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여행기/미분류

의미론 - 기본 용어와 개념 01

좀좀이 2017. 1. 31. 07:52
728x90


의미론은 일반적으로 의미의 연구라 정의할 수 있음.


- '의미 meaning' 라는 말 자체가 매우 상이한 여러 가지 의미를 갖고 있음. 하지만 이러한 상의한 여러 뜻은 각각의 뜻과 유사점과 차이점의 망을 드러냄. (내 삶에 의미가 없다, 그가 한 말의 의미를 모르겠다 - 이 두 문장에서 사용된 '의미'의 뜻은 다르지만, 아주 별개는 또 아님.)

- 단어와 문장의 의미는 언어가 커뮤니케이션의 상황 속에서 사용됨으로써 습득되고 유지되며, 커뮤니케이션이라는 개념은 의의와 의도라는 개념들을 전제함. 언어와 단어들과 문장들이 의미하는 바는 이러한 단어들과 문장들을 사용해서 언어의 화자가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고려하지 않으면 설명할 수도 경험적으로 입증할 수도 없음.

- 단어의 의미와 구 및 문장의 의미는 서로 다르며, 구 또는 문장의 의미는 그것을 구성하는 단어들의 의미의 산출물임.


사용과 언급


자연언어의 가장 특징적인 특성들 중 하나는 재귀성 reflexivity 로, 그것 자체를 지시하고 기술할 수 있는 능력임. 언어는 그것 자체를 향할 수 있음. (쉽게 말해서 언어 자체를 설명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할 수 있음)

- ''길쌈'의 뜻은 무엇인가요?'에서 '길쌈'은 한국어에 대한 질문임. (한국어 단어 '길쌈'의 뜻을 물어보는 문장 => 한국어에 대한 질문)

- ''홍길동'은 세 글자다.'에서 '홍길동'은 사람 이름이 아니라 '홍길동' 그 자체를 가리키고 있음.

- 사용 use 과 언급 mention 의 차이는, 사용 use 는 말과 의미가 결합되어서 사용된 형태고, 언급은 그렇지 않은 사용 형태임.

그 꽃은 아름답다 (아름답다 -> 사용), '아름답다'는 네 글자다 (아름답다 -> 언급)

예) 대한민국(mention)은 대한민국(use)의 국명이다.


대상언어와 메타언어


- 대상언어 object-language 와 메타언어 metalanguage 는 하나가 다른 하나에 의존한다는 뜻에서 상호 연관됨.

- 언어에 대해 말하거나 언어를 기술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해야 하는데, 한 언어를 그 언어를 기술하기 위해 재귀적으로 사용하는 대신 한 언어를 기술하기 위해 다른 언어를 이용할 수 있음. 이때, 기술되는 언어가 대상언어, 기술적 진술을 위해 사용되는 언어가 메타언어임.

영어 단어 'do' 는 동사다. -> 영어단어 do를 설명하기 위한 메타언어로 한국어를 사용.

- 메타언어는 보통 대상언어의 요소들을 식별하고 지시하는 용어들을 포함할 것이며, 이러한 요소들 사이의 관계, 그것들이 결합해 구와 문장을 구성하는 방식 등을 기술하기 위한 특별한 용어들을 다수 포함함.

- 메타언어와 대상언어 사이의 관계에 대한 통상적인 관념에 따르면 대상언어의 단어와 구를 지시하는 메타언어의 표현들은 그 단어와 구를 이름부름으로써(언급함으로써) 그것들을 지시하며, 대상언어의 단어 또는 구의 메타언어적 이름은 작은 따옴표 속에 그것의 관습적인 문자 인용형을 넣음으로써 만듦. 대상언어의 단어 또는 구의 메타언어적 이름은 작은따옴표 속에 그것의 관습적인 문자 인용형을 넣음으로써 만들어짐.

예) 영어 단어 'do'는 '하다'라는 동사다.

- 하지만 메타언어는 원리적으로 대상언어와는 아주 다른 언어이며, 메타언어는 대상언어에 속하는 어떤 실제 단어와 구를 반드시 그 어휘속에 포함할 필요가 없음.

- 메타언어의 이름과 그 이름이 대상언어에서 가리키는 것 사이의 관련성은 근본적으로 자의적임. 형식화는 그것이 일상언어의 문법과 어휘에 뿌리를 두고 그것들에 기초할 경우에도 일상 언어의 엄밀한 조직화를 포함함.

- 언어의 재귀적 사용이 메타언어적 진술을 위해 먼저 해당 언어를 형식화하는 것 또는 허용되는 기술적 진술의 종류에 관한 명시적 규약을 만드는 것에 의존하기 않기 때문에 특정 언어에 대해 그 언어로 만들어진 재귀적 진술로 메타언어적 진술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 언어에 관한 논의에서 논의를 가능한 한 정밀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아주 많은 전문 용어를 사용하더라도 결국 특별히 고안된 형식 언어 또는 형식 언어로 간주될 정도로 적정하게 제약되고 다루어지는 일상 언어의 일부가 아니라 어느 정도 일상 언어라고 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게 됨. 일상 언어의 일상적 사용을 완전하게 형식화하는 것이 원칙적으로라도 가능한 것인가는 종종 논란을 불러일으킴.


타입과 토큰


- 타입 type 과 토큰 token 은 미국 철학자 퍼스가 도입함.

- 토큰과 타입의 관계는 사례화 instantiation의 관계라고 간주할 수 있음.

- 토큰은 어떤 특수한 장소와 시간에 존재하는 고유한 물리적 실체. 그것들은 다른 고유한 물리적 실체들과의 유사성으로 인해, 그리고 그것들이 사례화하는 타입에 대한 적합성으로 인해 하나의 타압의 토큰으로 확인됨.

예) 타입 : 나비 -> 토큰 : 배추흰나비, 노랑나비, 제비나비, 팔랑나비...

반응형