능력과 의견을 타인의 그것과 비교함으로써 평가하는 것

- 주변 사람들과 자기 자신을 비교하는 것을 통해 그들은 개인이 자신에 대해 부유하다거나, 가난하다거나, 똑똑하다거나, 키가 크다거나 하는 것에 대한 기준을 정하는 것을 도와줌.

- 사회 비교는 소수만이 매우 능력 있는 학교에 다니는 경우, 왜 그 학교 학생들이 학력과 관련된 높은 자기개념을 갖는 경향이 있는지 설명해줌.

- 또한 보통 수준의 고등학교에서 우수했던 학생들이 졸업 후 매우 좋은 대학에 진학한 후 어떻게 자기개념에 위협을 받는지도 설명해줌.

- 대부분의 삶은 사회 비교와 연관되어 있음.

- 개인은 자신이 남들보다 수수해보일 때 자신이 잘 생겼다고 느낌. (남들과 비교해서 우열을 가늠하고 자신에 대해 판단).

- 사회 비교는 개인의 만족을 줄이기도 함.

- 풍족함이나 직위와 성취의 증가를 경험했을 때, 개인은 자신의 성취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높이는 상향 비교 compare upward 경험.

- 개인은 성공의 사다리를 오를 때 위로 보는 경향이 있고, 아래를 보지 않으며, 자신보다 잘하는 다른 사람과 비교.

- 경쟁에 맞설 때, 사람들은 흔히 경쟁자가 유리하다고 지각해 자신의 위태한 자기 개념을 보호.


타인들의 판단


-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좋게 생각할 때, 그것으로 우리가 우리 자신을 좋게 생각하게 됨.

- 타인들로부터, 재능을 타고 났다거나, 열심히 한다거나, 도움이 된다고 여겨지는 아이들은 이와 같은 평판에 부합하도록 자기개념을 갖고 행동하는 경향이 있음.

- 소수 집단의 학생들이 자신들의 학업 능력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에 의해 위협을 받는다고 느끼거나, 여성이 수학이나 과학 수행이 낮을 거라는 기대에 의해 위협을 받는다고 느낀다면, 이들은 이 같은 사실에 의해 잘못된 정체감을 형성할 수도 있음.

- 이 사전 판단을 이겨내기보다는 그들이 관심이 있는 다른 것으로부터 정체감을 형성할 수도 있음.


- 거울에 비친 자기

-> 사회학자 Charles H. Cooley 가 주장.

-> 자신이 거울을 통해 자신을 보는 것처럼, 타인이 자신을 어떻게 지각하는지, 그리고 자신이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보여줌.

-> 사회학자 Ceorge Herbert Mead 는 이 개념을 자기 개념은 타인이 우리를 어떻게 사실적으로 보았는가가 아니라 우리가 그들이 우리를 보는 것을 상상하는 방식이라 재정의.

-> 사람들은 비판하기보다는 칭찬하는 것을 더 자유롭게 느낌. 사람들은 찬사를 말하고 우롱을 억제. 그러므로 개인 스스로는 타인의 칭찬이나 부풀려지는 자신의 상을 과대평가할 수 있음.


- 자기 팽창은 대부분의 서구 국가에서 발견됨.

- Shinobu Kitayama : 북미를 방문한 일본인들이 친구들 사이에서 사용하는 많은 칭찬의 단어들에 놀리는 점을 관찰. 그러나 그의 동료들이 사람들에게 얼마나 오래전에 누군가를 칭찬했냐고 물었을 때, 가장 많은 수의 미국인들의 반응은 하루. 사람들이 개인적인 성취에 덜 자부심을 갖고 실패하는 타인에 대해 미안함을 더 느끼도록 사회화되는 일본에서 가장 많이 나온 반응은 4일.


- 인간 조상의 운명은 타인이 그들 자신에 대해 생각하는 것에 달렸었음.

- 그들의 생존은 그들의 집단이 보호해줄 때 향상되었음.

- 또한 자신을 보호하거나 또는 약자로부터 여성 자신을 보호한다는 것도 어려운 일이었음.

- 자신의 집단이 수용해주지 않는다고 지각될 때, 부끄러움을 느끼고 자긍심이 낮아지는 것은 생물학적 지혜라 할 수 있음.

- 소속되고자 하는 뿌리 깊은 유사한 욕구를 갖는 그들의 후손으로서, 사람들은 사회적 배제를 느꼈을 때 자긍심이 낮아지는 고통을 느낌.

- 자긍심은 타인이 우리를 어떻게 칭찬하는지를 모티너하고 반응하는 심리적 계측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