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사회지리학

사회지리학 - 경제적 삶과 사회적 삶의 분리

좀좀이 2017. 2. 17. 06:53
728x90

사회지리학 - 경제적 삶과 사회적 삶의 분리


- 현대 사회에서 '경제'와 '사회적 삶'이라고 부르는 것의 분리는 매우 자연스러우나, 이는 상대적으로 최근에 발달한 역사적 현상.

- 임노동의 발달 이전에는 노동과 가사의 구분이 의미 없었음.

- 산업자본주의는 '생산적 노동'과 가구의 분명한 분리를 제도화.

- 제조업의 노동은 공장이란 공간으로 도입되고, 이곳에서 노동은 기업이 직접 감독. 이를 통해 기업은 노동의 속도와 질을 결정하고 그로부터 이윤을 끌어냄.

- 가구는 산업자본주의 하에서 더 이상 직접 생산하는 것으로 생계가 유지되지 않으며, 상품을 구입하기 위한 임금에 의존하게 됨.


- 자본주의적 일터에서의 노동은 노동자에게 임금을, 소유자에게는 이윤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생산적인 반면, 가정에서의 노동은 단순히 가사 또는 소비, 레저가 됨.

- 노동과 가정은 통상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됨.

노동은 노동이고, 가정은 비노동.

노동은 생산적이고, 가정은 비생산적.

노동은 생산을 하고, 가정은 소비를 함.

노동은 생산공간에서 이루어지며, 가정은 주거지역에 있음.

노동은 경제적이고, 가정은 사회적임.

노동은 공적이고, 가정은 사적임.

노동은 가치를 창조하고, 가정은 도덕을 창조함.

노동은 통제되며, 가정은 자유로움.

노동은 이기심과 관련 있고, 가정은 이타주의 관련 있음.

노동은 이성적이고, 가정은 감성적임.


- 자본주의는 많은 사람들의 일상적인 시간과 공간을 나눔.

- 이 양분은 사회적 관계의 차이에서 가장 잘 확인됨. 가장 넓은 의미로 경제와 사회적 삶은 노동 조직을 중심으로 사람들 간에 각각 다른 관계로 구성.


- 인간의 필요와 욕망은 공식적인 경제와 가구의 결합을 통해 충족된다는 점에서 두 영역은 하나의 시스템을 형성.

- 경제는 거주 공간 내에서 만들어지는 노동력에 의존하며, 가구의 활동은 임금과 그것을 통해 구매하는 상품 없이는 불가능.

- 이로 인해 두 유형의 공간 간에는 근본적인 분리와 함께 근본적인 상호 의존성이 존재.

- 오늘날 재택근무나 가족사업으로 소득을 얻는 형태는 소득 활동과 비임금 활동을 완벽히 분리하기 어렵지만, 이는 아직 소수에게만 해당.


- 산업혁명 초기에는 노동과 가정이 분리되기는 했으나 간신히 분리되어 있는 경우도 있었음.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가정과 노동 사이의 거리와 분리된 지역으로서의 그 입지는 대체로 증가. (예 - 현대 한국 사회에서 흔히 목격할 수 있는 아파트 대단지와 사무실 밀집 지역, 공단의 분리)


노동과 가정의 분리에 관한 관점


1. 경제적 삶의 영역과 사회적 삶의 영역이 분리되었다는 관점

- 19세기 이후 주류 사회과학의 입장.

- 막스 베버

- 사회와 사회적 차이가 서로 분리되어 구성된 별개의 영역에 조직되어 있고, 특히 계급은 경제와 사회 영역 내의 사회적 지위 속에 구성된다고 주장.

- 경제지리학과 사회지리학의 분리 속에서 제도화.

- 페미니스트 이론에서는 현대 사회가 계급과 성이 각각 결합된 별도의 체계 - 즉 자본주의와 가부장제로 구성되어 있음을 이해해아 한다는 이원적 체계의 접근방법이 논의되어 왔음.


2. 경제적 삶과 사회적 삶을 함께 구성된 단일 체계의 일부로 보는 관점

- 이러한 체계는 그 자체로서 두 영역으로 나누어짐.

- 이런 접근방법은 '담론'에 초점을 맞추는 몇몇 이론가들에 의해 원용.

- '노동'에서 분리된 반대 영역으로서 가정에 대한 담론은 매우 중요하고 지배적인 것으로 여겨짐.

- 이 구별은 개인들에 의해 재해석되고 전복될 수 있으며, 결국 임이적인 것일 수 있음.


3. 경제적 삶의 영역과 사회적 삶의 영역이 단일체계라 보는 관점

- 사회주의적 페미니스트 이론과 대부분의 마르크스주의적 연구

- 노동과 경제, 사회적 삶은 생계를 유지하는 노동을 조직하기 위한 단일 체계라 주장.

- 이 영역들 간의 분리는 '노동'과 가사를 각각 조직하는 서로 다른 사회적 관계와 공간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이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